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공부는 습관과의 전쟁이다

우리 부모들의 공부에 대하여 머리 속에는 지배하는 법칙이 있다. 그것이 바로 공부는 지능지수가 좋아야 잘 할 수 있다고 하는 믿음이다. 아이도 별반 다르지는 않다. 한 학생이 초등학교 때 한 지능지수(IQ) 검사에서 150이 나온 이래 스스로 ‘난 머리가 좋아’라고 굳게 믿어 공부를 안한 것이다.

그러나 중학교에 입학하면서 반 배치고사 성적이 전교 400명 중 200등이 된 것이다. 충격적인 결과가 나와 한마디로 할 말을 잃었다. 그야말로 공부를 안 한 것이 문제였다. 뒤늦게 공부를 시작하려니 책상 앞에 진득하게 앉아 있는 것부터 쉽지 않았다. 이 학생은 악착같이 공부에 매달렸다. 성적 변화도 극적으로 나타났다. 1년 만에 전교 200등에서 전교 5등으로 껑충 뛰어올랐다. 고등학생이 된 지금도 반 1등, 전교 5등의 성적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과연 중학교 때 어떤 공부법을 쓴 것인지 물었다. ‘공부 시간과 양을 늘렸다’ ‘매일 복습을 했다’ ‘수업시간에 설명을 꼼꼼히 들었다’ 등 공부의 ‘기본기’라 할 만한 내용을 줄줄 이야기했다. “뻔한 소리 같지만 그게 공부의 정석이다. 공부에는 지름길이 따로 있는 게 아니더라”고 말하는 목소리에서 강한 확신이 느껴졌다.

 그 첫째가 자신의 습관과 전쟁하라!는 것이다. 그는  ‘공부 잘하는 사람들이 가진 노하우’부터 배우기로 했다. 일단 같은 반에 있는 전교 1등 친구를 유심히 살폈다. 그 친구는 수업시간에 선생님이 하는 말을 하나도 빼놓지 않고 메모하고 있었다. 수업시간에 집중력도 대단했다. 이 친구의 모습을 보며 학교 공부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선생님이 수업시간에 하는 말을 잘 듣는 일이란 사실을 알았다.

이 때부터 수업시간에 선생님이 말하는 순간 절대로 안 졸게 됐다. 졸리면 손등을 꼬집고 사탕처럼 단것을 먹었다. 그래도 졸리면 교실 뒤편으로 가 선 채 수업을 들었다. 이렇게 수업에 몰입하다 보니 예전에 알아채지 못하던 점을 알게 됐다. 시험에 나올 내용을 설명할 때는 선생님의 어투가 미묘하게 바뀐다는 사실을 간파한 것이다. 그럴 때면 특히 정신을 집중해 설명을 들었다.

때론 수험생 인터넷 커뮤니티인 ‘수만휘’나 온라인강의사이트 게시판에 수시로 들어가며 입시 후기도 읽었다. 입시에 성공한 선배들이 얼마나 계획적으로 하루를 보냈는지, 어떤 공부법을 썼는지 등을 참고했다.

그 다음은 공부에 방해가 되는 습관부터 하나씩 버렸다. TV를 보는 것, 공부하다 잡생각을 하는 것 등 고쳐야 할 자기습관들을 정리해보고 하나하나 개선해나갔다. 공부하는 습관이 완전히 몸에 배기까지는 10개월이 걸렸다. 중학교 1학년 말이 되어서야 예전보다 책상 앞에 앉아 있는 게 좋아졌으니, 그전까지는 ‘습관과의 전쟁’을 한 셈이었다.

둘째, 왜 공부하는지 대답할 수 있어야 한다. 어느 정도 공부습관이 잡히자 플래너 쓰기를 시작했다. 플래너에는 한 해 동안 있을 네 차례의 시험을 표시하고 각 시험에서의 △목표 전체 평균점수 △목표 과목별 평균점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매월·매주·매일 단위로 해야 할 공부(교재와 분량)를 적었다.

고등학교 2학년인 지금은 모의고사를 중심으로 공부 계획을 짠다. 일단 목표로 하는 대학 및 학과의 수능 합격선에 맞춰 3, 6, 9, 11월 모의고사에서 받고자 하는 영역별 목표 점수를 정한 뒤 그 점수에 도달하기 위해 영역별로 공부할 교재와 분량을 정한다. 최근에는 특히 문학 지문 몇 개, 비문학 지문 몇 개(언어영역), 수학 문제 몇 개(수리영역), 영어독해 지문 몇 개(외국어 영역), 과학 문제 몇 개(과학탐구 영역) 식으로 하루에 해야 할 4개 영역의 공부 분량을 최대한 구체적으로 적고 실행하려고 노력한다. 주말에는 주중 공부한 내용 중 틀린 부분을 다시 점검하고 모의고사 문제를 푼다.

만약 어제 계획한 공부를 다 마무리하지 못해 한두 가지가 남았다면? 일단 오늘 할 공부를 다 마친 후 시간이 남을 경우 어제 못한 분량을 마무리했다. 어제 못한 공부에 먼저 신경 쓰다 보면 정작 오늘 할 공부까지 뒤로 밀리는 ‘악성 도미노’ 현상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공부에서 제일 중요한 건 목표의식과 꿈을 갖는 일이다. 내가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를 스스로 알게 되니 공부가 짐이 되지 않았다. 커서 뭐가 되고 싶으냐고 물었을 때 아무 말 못하는 애들은 나중에 공부하다 힘들어지면 결국 포기해버리는 것이다.

중학교 2학년 때 의사가 되고 싶다는 꿈이 생겼다. 해외의 가난한 나라 아이들을 치료하는 의사가 되는 것. ‘나만 살리는’ 공부가 아니라, ‘다른 사람도 살리는’ 공부를 하고 싶다는 생각에서였다. 목표의식이 뚜렷해지니 공부에 집중하는 것도 예전처럼 어렵지 않았다.  지금은 그 목표만을 바라보면서 가고 있다.

셋째, 자습시간을 잘 설계하는 것이다. 학원에 다닌 경우더라 늘 자습시간을 기본으로 공부계획을 짜야 한다. 학교, 학원에서 돌아오면 하루에 5시간은 자습을 했다. 자습시간에는 국어·영어·수학·사회·과학 등 주요과목 교과서를 읽었다. 선생님이 수업시간에 설명한 내용을 다시 정리하며 복습하고, 학교와 학원에서 내준 숙제를 했다. 주말에도 같은 방법으로 공부했다.

고등학생이 되면 자습시간을 최우선시하는 공부습관은 변함없어야 한다. 공부시간은 더 늘었다. 평일에는 오후 11시 반까지 학교에서 자습을 하고 오전 1시 반까지 집에서 더 공부를 더 하고 잔다. 주말이면 토요일은 오후 11시, 일요일은 오후 6시까지 학교에서 자습한다.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이 가장 중요하다는 믿음이다. 부족한 단원이 있을 때 인터넷 강의를 활용한다. 학교시험을 위한 공부는 3주 전부터 시작한다. 전 과목 교과서와 노트를 세 번씩 읽으며 ‘개념 정리’를 하는데 10일, 시험 대비용으로 전 과목이 한 권으로 묶여 나오는 문제집을 두세 권 푸는 데 10일이 걸린다. 마지막 하루는 다음날 시험 볼 과목을 공부하는 데 쓴다. 시험공부를 할 때는 평소 복습을 꾸준히 해뒀던 게 큰 도움이 된다. 교과서, 노트 정리가 잘 되어 있어 그 내용을 쓱 훑어보는 것만으로도 선생님이 강조했던 부분이 한눈에 들어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