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4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양

<사자성어로 교육읽기> 화룡점정(畵龍點睛)

용을 그린 다음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그린다는 뜻으로 가장 요긴한 부분을 마쳐 일을 끝냄을 이르는 말이다. 무슨 일을 할 때 최후의 중요한 부분을 마무리함으로써 그 일이 완성되는 것이며, 또한 일 자체가 돋보인다는 것을 비유한 말로 세간에 자주 회자되고 있는 고사성어이기도 하다. 한편 어떤 일이 총체적으로는 잘 되었는데 어딘가 한군데 부족한 점이 있을 때 ‘화룡에 점정이 빠졌다’고도 한다.

이 사자성어에 내포된 의미와는 조금 다를 수 있지만, 교육과 관련해 생각해보면 ‘ 누가, 어느 곳에 점정(點睛) 할 수 있을까? 하는 그 점(點)이다.

스승인 교육자의 점정(點睛) 책무는 한 인간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일임이 분명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피교육자에 대한 올바르고 정확한 판단이 완벽을 기하는 중요한 점정(點睛)의 요건일 것이다. 문제는 이와 같은 점정(點睛)을 반드시 부모나 교사가 해야만 하는가를 생각해 본다. 다시 말해 누구보다도 나를 잘 알고 있는 본인 스스로 어느 시기엔가는 자연스럽게 점정(點睛)을 해야 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그런데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있다. 점정(點睛)은 반드시 눈이어야만 할까? 개개인의 성격과 취미 그리고 지향하는 꿈과 목표에 따라서 혹자는 코가 될 수도 있고, 어떤 이는 입이나 귀 아니 손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쉽게 말해서 지금 교육계의 최대 화두이기도 한 창의교육과 모든 교육의 방향이 오직 피교육자가 주인이 되는 방법으로 완전히 탈바꿈돼야 한다는 것이다.

한 인터넷 카페에 적절한 글이 있어 인용해본다.

덴마크 어떤 대학에서 있었던 일이다. 한 학생이 자신의 시험결과를 납득하지 못해 교수를 찾아왔다. 교수는 학생의 답을 오답으로 처리 했으나 학생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 시험문제는 ‘기압계를 사용하여 제시된 건물의 높이를 구하는 것’이었다. 이 문제에 학생은 ‘기압계에 줄을 매달아 건물 옥상에서 아래로 늘어뜨린 뒤 줄의 길이를 잰다’라고 답했다. 중재에 나선 다른 교수가 학생에게 물리학 지식을 이용해 답을 제시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자 학생은 ‘기압계를 가지고 건물 온상에 올라가 아래로 떨어뜨린 후 낙하 시간을 재서 낙하거리=1/2 (중력가속도 x 낙하시간2) 의 공식을 사용해 높이를 구한다’라고 답했다.

처음 학생의 답에 0점을 주었던 교수는 이번 풀이에는 후한 점수를 주며 혹시 다른 답을 생각하지는 않았는지 물었다. 그러자 학생은 대여섯 가지의 답을 더 내놓았다. 사실 문제 출제의 의도는 ‘고도는 높아질수록 기압이 낮아지는 원리’를 이용해 기압계로 ‘지면과 건물옥상의 기압차를 측정’해 건물의 높이를 구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 학생은 학교에서 늘 같은 한 가지 답만을 가르치는 게 이해가 안 되고 답답했던 것이다. 그 학생의 이름은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닐스보어’다.

“넌 눈이 녹으면 뭐가 된다고 생각하니?”
“네? 저어… 그래요… 으음… 봄이돼요”
일본 만화에 나오는 어린아이와의 대사이다.

창의성이 중요한 시대. 물이라는 수직적 사고도 당연히 필요하지만 봄이라는 다양한 수평적 사고를 더 중시하는 교육을 나는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고 교직생활을 마쳐서 참 아쉽다. 사랑하는 아이들의 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우리 교육자들에게 ‘화룡점정’이 시사 하는 바가 크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