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칼럼> 행복한 학교교육의 선결과제

학교교육은 학생의 행복 증진을 궁극적 목표로 한다. 학생들이 우리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이 됐을 때, 자신의 삶을 행복하게 가꾸어 나가고 공동체 전체의 행복을 위해 헌신하도록 돕는 것이 학교교육의 본질이라 할 것이다.
 
경쟁보다 협력 체득 방식 중요

이 같은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교생활 자체에서 행복감을 높이고, 또한 학교를 졸업한 후 지속적으로 행복을 가꾸어나갈 수 있는 역량을 기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그런 학교생활을 위해서는 몇 가지 해결해야할 과제가 있다.
 
첫 번째는 학교생활이 대학입학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자신의 장점을 발견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의미 있는 과정이 돼야 한다. 미래 행복을 준비하기 위해 현재 행복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학교생활에서 느끼는 행복감을 높여야 한다. 그것이 학생들의 창의성을 키우고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경쟁력을 키우는 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은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해 입증됐다.
 
두 번째는 상대평가 방식의 내신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같은 교실이나 학교에서 동문 수학하는 학생들을 서로 경쟁시키고 상대적인 등급으로 나누기보다는, 각자의 능력에 따른 실력 정도를 절대평가하는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교생활이 경쟁이 아닌 협력의 장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지극히 개인주의화될 미래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상대평가보다는 협력과 배려의 가치관을 체득할 수 있는 방식이 마련돼야 한다.
 
물론 하루아침에 견고한 대학입시와 상대평가 방식의 내신제도를 바꿀 수는 없다. 하지만 포기하지 않고 점진적으로 제도 개선에 공감대를 넓혀나가고 실천행동에 나선다면 변화는 올 것이라 믿는다.
 
세 번째는 진정한 의미의 평가에 대한 반성과 실행이다. 일부 학교에서는 학생을 쉽고도 효과적으로 등급화하기 위해 수업 시간에 제대로 다루지 않은 내용으로 평가를 하거나 시험 직전에 나누어준 많은 양의 유인물에서 시험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이런 일은 평가의 본래 의미에서 벗어난 것이며 많은 학생들을 사교육에 더욱 의존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지양해야 한다.
 
수업 시간에 다룬 중요한 내용을 학생들이 어느 정도나 이해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활용해 완전학습을 추구하는 수업의 한 과정으로 평가를 이해하고 실행해야 한다. 그렇게 해야 잘못된 평가로 인한 학생들의 행복감 저하를 상당 부분 막을 수 있다.

‘평가 위한 평가’ 점진적 개선해야
 
네 번째는 학교생활에서 느끼는 학생과 교사의 행복감 정도를 측정하고 그들의 행복 증진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실행해야 한다. 행복한 선생님이 학생들을 행복하게 지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교사의 행복 증진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학생들이 학교생활에서 느끼는 행복감은 학창 시절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인 만큼 관심을 갖고 제고해야 할 부분이다. 나아가 교사, 학생의 행복감은 학업성취 향상과도 직결된다는 연구 결과들을 볼 때, 이제 이 문제는 학교교육의 선택사항이 아니라 필수 목표가 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