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詩 읽는 시간> 고양이 묘사가 백미인 <야생>

야생

김 기 택

환하고 넓은 길 뒷골목에
갈라지면서 점점 좁아지는 골목에
어둠과 틈과 엄폐물이 풍부한 곳에
고양이는 있다.

좁을수록 호기심이 일어나는 곳에
들어갈 수 없어서 더 들어가고 싶은 틈에
고양이는 있다.
막 액체가 되려는 탄력과 유연성이 있다.

웅크리면 바로 어둠이 되는 곳에
소리만 있고 몸은 없는 곳에
고양이는 있다.

단단한 바닥이 꿈틀거리는 곳에
종이박스와 비닐 봉투가 솟아오르는 곳에
고양이는 있다.

작고 빠른 다리가 막 달아나려는 순간에
눈이 달린 어둠은 있다.
다리와 날개를 덮치는 발톱은 있다.

찢어진 쓰레기봉투와 악취 사이에
꿈지럭거림과 부스럭거리는 소리 사이에
겁 많은 더러운 발톱은 있다.

바퀴와 도로 사이
보이지 않는 속도의 틈새를 빠져나가려다
터지고 납작해지는 곳에
고양이는 있다.
《문학과 사회》2016 여름호

김기택: 1957년 안양 출생. 1989년『한국일보』신춘문예로 등단. 시집『태아의 잠』『바늘구멍 속의 폭풍』『사무원』『소』『껌』『갈라진다 갈라진다』등이 있음.

|감상 노트|추리소설의 행간으로 독자를 이끄는 언어의 힘

왜 시를 쓰느냐는 질문에 김기택 시인은 시 쓰는 일이 재미있어서 시를 쓴다고 했다. 시 쓰는 일이 재미가 없다면 뭐 하러 시를 쓰느냐고 반문한다. 그의 이런 지론을 증명이나 하듯 김기택의 시는 읽으면 읽을수록 감칠맛이 난다. 읽는 내내 재미를 느끼는 것이다. 나도 독자의 한 사람으로 읽을 때마다 재미를 느끼고 감탄을 하곤 한다. 감탄하다는 것은 감동의 다른 말이다.

모든 예술은 고유한 표현 양식과 기법이 있다. 시는 언어를 가지고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 양식으로 시인에 따라 그 표현 방식은 천차만별이어서 그 과정에서 우열이 가려지기도 하고 다양한 감동을 연출해내기도 한다. 그렇다면 김기택의 시엔 어떤 특색 어떤 독특한 표현 기법이 있는가. 탐정기법이나 추리기법이라고 불러도 좋을 세밀한 표현이 시인의 특색이 될 것이다.

이 시에는 '고양이가 있다'란 시행이 다섯 개다. 그냥 '있다'라는 시어는 아홉 개가 된다. 7연시 각 연마다 '있다'라는 시어가 한 개 내지 두 개씩 들어 있다는 얘기다. 어찌 보면 단순해 보이는 시행이고 시어지만 독자들은 그 시행의 행간을 따라가는 중에 절로 흥이 나고 재미가 샘솟는 것을 알아차리게 된다.

시인은 독자들을 고양이가 있는 곳으로 안내하고 있다. 마치 추리소설의 주인공을 따라가듯 시인의 안내에 따라 현장의 상황을 한 순간도 놓치지 않고 고양이 탐색에 동참하게 된다. 한 단어 한 구절이라도 놓치면 목적지에 도달하지 못할 것 같은 절박감에 온 (시)신경을 곧추세우고 시인의 언어를 따라갈 수밖에 없다.

시행 하나하나를 따라가다 보면 고양이가 있는 신비로운 공간이 나타나고 미처 몰랐던 고양이의 생태나 행동 특성 혹은 몸의 특성을 알게도 된다. 도로에 터져 납작해진 고양이에게 이르게 될 때까지 독자는 온 신경을 곤두세우고 시인의 언어를 따라갈 수밖에 없다. 그 따라가는 과정에 엔도르핀이 솟고 신선한 재미와 감동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시인은 언어의 마술사라고 한다. 마술사가 마술을 부리듯 언어의 마술을 부려야 한다. 매일 매일 수천 마디 말을 듣고 말하는 진부한 일상생활 속에서 말에 재미를 느끼고 감동을 받기란 쉽지 않다. 독자들의 무디어진 언어생활에 활력을 불어넣으려면 새로운 전술이 필요하다. 김기택의 전술은 적중했다. 추리기법을 도입하여 독자를 사로잡는 표현법을 찾아낸 것이다. 말하자면 표현의 블루 오션(Blue Ocean)을 개척한 셈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