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라이프

공자는 지식기반 사회의 도래를 예측했을까?

요산요수(樂山樂水). 옛 선인들은 막힘없이 흐르는 물과 변치 않고 듬직하게 한자리에 머물고 있는 산을 좋아했다. 위험에 처했을 때도 물은 건너가고, 산을 넘어가라고 가르쳤다. 선인들에게 ‘물’과 ‘산’은 세상을 아우르는 철학의 기본 바탕이었다. 동일해 보이지만 결코 동일하지 않은 ‘물’과 ‘산’의 모습을 통해 ‘살아있는 교육’을 강조했던 공자의 사상을 살펴본다.

‘知者樂水 仁者樂山.’ 공자는 논어의 <옹야편>에서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知者樂水),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仁者樂山)’라고 말했다. 물은 움직임의 성격을 갖고 있고, 산은 그대로 그 자리에 있는 성질을 갖고 있다. 그래서 공자는 ‘지혜로운 사람은 역동적으로 움직이며(知者動) 어진사람은 산처럼 고요하다(仁者靜)’라고 했다.

나의 발전을 위한 ‘구르는 돌’이 되자!
물은 고여 있으면 썩는다. 물이 지닌 역동성을 거역하면 인간은 후퇴하게 된다. 때문에 공부란 하루라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맹자(孟子)는 ‘學問 如逆水行舟不進卽退’라는 말로 이를 설명한다. 즉, 공부란 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배와 같아서 끝임 없이 노질을 하여 앞으로 나가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물살과 더불어 흘러 내려가기 때문이다. 맹자어머니와 맹자에게서 나온 유명한 한자 성어 ‘단기지교(斷機之敎)’가 있다. 이는 맹자(孟子)가 공부를 하던 도중에 집으로 돌아왔을 때, 맹자 어머니가 칼로 베틀의 실을 끊어서 훈계(訓戒)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이다. 학문(學問)을 하다말고 중도에서 중단하는 것은 짜던 베의 날을 끊는 것과 같다. 즉 발전된 모습의 자기를 찾을 수 없게 된다. ‘구르는 돌에는 이끼가 끼지 않는다(A rolling stone gathers no moss’는 속담 역시 다양하게 재해석될 수 있겠지만, ‘자신의 변화를 위해 노력하지 않는 자는 도태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 질 수 있다. 안락함만을 추구하는 자는 도태되고 만다.
朱子(주자)는 공자의 지자요수(知者樂水)를 풀어서 ‘지혜로운 자는 사리에 통달하여 두루 통하고, 막힘없는 것이 물과 같기 때문에 물을 좋아 한다’라고 말한다. 물처럼 변화하는 세상을 받아들일 그릇을 준비하는 자가 세상의 이치에 통하고 사회적 현상을 쉽게 이해하고 대인관계 기술 또한 뛰어나 두루 통하는 자가 될 수 있다.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서는 지식의 유효기간이 매우 짧아지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