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작은 학교 가치 알면, 폐교 함부로 못하죠”

폭력 가해자도 피해자도 친구로 감싸 안는 아이들

“교사 업무 많아도 소명감 커지고 가르칠 힘 생겨”

교육청 등 지원 절실…경제적 기준 폐교 옳지 않아

 

경기 김포시 대곶면 석정리. 김포보다 강화에 가까운 소규모학교인 석정초등학교. 주변에는 공장과 논밭만 보일 뿐 집이라곤 거의 없는 벽지학교인 석정초 정문에 들어서자 예사롭지 않은 풍경이 펼쳐졌다. 2층짜리 학교 건물 왼쪽으로 둥근 돔 지붕이 보인다. 이제는 꽤 유명해진 바로 그 천문대였다. 학교 건물 오른쪽으로는 ‘천체 영화관’도 보였다.

“처음엔 시골학교에 웬 천문대냐고 말하는 분들이 많았지만, 초·중·고 학생, 학부모만 연간 2000여 명이 다녀갈 정도로 인기가 높습니다.”


석정천문대는 2003년 11월에 탄생했다. 수성, 목성 등 행성을 자동으로 찾아주는 ‘주망원경 돔’, 별자리 자동 추적기와 각종 천체 망원경이 있는 ‘직사각형 슬라이드 돔’, 별자리를 재현하는 ‘투영실 돔’으로 구성돼 있다. 천문대 담당인 이시헌 교사는 “오늘도 인천당하초 학생들이 체험을 왔는데요. 날씨가 안 좋아서 케플러식 망원경 만들기밖에 못할 거 같아요. 해가 나면 태양흑점활동을 망원경으로 볼 수 있을 텐데, 아이들이 서운하지 않을까 싶네요”라며 학생들보다 더 안타까워했다. 천문대 이곳저곳을 보여주던 배동준 교무부장은 “시설이 10년이 넘은 만큼 보수할 곳도 교체할 것도 많은데 예산이 여의치 않다”며 “김포시나 교육청의 예산 지원이 계속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천문대가 생기기 전 석정초의 학생 수는 40여 명으로 폐교 위기에 몰려 있었다. 당시 이 학교에 부임했던 이근택 교장과 교사들의 노력으로 최첨단 천문대를 설치면서 학교는 살아나기 시작했다. 6개월의 긴 설득 끝에 4억 원 가까운 예산을 따냈고, 1년여 만에 천문대를 지었다. 경기도교육청의 지원으로 천체 영화관도 만들었다. 2004년 학생 수는 143명으로 늘었다. 주변 거주 학생이 아닌 대부분 김포 시내, 서울 강남과 목동, 인천 등에서 ‘유학 온’ 학생들이었다. 현재는 65명으로 당시에 비하면 많이 줄었다. 학교 프로그램이 달라진 것도 아닌데 왜 이런 변화가 생긴 걸까.

“지금은 초등만 56명이에요. 병설유치원과 특수학급까지 65명으로 폐교 기준 60명을 넘긴 수준이죠. 초지대교가 생기면서 공장이 늘고 주택은 사라져 원주민 학생은 20여 명에 불과해요. 학구 지정 때문에 서울에선 유학 올 수가 없고 저희 학교 프로그램이 마음에 들어 이사를 오고 싶어 하는 학부모도 꽤 있지만, 근처엔 주택이 없죠. 양곡아파트 단지에서 오는 학생들도 스쿨버스가 한 대밖에 없어 지금으로선 더 수용할 수도 없어요.”

스쿨버스 1대를 1년 운영하는 비용만 3,000만 원 가까이 든다. 작년까지는 시에서 지원을 해줘 학교 운영에 숨통이 트였지만 올해는 그나마 끊겼다. “버스 운영을 하지 않으면 당장 아이들이 통학하기 힘들어 학교운영비로 충당하고 있다”는 이 교장은 “방학에는 버스 운행을 할 수 없어 올 여름방학 프로그램들은 부득이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며 “경제적 논리인 학생 수만을 기준으로 폐교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강조했다. “전원 속에서 경쟁이 아닌 느린 교육을 원하는 학부모들도 있어요. 작은 학교만이 할 수 있는 교육이 있다는 걸 우리 교육은 어느 순간 잊어버리고 있는 것 같아요. 그러면서 인성교육을 말하는 건 어불성설이죠. 우리 아이들은 사람의 귀중함을 잘 알고 있어요. 학교폭력을 당하거나 일으키고 전학 온 아이들도 이해하고 배려하고 감싸 안아요. 과다행동장애(ADHD) 등 조금 다른 친구들과도 잘 어울려 지내는 법을 스스로 배워나간다는 게 너무 예쁘고 사랑스러워요.”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