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3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진로교사의 과거, 현재, 미래

어떤 정책이든 정부기관과 소위 교육 리더라는 소수만이 주도해서는 안 된다. 현장의 상황을 모르는 이들이 책상에서 일부의 목소리를 담은 정책이 얼마나 많은 실패를 양산해 왔는지 모르는 이는 없다. 교원정책 역시 마찬가지다. 아니, 교원정책이기에 더욱 그러하다. 최근 법제정 및 시행령을 만드는 과정에서 현장 교원의 목소리와 현실이 반영되지 않아, 논란이 일고 있는 진로교사의 사례 역시 마찬가지다. 현장의 목소리를 듣지 않고 탁상행정만 하다가는 모처럼의 진로교육 역시 실패로 끝날 지 모른다.

험난했던 진로교육법 제정을 넘어
평균 20년을 넘게 지도해 왔던 과목인데 전과(轉科)를 하자니 걱정이 많았다. 밤새 고민도 했었다. 그렇지만 선생님들은 불안해했고 신분의 염려까지도 했다. 어떤 선생님이 “앞으로 진로과목이 어떻게 될까요? 연수 받고나서 없어지지는 않을까요? 만약 없어진다면 큰일입니다. 우리 학교에서는 연수받으러 갈 사람이 아무도 없어서 교장 선생님이 저를 지명해서 보냈습니다. 제가 담당하던 과목을 없애고 진로교사 연수를 받게 했습니다. 만약에 연수를 받고 진로 과목이 없어진다면 학교에서 나가라고 할 것입니다. 학교장과 관계도 좋지 않고요…. 자식이 둘인데 학교에서 나가면 무엇을 할까요?”라고 물어왔다. 얼굴은 매우 불안해 보였다. 나는 “선생님! (진로)과목이 없어지진 않습니다. 열심히 연수 받으면 좋을 결과가 있을 것입니다.”라고 다독였지만 내심으로는 어떻게 하면 좋을지 많이 고민했다. 그 후 교육부에 진로교육법 제정을 요구했다. 매우 긍정적으로 받아주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연구하고 공청회도 가졌다. 정부 입법으로 추진되면서 법제처로 넘겼다.

그런데 당시 교육부 관계자가 조용히 만나자고 했다. 단 둘이 만나자고 했다. 그 동안 정부입법으로 추진되어 오던 것을 협의회에서 맡아 달라고 했다. 정부 부처간 의견수렴 과정에서 본래의 의도와는 많이 달라졌기 때문에 자칫 누더기 법안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차라리 의원입법으로 가는 것이 나을지 모르겠다는 말을 덧붙였다. 어떻게 하면 좋을지, 순간 막막했다. 진로교육을 고민하는 많은 선생님들에게 자문을 구했다. 수정할 것은 수정을 하였다. 일단 의원입법으로 방향을 잡은 이상 국회의원들 설득이 가장 중요했다. 국회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의원들과 접촉을 시도했다. 마침 여당의 모 의원으로 부터 관심 있으니 만나자는 연락이 왔다. 이제 됐다 싶었다. 솔직히 천군만마를 얻은 기분이었다. 그런데 거기까지 였다. 대통령선거가 코앞이라 경황이 없었던지 진척이 되질 않았다. 마냥 앉아서 기다릴순 없어 무작정 국회의원회관 사무실을 찾았지만 “좀 기다려 보시죠”라는 말 뿐이었다. 대통령 선거가 치열해 질수록 진로교육법은 조금씩 기억에서 잊혀져 갔다.

그해 12월 여야 대선후보들은 모두 진로교육에 대해 강조를 하고 있었다. 선거 후에는 어느 쪽이든 추진은 될 것이라는 확신은 있었다. 박근혜 후보 측에서는 자유학기제가 이슈가 되었다. 진로교육은 학교에서도 점진적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었다. 국회에서는 진로교육법에 자유학기제를 담았다. 국회에서 입법조사관과 연락을 주고받으며 법안 통과를 위해 준비해 나갔다. 법안은 쟁점 법안으로 분류가 되면서 또한 국회가 공전이 되면서 자꾸 시간만 흘렀다. 그러면서 내용은 좀 더 구체적이고 포괄적으로 담기게 되었다. 공청회가 열렸다. 우려는 했지만 잘 끝났고 모두가 빨리 통과되기를 기원했다. 그 후 많은 분들의 노력으로 진로교육법이 통과가 되었다.

진로교사의 현재
진로교사들이 힘들어 하고 있다. ‘진로와 직업’ 교과지도를 하기도 하고 창의적 체험활동의 진로를 담당하면서 수업시간이 10시간이다. 학교마다 사정이 다르다. 10시간 이상을 하는 곳도 많다. 농어촌 학교에서는 10시간 미만인 교사도 있다. 담임교사를 하는 곳도 있다. 진로교육을 하면서 이전 과목을 지도하는 선생님도 있다. 심지어는 보충 수업까지도 담당하고 있는 교사도 있다. 부장도 진로진학상담부장이 아니라 교무부장 등 기타 부장을 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임명 권한은 교장에게 있다. 지금은 단위 학교에 진로교육을 받은 전문가가 1명 밖에 없다. 그 사람이 진로교육을 담당하지 않고 다른 사람이 한다면 그 학교의 진로·진학 교육이 제대로 될 리가 없다.

업무도 중학교에서는 자기주도학습 전형, 고등학교에서는 학생부 종합전형 등을 학생에게 준비시키고 지도한다. 특히 교원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진로·진학지도 방법 등을 안내하기도 한다. 입시제도가 매우 다양하다보니 교사들도 공부를 해야 한다. 그래야만 학생과 학부모에게 안내할 수 있다. 그래서 나름대로 모여서 자기연찬의 기회를 갖고 있다. 경남교육청에서는 아예 연구정보원에 모여서 진로교사들이 자기연찬을 갖도록 장소 및 편의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다수의 교육청에서는 관심이 부족하다. 또한 지역사회자원 축적 및 관리, 유관기관과의 네트워크 형성 및 관리도 한다. 학생들에게 체험교육이 강조되다보니 선배들의 직장체험, 학교주변 직업 체험처 개발, 등에도 많은 시간을 쏟고 있다. 그래서 출장도 자주 나가야 한다. 이제는 울타리 안에서만 하는 교육이 아니다. 마실 교육이고 동네교육이다. 진로교육은 학생들에게 많은 정보와 체험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현실은 그러하지 못하다. 수업시간이 적다고 많은 업무를 맡긴다. 중요한 것은 학생들의 진로·진학상담이다. 학교 현장에는 아픈 학생이 많다. 진로에 대해 고민 학생들이 많다. 이들의 고민을 덜어 줄 선생님이 학교에 있다는 것을 학생들은 얼마나 고마워하는지 모른다. 그러나 현실은 상담을 인정하지 않은 분위기가 많다는 것이다. 이제 상담시간도 수업시간으로 한다는 것이 시행령에 담길 것이다. 더욱 힘들어 하는 것은 교사 정원문제이다. 작년에는 경기도에서 추운겨울에 진로교사들이 모여서 수차례 항의를 한 적도 있었다. 이번에는 서울 사립학교 정원에 대한 문제가 불거졌다.

서울사립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는 서울시교육청 공문으로 별도 가산정원으로 선발이 시행되었고, 따라서 교사들은 신뢰하고 지원해서 선발되었다. 그러나 점차로 축소할 예정이란다. 축소를 하게 되면 수업 시수 문제로 학교 내 갈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원 과목 수업과 진로와 직업 과목 수업을 동시에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원래 배치 목적을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이 됨에 따라 원 교과로 돌아가겠다는 교사도 발생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제대로 진로진학교육이 제대로 될 리가 없다. 아픈 학생들의 소리를 들어 줄 교사가 없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