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교육’ ‘실생활 개선’ 두 마리 토끼 잡다

프로젝트 수업·연구로 공동체 문제 해결 눈길
 
이정훈 서울 양정중 교사
자율동아리 학생들에 ‘급식잔반 줄이기’ 제안
실태 분석, 아이디어 모아 ‘무지개 식판’ 제작
잔반 70% 감소, 대기업 공모전 우승등 ‘대박’
 
나혜정 대구 경서중 교사
삼겹살 잔치 후 뒤처리 미흡…스스로 깨닫게 수업
토의 끝에 교실 내 분리수거함 설치 등 실천 약속
기술교과 목공예 수업과 접목해 직접 제작 후 비치

교사·학생 간 교육활동으로 시작한 연구 프로젝트가 실생활을 개선하는 결과물로 이어져 눈길을 끌고 있다.
 
이정훈(42) 서울 양정중(교장 윤일수) 진로진학상담부장은 2014년 운영하던 진로 자율동아리 학생들과 학교급식 잔반을 줄여보고자 노력한 끝에 ‘무지개 식판’을 만들었다. 
 


무지개 식판은 일반 식판에 무지개 같은 곡선을 여러 개 그어 자신에게 맞는 식사량을 알 수 있게 한 아이디어 식판이다. 일반 식판의 경우 밥을 담는 곳이 지나치게 커 평소 먹는 양보다 많이 담아 잔반 또한 많아진다는 사실을 파악하고 이 같은 아이디어를 내놨다.
 
무지개 식판은 큰 반향을 일으켜 삼성투모로우솔루션 공모전에서 2014년 아이디어 부문 최우수상, 2015년 임팩트(아이디어 확산·도입 결과) 부문 대상을 차지했다. 타 학교, 군부대 등에서 주문이 쇄도하는가 하면 이웃나라 일본, 중국에서까지 도입하고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 교사는 당초 제자들의 진로지도를 위한 활동을 고안하다 소위 ‘대박’을 쳤다. 평범하지만 자율적 의식이 강한 학생, 학업의욕이 다소 떨어지고 진로에 고민이 많은 학생들을 모아 동아리를 구성한 뒤 자유학기제 차원에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활동을 해보고자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우선 자신을 객관적으로 보는 훈련부터 했다.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무엇을 잘하는지, 그 반대는 무엇인지, 보완할 점은 무엇인지 등을 명확하게 알아보는 것이 진로를 위한 첫발로 여겼기 때문이다. 
 
그런 ‘눈’을 키운 후에는 주변의 문제를 바라보고 개선점을 생각하는 것으로 나아갔다. 다양한 의견이 모이기 시작했고, 결국 급식 잔반문제를 해결하기로 의기투합했다. 이 교사는 곁에서 멘토가 돼 문답법 등을 통해 아이디어 도출을 도왔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삼성전자가 공동주최한 ‘사회문제 솔루션 공모전’에도 참여해 전문가 멘토로부터 문제정의(define), 상황관찰(discover), 방향설정(analyze), 솔루션구상 (ideate), 테스트(test) 등 단계를 거치는 ‘문제해결 프로세스’를 익혔다. 이후 여러 시행착오를 거쳐 6개월 만에 무지개 식판을 내놓게 됐다.
 
이 교사는 ‘대박 상품’이 나온 것보다 아이들의 행동에 긍정적 변화가 일어난 것을 프로젝트의 성과로 봤다. 학업에 흥미가 없던 아이들은 문제 해결능력을 기르게 됨에 따라 지식의 효용성, 공부의 필요성을 뒤늦게 인식해 모두 명문 자사고, 특목고에 입학하는 성과를 냈다.
 
이 교사는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다는 것은 이른 바 물고기를 잡아주기보다 물고기 잡는 법을 가르쳐준다는 교훈을 떠올리게 한다"며 "이 프로젝트를 몸에 익힌 아이들은 앞으로도 자신이 겪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교사와 아이들은 무지개 식판에 이어 안전교복, 안전모자 등 새로운 프로젝트를 이어가고 있다.
 

나혜정(38) 대구 경서중(교장 곽상순) 교사는 지난해 1학년 담임을 맡아 의미 있는 변화를 이끌었다.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학급 내 쓰레기 분리수거함을 직접 만들어 설치했고, 쓰레기장을 정비해 밝고 깨끗하게 변화시킨 것이다.
 
그가 환경문제를 수업에 녹이게 된 건 지난해 4월 ‘사제동행 행복소통시간’에서 겪었던 일 때문이다. 1학년생 51명과 학교 뒤뜰에서 삼겹살을 구워먹는 행사를 한 뒤 뒷정리를 열심히 한다고 했지만 쓰레기장은 평소와 달리 엉망이 됐다. 음식물과 일반쓰레기가 함께 담아 버려지는가 하면 행사에 사용된 각종 종이상자와 캔도 어지럽게 놓여 있었다.

나 교사는 아이들을 다그치는 대신 이 문제를 ‘프로젝트를 통한 인성교육’으로 깨닫게 하고 싶었다. 국어교사인 그는 ‘토의하기’ 단원을 활용하기로 했다. 나 교사는 "요즘 아이들은 개인의 경험에 비해 공동체 문제를 겪어보지 못하는 경향이 있어 이를 함께 논의하도록 했다"며 "생활밀착형 사안이 교육적으로도 효과가 커 프로젝트를 진행하기에 알맞기도 했다"고 말했다.

 
당시 어지러워진 쓰레기장을 사진으로 찍어 아이들에게 보여주고 무엇이 문제인지 토의하게 하자 분리수거 문제, 쓰레기장 등으로 의견이 압축됐다. 그 중 ‘학급 내 분리수거함이 없어 인식 부족으로 이어진다’, ‘쓰레기장이 너무 지저분해 머물러 있기 불편하다’는 의견이 눈에 띄었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태블릿으로 검색해 보고 자기 생각을 더해 발표하게 했다. 모둠 토의까지 마친 후 최종 주제를 학급 토의에 부쳤는데 결국 학급 내 분리수거함을 직접 만들어 설치하고, 쓰레기장을 정비하자는데 실천 약속을 정했다.
 
나 교사는 "무엇보다 아이들이 공동체를 위해 내놓은 생각이 현실화 될 수 있다는 걸 느끼게 해주고 싶었다"며 "기술선생님께 요청해 목공예와 접목하기로 하고 교장선생님도 허락해 예산을 받아 이행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이어 "이런 경험은 중학교 1학년이 지나면 하기 힘들 것 같아 더욱 해봐야 한다고 여겼다"고 덧붙였다.
 
아이들은 분리수거함을 만든 이후 환경문제에 계속 관심을 둬 2학년 진학한 뒤에도 이를 가져와 사용하고 있다. 
 
나 교사는 공동체 문제를 수업에 녹이고자 올해 또 다른 계획을 세웠다. 세대 간 소통과 기록유산 전수를 위해 자신의 조부모를 인터뷰 해 ‘메모로’ 사이트에 올리기, 3학년생이 타임캡슐을 학교에 심고 졸업하면 후배가 찾기 등을 교과통합 프로젝트 수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그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별도의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교과 성취목표, 인성교육을 동시에 이룰 수 있고 동료교사와의 협력도 강화할 수 있다"고 예찬론을 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