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월요논단] ‘그릿’ 갖게 하려면

얼마 전 그릿(Grit)이라는 책이 베스트셀러에 등극했다. 어떤 상황에서든 포기하지 않는 불굴의 의지 즉, 그릿이 성공의 가장 중요한 척도라는 저자의 단순명쾌한 주장이 대중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이다. 
 
그릿이 성공한 사람의 공통점이라는 점은 인정할 수 있다. 그러나 그릿은 인간 내부에서 생겨난 것이 아니라 사회화 과정에서 발생한 것이다. 따라서 자칫 성공하지 못한 사람의 원인이 불굴의 의지를 가지지 못한 개인의 문제로 치부 돼서는 안 된다. 포기하려는 학생에게 ‘넌 그릿이 없어서 안 되겠다’는 식의 피드백은 곤란하다. 그릿이 어디에서 시작되는지 알아야 제대로 된 피드백을 할 수 있다. 
 
그릿의 첫 단추는 성공과 실패의 원인을 어떻게 보는 가에 달려 있다. 귀인이론의 대표적 학자인 B. 와이너는 결과가 중요하거나 뜻밖일 경우에 왜 그렇게 되었는지 알고자 하는 경향을 선천적으로 지니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성공과 실패의 원인을 자신이 통제 가능한 것으로 보는지 아닌지에 따라 다음 행동이 달라진다고 본다. 
 
성패의 원인을 노력에서 찾게 해야

예를 들어 중간고사에서 좋은 성적을 받은 학생은 중간고사의 성공요인이 무엇인지 알고자 할 것이다. 이때 자신의 노력을 원인으로 뽑은 학생은 다음 시험을 위해 더 노력할 것이다.   
 
반면, 운이 좋았다거나 선천적인 재능이라고 생각하는 학생은 더 노력하지 않을 것이다. 실패했을 때가 더 문제다. 학습된 무력감에 빠져 다음 시험에서도 실패할 확률이 더 커지기 때문이다.
 
학습된 무력감은 셀리그먼과 마이어의 유명한 개 전기 충격실험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우리 안의 개에게 10초간의 경고 불빛을 준 후 우리 바닥에 50초간의 전기 충격을 주고 도피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했다. 실험 결과 사전에 묶여 전기 충격을 고스란히 받았던 개들은 도피 방법을 찾지 않고 전기충격을 그대로 감수했다. 현재의 고통을 자신이 통제하지 못한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이처럼 현 상황을 통제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은 포기하거나 그 상황을 그대로 받아들인다. 
 
학습된 무기력을 막고 그릿을 키우기 위해서는 성공이든 실패든 그 원인을 노력으로 돌리게 해야 한다. 성공한 학생에게 "참 잘했어"가 아니고 "노력을 많이 했구나"라는 피드백을 줘야 한다. 실패한 학생에게는 "너 성적이 왜이러니?" 가 아니라 "이번에는 노력이 부족했구나" 와 같은 피드백이 필요하다. 전자가 수치심을 자극한다면 후자는 일종의 죄책감을 자극하는 피드백이라고 할 수 있다. 
 
작은 성공의 경험을 자주 갖게 하자

또한 학생이 통제하는 경험을 자주 하도록 도전적이면서도 성취 가능한 목표를 제시하고, 어려운 과제는 쪼개서 점진적으로 해결토록 해야 한다. 아울러 스스로 개인적인 목표를 세우고 자신을 스스로 평가하게 해야 한다. 
 
그릿이 부족한 것은 개개인의 잘못이 아니다. 우리 사회는 개인이 통제 할 수 없는 부분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많다. ‘우월한 유전자’, ‘금수저’와 같은 유행어는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것을 선망의 대상으로 만들고 있다. 나약하고 무기력한 청소년은 그들이 스스로 그렇게 된 것이 아니라 사회가 만들어 낸 것이다. 우리는 학생들에게 통제 가능한 상황에서 작은 성공의 경험을 자주 주고, 노력하면 이룰 수 있는 마음가짐을 갖도록 해야 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