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시론] 19세기 학교 벗어나자

19세기 학교에서 20세기 교사가 21세기 아이들을 가르친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이 모두 옳은 것은 아니지만 어쨌든 이를 계기로 교육에 변화가 왔다.

교사들은 수업의 변화에서 답을 찾으려고 노력했다. 그 첫째가 ‘무엇을’ 가르치느냐보다 ‘어떻게’ 배우느냐에 방점을 찍었다. 정보화 시대에 맞게 학습자중심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21세기 아이들을 가르치기 위해 교사들은 다양한 수업 기술을 고민하며 스스로 성장하고 있다.  

여전히 낙후된 학교 시설·공간

그렇다면 19세기라고 낮잡아 본 학교는 어떨까.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했는데, 학교는 변한 구석이 없다. 기껏 교실에 컴퓨터가 들어오고, 에어컨이 설치됐을 뿐이다. 여전히 학교에는 교실과 특별실(음악실, 과학실 등), 그리고 교무실이 전부다. 더 이상 휴게 공간이나 복지 시설이 없다. 학생들과 선생님이 마음을 나눌 상담실도 없다. 학생과 상담하기 위해서는 빈 교실을 찾아다녀야 한다. 어쩌다 학부모가 찾아와도 차 한 잔 하면서 이야기를 나눌 곳이 없다.

선생님들의 근무 공간인 교무실도 열악하다. 교실 크기의 공간에서 10명의 학년 담임들이 근무하다보니 복사기, 문서 파쇄기, 정수기 등을 놓으면 끝이다. 화분하나 놓고 싶어도 자리가 없다. 선생님들은 하루의 대부분을 학교에서 보낸다. 학생들도 아침에 등교하면 종일 학교에서 생활한다. 그러다보니 물적 환경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교실은 물론 식당, 화장실, 휴게실 등의 물리적 환경을 어떻게 조성하느냐에 따라 바람직한 정서가 형성되고, 교육 효과로 나타난다.

생활공간의 안락함을 바라는 것이 아니라 21세기 시대에 맞는 공간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교무실 등에 멋진 그림도 걸려 있고, 마음과 기분을 담아줄 화분도 있는 아주 소박한 근무 공간을 원한다. 이 최소한의 공간만이라도 있어야 학교는 교육이 추구하는 가치를 제대로 담아낼 수 있다. 

외국에서는 이미 학교 건축에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학교의 시설 변화가 학교 구성원의 정서에 기여해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기대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1990년대 학교시설 현대화 사업이 시작되면서 건물의 외형이 변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 내 공간은 여전히 비좁고, 낙후돼 있다. 

몇 년 전부터 교육복지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노력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비해 교원에 대한 복지는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환경개선은 교육·정책 안착의 동력

아무리 좋은 교육정책을 내 놓아도 교직원들의 참여 없이는 효과를 보기 어렵다. 교사에게만 변화를 강요하고, 근무환경의 변화에는 관심이 없다면 냉소적 태도를 갖게 된다. 정책에 대한 자발적 동의와 참여는 기대하기 어렵다. 근무하기 좋은 교육 환경은 교원 복지를 넘어, 교육 정책을 이끄는 동력이 된다는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융합형 인재를 키워야 한다. 융합형 인재는 혁신적인 기술뿐만 아니라 정서적 측면에서도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사람이다. 개선된 시설은 교원, 학생들에게 창의적인 생각과 열정을 품는 공간이 된다. 학생을 먼저 생각하는 교원들이다보니 막상 자신들의 복지에 대한 필요와 이유를 겉으로 잘 표현하지 못한다. 이제 정책 당국자들이 나서야 할 때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