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7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수학 포기한 아이, '접바둑'으로 기살려주기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교육 필요해

2016년 3월, 한국의 이세돌 9단과 알파고와의 바둑대결이 있었습니다. 이 세기의 대결은 인공지능의 어마어마한 발전을 느낄 수 있는 의미 있는, 혹은 두려운 에피소드가 됐습니다. 그러나 바둑애호가인 저의 마음은 한국 바둑계의 자존심이자 수 싸움의 대가인 이세돌 9단이 인공지능에 무너지는 것을 보면서 참 가슴이 아팠던 것 같습니다.

세기의 대결은 시간이 지나면서 저를 포함한 바둑 애호가에게 기쁜 소식들도 들려줬습니다. 바둑의 장점들이 일반인들에게도 소개되기 시작한 것입니다. 그중 두 가지만 소개해보겠습니다.

첫째, 바둑에는 수많은 경우의 수가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바둑판은 가로와 세로 각각 19개 줄로 이루어져 착수할 수 있는 점이 총 361개 있습니다. 게다가, 백과 흑이 서로 번갈아 두기 때문에 어떤 수가 나올지 예상할 수 없습니다. 바둑이 진행될수록 경우의 수는 더욱 무한정 커지는 것이지요. 저 역시 바둑을 처음 둔 초등학교 때부터 수없이 많은 게임을 치렀지만 똑같기는커녕 서로 비슷한 바둑조차 없었던 것 같습니다.

둘째, 바둑은 평등한 스포츠라는 점입니다. 물론, 바둑이 스포츠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갑론을박이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제 스포츠로 인정하는 흐름인 듯합니다. 전국소년체전 정식종목으로 채택돼 바둑으로 금메달을 따는 선수들이 생겼기 때문이지요.

본론으로 돌아가서, 바둑하는 사람들은 바둑을 두는 행위, 바둑이 끝난 후 복기하는 행위를 두고 '수담을 나눈다'고 표현합니다. "말하지 않아도 알아요"라고 시작하는 노래를 기억하시나요? 정말 바둑은 말이 필요 없습니다. 즉, 언어가 통하지 않아도 손과 돌만 있으면 서로 대화할 수 있는 것이지요. 바둑은 언어, 인종, 성별 등과는 아무 상관 없이 서로 한 번씩 번갈아 가면서 두는 평등한 스포츠입니다.

저는 2011년부터 초등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초등학교의 특성상 아이들과 거의 동고동락하면서 많은 추억을 만들며 하루하루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취미로 바둑을 공부하면서 느낀 점이 있습니다. 교육에 대한 고민거리를 바둑에 비유해 생각해보면 어렵던 문제들도 술술 풀린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우리의 삶을 바둑이라는 메타포(은유)로 나타내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드라마 <미생>을 기억하시나요? 이 '미생(살아있지 못한 돌)'이란 말이 대표적이지요. 또, 고등학교 때 열심히 보셨던 문제집 <수학의 정석> 기억하시나요? 정석이라는 말도 사실은 바둑 용어입니다. 이처럼, 바둑은 인간의 삶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사람의 생애에서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하는 교육 역시 바둑을 통해 바라보면 훨씬 이해하고 설명하기가 쉬워집니다.

교육에도 '접바둑'이 필요하다


제가 2년 전에 초등학교 5학년 아이들과 1년을 보낼 때의 일입니다. 경인(가명)이라는 아이는 참 밝고 친구들에게 친절한 아이였지만, 수학 시간만 되면 기가 죽어 있었어요. 흔히 얘기하는 '수포자(수학포기자)'였습니다.

저는 그 아이가 참 안타까웠습니다. 그날 수학 시간의 학습주제는 '삼각형 그리기'였습니다. 삼각형을 그릴 수 있는 조건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날은 두 변과 끼인각을 알 때 삼각형을 그리는 시간이었습니다. 역시나 경인이는 시작조차 하지 못하더라고요. 저는 그 아이가 하교한 후 교실에서 수많은 고민을 했습니다. '왜 똑같은 조건으로 가르쳤는데 경인이만 어려워하는 걸까?'

하지만 이 고민이 저의 잘못된 생각이었다는 것을 그날 밤 바둑 모임에서 깨달았습니다. 그 날은 바둑을 저보다 잘 두시는 분과 함께 연습 바둑을 하는 날이었는데요. 저는 그분보다 하수이기 때문에 '접바둑'을 두게 됐습니다.

접바둑은 바둑을 두는 방식과 관련된 용어입니다. 바둑을 두는 방식은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비슷한 실력끼리 돌 가리기를 통해 흑과 백이 번갈아 한 번씩 두는 호선바둑, 두 번째는 1치수(1단이나 1급) 차이가 나서 실력이 조금 부족한 사람이 흑을 두고 실력이 조금 높은 사람이 백을 두는 정선바둑입니다.

세 번째가 바로 접바둑입니다. 저는 저보다 실력이 높은 분과 바둑을 두었기 때문에 '2점 접바둑'을 두었습니다. 먼저 흑을 두 점 먼저 두고 시작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당연히 흑이 더 유리하겠지요. 하지만 실력 차이를 고려했을 때 접바둑을 둬야 실력이 맞고 평등하다는 것입니다.

저는 이 바둑을 시작했을 때 갑자기 경인이가 떠올랐습니다. 지금까지 수학에 대한 흥미가 없고 기본적인 지식이 부족한 경인이를 다른 아이와 똑같은 조건으로 가르치면서 그 아이가 못한다고 답답해했던 것입니다.

저는 그날 밤 집으로 돌아가 경인이만을 위한 학습지를 따로 만들었습니다. 다른 아이들에게는 두 변의 길이와 그 사이의 끼인각을 알려줘 삼각형을 그리도록 했고, 경인이에게는 그 조건 말고도 다른 변의 길이도 함께 알려주는 것이지요. 다행히 저의 깨달음과 노력은 경인이에게 힘을 주었습니다. 경인이에게는 수학학습에서 만큼은 '접바둑'의 효과가 있었던 것입니다.

바둑에서의 '접바둑'은 전혀 불공평한 규칙이 아닙니다. 실력 차이가 있는데도 똑같은 조건에서 '호선'바둑을 두는 것이 오히려 불공평한 것이지요. 교육도 마찬가지입니다. 학습자의 수준을 알고 있음에도 그 수준에 맞추어 주지 않는 것은 불공평한 일입니다.

교사의 역할은 학습자의 수준을 파악해 수업내용을 조절하는 것이며, 이것은 바둑에서의 '접바둑'과 같은 이치입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도 지금까지 상대방의 경험과 역량을 고려하지 않은 불공평한 규칙을 가지고 일을 진행하신 건 아닌지 되돌아보는 시간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최근 특수학교의 건립·확장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일반 학생들과는 다른 조건을 가진 특수교육 대상자 아동들에게는 그에 맞는 조건을 충족시켜주는 것이 실질적 평등일 것입니다. 이 문제 또한 '접바둑'의 이치에 따라 양보하고 배려하는 자세에서 논의가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