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외면받은 청춘의 사랑 '당신의 하우스헬퍼'

KBS 수목드라마 ‘당신의 하우스헬퍼’가 수요일인 8월 29일 끝났다. 당초 예정은 8월 23일인데, 아시안게임 이란과의 남자 축구 16강전 중계로 결방, 지각 종영했다. 지각 종영이라 했지만, ‘변태’ 방송이기도 하다. 목요일 종영의 수목드라마 규칙을 깬 수요일 최종회 방송이어서다. 단, 후속드라마 ‘오늘의 탐정’은 정상적으로 9월 5일 수요일에 시작한다.

 

‘당신의 하우스헬퍼’는 시작도 6월 20일 예정대로 하지 못했다. 전작 ‘슈츠’가 6월 14일 종영했지만, 러시아 월드컵 중계방송에 밀려 7월 4일에야 방송을 시작했다. 이때는 월드컵 16강전이 끝나고 8강전 들어가기 전 이틀 휴식기였다. ‘당신의 하우스헬퍼’는, 이를테면 시작과 끝 방송이 온전치 못했던 불운의 수목드라마인 셈이다.

 

그래서 그런지 ‘당신의 하우스헬퍼’ 시청률은 참담할 지경이다. 4.1%(닐슨코리아, 전국 기준)로 출발했지만, 여느 드라마들처럼 이후 시청률이 오르기는커녕 회가 거듭될수록 오히려 곤두박질쳤다. 최저치 1.7%를 기록한 회차가 있는가 하면 최종회 시청률조차 3.0%에 그쳤다. 지난 번 ‘검법남녀’에서 말했듯 지상파 TV드라마의 그런 시청률은 가히 가문의 수치라 할만하다.

 

‘당신의 하우스헬퍼’의 1.7%는 지난 해 방송된 수목드라마 ‘맨홀’의 1.6%에 이어 둘째로 저조한 시청률이다. KBS에 치욕을 안겨준 또 한 편의 수목드라마인 셈이다. 그러고 보면 지상파 방송의 드라마 몰락이 MBC만의 일은 아니지 싶다. 특히 평일 드라마의 경우 두 자릿 수 시청률 10%만 찍어도 성공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일 정도다.

 

사실 ‘당신의 하우스헬퍼’는 처음엔 시청을 많이 망설인 드라마다. 우선 전작 ‘슈츠’ 종영후 바로 이어지지 않아 그렇다. 제목이 암시하는 드라마 내용도 별로였다. 아니 별로라기보다 가정부, 그것도 남자 가정부를 주인공으로 하는 드라마에 대한 반감 같은 것인지도 모르겠다. 가령 집안 청소나 정리정돈을 돈 주고 남에게 시킨다는 것에 대한 의아스러움 같은 것이다.

 

내가 드라마에서 청소업자를 처음 본 것은 SBS 주말극 ‘우리 갑순이’(2016.8.27.~2017.4.8.)다. 교원임용 고시를 준비하던 갑순이가 택한 일인데 ‘그런 직업이 다 있구나’, 다소 신기한 느낌이었다. 청소 전문업체라 주로 사무실 등이 일하는 곳이었다. 그러니까 ‘당신의 하우스헬퍼’에서처럼 가정 집을 다니며 청소, 요리 등을 해주는 전방위적 직업은 아니었던 것이다.

 

그런데도 그예 ‘당신의 하우스헬퍼’ 32부작(옛 16부작) 전부를 시청하게 되었다. 결정적으로 그 기간에도 채널을 돌릴만한 다른 수목드라마를 찾지 못해서다. 보는 내내 불편함이 떠나지 않던 ‘당신의 하우스헬퍼’를 끝까지 본 또 다른 이유도 있다. 하우스헬퍼 김지운(하석진)을 비롯한 등장인물이 모두 20~30대 청춘들이고, 그들의 사랑하기가 주요 내용이어서다.

 

보는 내내 불편함이 떠나지 않던 건 가령 지운이 요리한 음식을 맛있다며 즐겨 먹는 아가씨들- 임다영(보나)ㆍ윤상아(고원희)ㆍ한소미(서은아)ㆍ강혜주(전수진) 때문이다. 아가씨 세 명이 음식을 해놓고 지운에게 평가받는 장면도 그렇다. 그런 장면들은 웃기면서도 뭔가 좀 서글픈 생각을 갖게 한다. 대한민국에도 정녕 남자 가정부 시대가 온 것인가.

 

그러나 인턴사원 하기의 어려움이라든가 회사내 성추행이나 싱글맘 등 여성들이 안고 사는 고충에 대한 접근은 그럴 듯해 보인다. 나아가 ‘당신의 하우스헬퍼’는 동성애자를 좋아하는 혜주를 포함한 청춘의 사랑 문제를 그리고 있다. 시의성과 함께 던진 청춘의 사랑이란 화두가 시선을 끌고 공감도 살 법하지만, 많은 시청자들로부터 외면받고 말았다.

 

그들은 청춘이지만, 과거를 간직하거나 매어 있는 군상들이다. 지운은 5년 전 한강에 투신하려던 자신을 말려준 여자, 다영은 아빠, 소미는 여고시절의 의붓오빠 등이다. 그런데 그런 것들이 거의 전부 해피엔딩으로 간다. 이를테면 너무 착한 드라마인 셈이다. 그것이야말로 대중으로부터 외면받은 주범이 아닐까 한다. 반동인물이 없어 너무 싱겁고 밋밋한 그것.

 

보는 내내 불편함이 떠나지 않던 또 하나는 권진국(이지훈) 변호사다. 지금까지 봐왔던 변호사와 완전 차별화된 모습이라 할까. 멀쩡한 사람도 미친 짓을 하게 만드는 것이 사랑이긴 하지만, 그래도 그의 상아에 대한 올인은 좀 아니지 싶다. “사랑은 야금야금 사람을 바꿔나가는 거야”라는 말이 맞긴 하지만, 현실에서 그런 변호사를 찾기 어려울 것 같아서다.

 

개연성이 부족한 전개도 있다. 가령 다영을 비롯한 친구들이 벌이는 지운의 생일 이벤트나 고맙다며 한 상 가득 차린 대접이 그것이다. 돈 받고 청소나 요릴 해주는 가정부일 뿐인데, 그게 말이 되나? 지운의 감기몸살에 다영의 밤샘 간호도 모자라 친구들 문병까지 유난을 떠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궁극적으로 남자 가정부를 너무 고품격하게 그리거나 우상화한 때문이지 싶다.

 

따라서 저조한 시청률은 아직 남자 가정부를 받아들일 수 없는 대중일반의 잠재의식이 반영된 결과일지도 모른다. 외면받은 청춘의 사랑은 그 덤터기를 쓴 셈이라 할까. 첫방송에서부터 다영이 공과금을 ‘공꽈금’이라더니 남자 주인공 지운도 8월 1일 방송에서 “비츨 떠안게 되는거죠”라 잘못 발음한다. ‘빚을’은 ‘비츨’이 아니라 ‘비즐’로 발음해야 맞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