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기초학력을 잡아라⑥]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초 문해력

본지-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기획

문해력의 사전적 정의는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지만, 그런 이해 능력과 비슷한 수준의 쓰기 능력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널리 쓰인다. 그리고 기초학력으로서 문해력은 한글을 깨쳐서 간단한 글을 쓰고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글을 읽고 내용을 사실적으로 이해하는 정도의 능력으로 인식됐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기초 문해력의 개념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탈바꿈해야 할 상황에 처해 있다. 사회 경제 구조가 빠르게 변화하는 추세를 반영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다가옴에 따라 인공지능, 자동화에 따른 새로운 업무처리 방식과 기술의 발전으로 일자리 구조가 변하고 전반적인 삶의 여건이 달라지고 있다. 이는 학습을 지속하고 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기초 문해력에도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정보의 홍수에서 살아남는 능력

 

첫째, 기술 발전과 정보의 홍수 속에서 인쇄 매체 이외의 다양한 매체로 전달되는 메시지를 이해하고 생산하는 능력이 중요해질 것이다. 이런 능력은 디지털 문해력이나 미디어 문해력이라는 용어로 표현되기도 한다. 다양한 매체에서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에서 가짜 뉴스에 휩쓸리지 않고,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선별하고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미래사회의 시민이 갖춰야 할 능력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여기서 어느 수준까지가 기초학력에 포함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논의의 여지가 있지만, 이런 양상을 기초 문해력 교육에 포함해야 한다는 점은 자명하다.
 

둘째, 구두 언어의 이해와 표현 능력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공교육에서 기초학력 문제를 다룰 때는 음성언어의 표현과 이해에 대한 고려가 적었다. 그 바탕에는 듣기와 말하기는 ‘학습’된다기보다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습득’되는 기능에 가깝다는 점, 따라서 공교육으로 진입하는 시기에 이미 구어 능력 발달이 어느 정도 이뤄져 있다는 판단이 있었다. 또 학습과 직업 세계의 성공이 구어보다는 문어 사용 능력과 더 밀접하다는 인식도 크게 작용했다.

 

그러나 우리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가정에서 구두 언어의 기초적인 기능을 습득하지 못하고 공교육에 입문한 학생들이 갈수록 많아질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또 지능적 기계가 인간의 일을 많이 대체할 미래 사회에 기계가 대체할 수 없는 인간만의 고유한 능력으로 협력과 소통 능력이 더 강조될 것이며 이때 구두 언어의 표현과 이해 능력은 더 중요해질 것이다. 그러므로 이에 필요한 기본적인 자질을 기초 문해력 개념에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기초학력에서 문어 중심의 문해력 개념의 재구성 혹은 확장을 요구하는 방향성이다.

 

언어 활용 태도까지 포함해야

 

셋째, 언어의 주체적 사용 측면을 강조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동안 기초학력으로서 문해력 교육은 주로 한글 습득, 어휘력 확장, 글의 사실적 이해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문해력이 부족한 학생이 언어의 객관적 측면을 수용하도록 하는 데 데 초점을 둔 방식이다. 그러나 말이나 글을 부리는 능력의 근저에는 말과 글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학습자의 일정한 태도가 포함된다. 이러한 태도를 교정하지 않고 기능을 세분화하거나 반복 학습하는 것만으로는 언어 능력의 개발에 한계가 있다. 또 의미 있는 글을 읽는 학습자라면 축어적 의미를 파악하는 동시에 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자연스럽게 생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학습자의 관심이나 흥미와 상관없이 독해 수준만을 고려한 글을 다루거나 학습자의 주체적 읽기를 간과하는 문해력 교육은 학습자의 능동성과 평생 학습을 위한 기초로써 문해력 교육을 강조하는 입장에서 본다면 제한적인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문해력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 이것이 평생학습을 위한 기반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글을 주체적으로 이해하고 판단하는 측면, 기초적인 읽기, 쓰기 습관의 형성에 대한 내용도 적극적으로 포함해야 한다. 또 언어를 친사회적으로 사용하며 다른 사람의 말을 기꺼이 들으려 하고 문자 매체를 거부하지 않는 등의 태도를 교육 내용으로 포함할 필요가 있다.

 

지식기반사회와 기계의 지능화로 대변되는 미래 사회에서 기초 문해력의 심화와 확장은 필연적이다. 그동안의 문해력 개념을 버린다기보다 이를 중핵으로 하되 시대 상황을 반영해 어떻게 재개념화할 것인가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고민이 심화되기를 기대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