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미래 교육, 인공지능이 아닌 사람이 만드는 과정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에 대한 담론이 한창이다. 코로나의 충격으로 사회 변화는 예측하기 힘든 상황으로 가고 있다. 교육도 예외는 아니다. 교사와 학생이 마주 보고하던 교육 형태가 흔들리고 있다. 인터넷으로 원격 수업을 진행하는 비대면 수업이 더 많아진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등교 개학이 어려워졌다. 이때 등장한 것이 온라인 교육이다. 온라인 교육은 생소했다. 교사나 학생이 잘 해낼 수 있을지 걱정도 많았다. 그런데 기우였다. 학생과 교사가 잘 적응하고 있다. 온라인상에서도 학교 시간에 맞춰 수업하고 있다. 활동 결과물을 제출하고 평가도 한다. 채팅방을 통해 실시간으로 질문을 하고, 답이 온다. 교실에서 부끄러워하던 아이들은 오히려 질문을 자유롭게 하며 수업 속으로 들어오고 있다.

 

우리나라는 디지털 기술과 콘텐츠에 대한 경험이 많다. 교사들은 온라인 수업을 위해 동영상을 제작하거나 미디어 활용을 하는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가 높다. 학생들도 교육방송에서 학습 경험을 했기 때문에 수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물론 이 과정에서 학습 속도에서 차이가 오고, 집중력이 떨어져 어려움을 느끼는 아이들도 있다. 이 문제도 콘텐츠를 흥미롭게 꾸며 동기 유발을 한다면 차츰 해결할 수 있다.

 

그렇다면 코로나 방역으로 세계를 놀라게 한 것처럼, 교육 분야에서 탁월한 모습을 보일 수 있을까. 여기에는 어두운 그림자가 어른거린다. 교육 당국은 아직도 곰팡내 나는 20세기의 잣대로 교육 현장을 통제한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교사의 유튜버 겸직이 논란이 되었다. 세상의 모든 지식이 유튜브로 모이고 있는데, 교육부는 교사의 유튜브 활동을 제지하였다. 다행히 교사의 겸직을 마지못해 허락했지만, 그 역시 조건부 허용으로 씁쓸한 부분이 많다. 경기도 내 학교는 카톡, 사설 메일 사용이 불가능하다.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교사와의 소통·교류·공유 등을 위하여 이용이 필요한 경우에 한해서 개별적으로 사용 신청을 받아야 한다. 차단 이유는 중요 업무자료가 유출되는 보안사고 예방을 위해서다. 이는 교사를 정보유출의 예비 범법자로 취급하는 격이다. 학교는 와이파이도 안 된다. 이 역시 같은 이유이다. 수업은 수시로 인터넷과 접속이 필요하다. 특별실에만 설치된 와이파이는 전교생이 자유롭게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디지털 시대에도 학교는 사이버 세상과 차단되어 있다. 보안사고 예방 등은 연수로 가능하다. 음주 운전 등을 막는다고 개인 차량으로 출퇴근을 불허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교사들은 최고의 윤리성과 책무성을 지닌다. 교사를 믿고, 외부세계와 관계를 자유롭게 열어 줘야 한다. 학생 교육을 위해서도 그 길이 최선이다.

 

미래 교육에서는 리더십도 중요하다. 이번 코로나19 사태에서 보듯이 강대국이라 믿었던 미국은 감염병 하나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는 부끄러운 나라로 전락했다.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통령의 리더십이 신뢰를 주지 못한 결과다. 학교에서도 리더십은 교육의 효과를 좌우한다. 여전히 교장, 교감이 교사들을 연가나 조퇴를 불편하게 하고, 학사 운영에서 강압적인 횡포를 일삼는다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은 과거의 모습에서 머물러 있게 된다.

 

미래 학교의 핵심 교육 내용은 친절, 겸손, 배려, 희생, 감사 등이 될 것이다. 이런 덕목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 교육이다. 학교에서 지식을 배우는 것도 그것으로 사회에서 성공하려는 것도 이런 것을 성실하게 실천해서 얻는 결과여야 한다. 이런 교육을 위해서는 민주적인 학교 운영이 답이다. 교육은 결과만큼이나 과정이 중요하다고 했다. 상호존중과 수평적인 민주적인 소통의 과정이 있을 때 교육의 결과도 왜곡되지 않는다.

 

학교 조직이 강압적이고 일방적인 지시로 움직인다면, 수업 문화는 바람직한 정착을 하지 못한다. 실제로 수업컨설팅을 가보면 선생님들이 수업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는 학교 문화 때문인 경우가 많다. 학교 문화가 경직되고 고압적이다 보니 수업을 잘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관리자의 시각으로 수업을 강조하다 보니 외부로 드러난 교사의 행위에만 초점을 둔다. 수업을 일방적으로 강조하는 관리자는 감시자로 느껴지고, 그들이 하는 충고 역시 불편하기만 하다. 결국, 수업을 강조하는 지시만 있을 뿐 창의적인 수업 문화는 생산되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는 교사 개인 능력과 상관없이 수업은 어려워진다.

 

코로나19 사태로 급작스럽게 온라인 개학을 했다. 그 과정에 걱정하는 시선도 있었지만, 선생님들은 비교적 차분하게 인터넷 강의를 해냈다. 교육 당국과 현장의 관리자들이 지원하고, 담당 교사들이 사명과 헌신으로 몰입한 결과다. 교사들은 전문가다. 지원을 하면 얼마든지 가치와 목적에 맞는 큰 성과를 낸다.

 

미래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 역시 사람이다. 인공지능보다 사람이 해낼 것으로 믿는다. 예산을 들여 시스템을 갖추고, 랜선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람에게 감동을 주는 지혜가 있어야 한다. 학교의 리더인 관리자들은 자기 성찰을 통해 의식을 고양하고 학교의 큰 모습을 조망하는 능력이 있는 것처럼, 교사들 역시 시대의 문제를 고민하고 스스로 대처하고 성장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인터넷 연결보다 학교 구성원이 소통하고 공감하는 연결이 필요하다. 이들이 경험에서 얻은 지혜와 통찰력을 나눌 때 미래 교육에 장밋빛 전망이 보인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