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글로벌 교육기관 바르키 GEMS 재단이 발표한 ‘교사 위상 지수’ 보고서는 우리나라 교사에 대한 학생들의 존경심이 경제협력개발기구(OCED) 회원국 중 최하위권(11%)인 것이라고 밝혔다. 군사부일체(君師父一體)와 같은, 스승의 자리를 높이는 말이 더 이상 통용되지 않는 교육현장의 모습이다.
교권이란 교사의 권리 또는 교사의 권위를 의미하거나 둘 모두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교권 침해란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불손한 언행, 학부모의 무리한 민원 제기 등 교원의 법적, 사회적, 윤리적 권위에 대한 외부의 부당한 행위에 의해 직, 간접적으로 교권이 훼손되는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교권침해는 결국 학생의 학습권과 교사들의 내실 있는 교육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교권이 바로 서야 학생의 학습권이 보호될 수 있기에 교권의 붕괴나 교권 침해로 인한 최대의 피해자는 결국 학생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교육 현장은 교권침해에 대하여 교사가 교권보호위원회 조정신청 또는 교육법률지원단 자문 요청 등 물리적·기계적으로 해결하는 추세에 있다.
물론 교권침해에 대해 달리 교육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면 법적인 절차에 의한 해결은 불가피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교사의 학생에 대한 교육이 사랑에 바탕을 두고 사랑의 정신으로 보호되고 성숙될 수 있음을 잘 알고 있다. 사랑은 교권이 존중받을 수 있는 교권의 핵심적인 기준 가치다. 사랑을 쏟은 곳에는 반응이 일어난다. 아이들도 사랑으로 대하면 반응을 보인다. 사랑은 기다림이요, 귀에 들려진 말이 아니라 말의 행간에 들어있는 숨은 의미와 꼭꼭 묻어둔 감정을 알아차리는 것이다.
「도레미 선생님은 수업시간에 황당한 일을 겪었다. 수업을 시작하려고 하는데 영수가 갑자기 뒷자리 친구의 머리를 때렸다. 선생님이 나무라자 영수는 갑자기 욕을 하며 자리를 박차고 나갔다.” 학생들이 보는 앞에서 당한 일이라 선생님은 화끈거리고 다시 수업을 진행하기가 두려웠다.」
순간 도레미 선생님은 너무나 당황하였고 학생들 보기가 민망스러웠지만 잠시 정신을 가다듬다 영수를 찾아야겠다는 생각으로 운동장으로 나가니 영수는 스탠드에 앉아 고개를 파묻고 씩씩거리고 있었다. 선생님은 조용히 “영수야, 괜찮니”라고 물었다. 영수는 쭈뼛쭈뼛 고개를 들어 선생님을 보았다. “영수야, 오늘 무슨 일이 있었니? 난 괜찮으니 이야기 해 봐.”
한참을 지나 영수는 뒷자리의 철수가 쉬는 시간에 제가 하지 말라고 하는데도 계속 지우개 조각을 던졌어요. 수업시간이 되어 선생님이 오셨는데도 저에게 지우개 조각을 계속 던져 순간적으로 너무 기분이 나빠 저도 모르게 철수의 머리를 때린 거에요.”
선생님은 영수의 말을 듣고 “철수가 너를 괴롭혀서 기분이 많이 상했겠다. 선생님도 네 심정이 이해되네. 그런데 다음에는 네가 친구를 때리기보다 먼저 참고 선생님께 먼저 그 사실을 말해주면 좋겠구나.”하고 영수의 등을 따뜻하게 어루만졌다.
불호령이 떨어질 줄 알고 잔뜩 겁을 먹고 있었던 영수는 선생님의 말을 듣고 와락 선생님을 껴안고 흐느끼며 선생님께 잘못했습니다라는 말을 반복했다. 그 사건은 이렇게 조용히 무마되었다.
도레미 선생님이 교권 침해를 했다고 영수를 데려와서 학교규칙에 따른 징계나 학교교권보호위원회를 열어 조치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영수의 잘못을 지적하고 반성만을 요구한다면 영수는 단지 그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마음에 내키지 않지만 잘못했다는 말만 했을 것이다. 도레미 선생님은 영수의 돌발행동에 대하여 영수의 행동 뒤에 가려진 숨은 의미를 찾기 위해 사랑의 손을 뻗쳤고 그 사랑의 손은 영수의 마음에 닿아 영수를 바른길로 이끌게 된 것이다.
교권침해 사건에 대하여 사회적·제도적으로 연구하여 풀어나갈 필요는 분명히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적인 방안은 언제까지나 보조적인 방법일 뿐이지 가장 근본적인 방법은 교사의 학생에 대한 사랑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