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水道)’ 혈자리에 대해 쉽게 설명하자면 우리 인체 내에서 수액을 운반하는 수도관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논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반드시 관개시설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강줄기로부터 논까지 물을 대기 위해서 물길을 만듭니다. 수도라는 명칭처럼 이 혈자리는 물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 몸의 물길과 연관 깊은 수도 혈
우리 몸의 가슴, 배 부분을 자세히 관찰해 보면 3개의 혈자리가 물과 관련되어 있는데 그 혈자리는 바로 수돌(水突), 수분(水分), 수도(水道)입니다. 각각 상, 중, 하의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가장 오래된 중국의 의학서인 <황제내경>에서는 “삼초는 결독지관(決瀆之官)으로 여기에서 물길이 나온다”고 합니다. 여기서 결독은 물길이 소통되는 것을 의미하고 삼초는 이 물길을 통제하고 조절하며, 우리 몸의 수액을 총괄하는 역할을 합니다.
삼초 중에서는 하초가 가장 특별합니다. 방광은 주도지관(州都之官)이라고 합니다. 사실 주도는 옛날에는 강 가운데의 모래톱을 의미하며 물 가운데에서 사람이 거주할 수 있는 곳을 지칭합니다. 방광은 삼초의 수액이 모두 한꺼번에 모이는 곳으로, 삼초위 수액은 모두 이곳에 모여서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수도혈은 방광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방광의 수액을 운송하고 기화시키는 작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젊은 여성들에게 좋은 혈자리
수도는 물을 다스리는데 좋습니다. 일체의 수액과 관련이 있는 문제 즉,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문제나 삼초에 열이 모이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습니다. 또 이곳은 여성에게는 복음과도 같은 혈자리이기도 합니다. 특히 월경통이 있는 젊은 여성들에게 더 좋습니다. 매월 월경 전 수일 동안 소복부를 꿰뚫는 통증에 시달리는 증상의 원인은 월경의 경로가 찬 기운으로 인해 기가 정체되거나, 막혀 있거나 또는 경혈(經血 · 생리혈)이 장애를 돌파하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