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기반 교실에서 교사가 이를 활용하고 수업에 효과적으로 통합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전문가로서 정체성을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를 위해 교원 학습공동체의 원활한 운영 지원, 연수 프로그램 참여 지원, 엄선된 교사용 자료 보급 등과 같은 디지털 역량 확대를 위한 체제를 만들어야 한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국회입법조사처는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 도서관 대강당에서 제4차 디지털 시대 교육기회 균등 NARS 연속간담회를 개최했다.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을 위한 교원과 학생의 역량’을 주제로 열린 이번 간담회에서 발제를 한 김자영 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위원은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다 복합적인 실천 역량인 디지털 의사소통과 협력, 디지털 창작 및 함유, 디지털 시민참여 능력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제대로 된 디지털 기본 소양이 반드시 전제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디지털 역량 함양을 위한 수업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스스로 사고하고 탐구할 수 있는 기회제공이 필요하고, 다양한 교과가 통합된 형태로 이뤄지는 것이 중요한데 이같은 수업 설계와 관련한 연구 자료는 찾기 어려운 형편이라고 지적했다.
디지털 역량 교육 강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한 김 연구위원은 “디지털 역량의 가변적 속성을 고려할 때 연수 내용을 수시로 업데이트하고, 단기간에 연수 효과를 확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연수 모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기존 일회성 집합연수로는 디지털 환경에서 요구하는 효과를 충족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며 양질의 체계적인 온라인 콘텐츠를 작은 학습 단위로 제작해 온라인 연수 플랫폼을 통해 제공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을 위한 교원 역량을 주제로 발제한 계보영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AI디지털교과서기획부장은 교사의 역할에 대해 강조했다. 그는 “교사가 AI기반 교육프로그램의 기능과 한계, 효과적인 사용방법 등을 지속적으로 학습해야 한다”며 “새로운 도구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합한 활용을 정하고, 교수학습을 통해 통합하고 이를 개별 학생의 특성에 근거해 보다 깊이 있는 학습을 이끌어 내는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