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대 인연으로 연결된 교수님과의 만남

2024.06.12 11:38:58

40여 년 전의 방송청취가 맺은 인연
‘삼국지’와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번역, 수십 년 만에 꿈 이뤄
독서로 '고결한 삶'을 배울 수 있을 기회

 

70년대 말 무렵, 필자는 중등 역사교사 자격을 가진 풋내기 사회과 교사였다. 사회·역사과목이 학생들에게 단순히 암기하는 과목으로만 치부하게 만든다면 나의 책임을 면하지 못할 것 같았다. 당시 어떻게 하면 수업에 재미있는 스토리를 곁들어 할 것인가는 나의 가장 큰 과제였다.

 

이 무렵 건국대 신복룡 교수님께서는 KBS 5분 칼럼을 통하여 인간의 삶과 역사적 인물에 대한 이야기를 방송하셨고, 이 내용을 담은 <아침의 메아리>5권의 책과 부록까지 출판하셨다.

 

나는 그때 라디오로 방송을 열심히 들었고, 나에게 너무 많은 영감을 준 책이어서 선배, 동료들에게 소개하기도 했다. 그리고 오랫동안 수업시간에 활용하였다. 아이들도 좋아하여 이 내용은 나 자신의 생각의 폭을 넓히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지금은 40년 세월이 지나고 보니 종이 색깔이 많이 누렇게 변하였지만 아직도 소장하고 있다.

 

그런데  인터넷 검색을 하여 보니 교수님께서는 약 7년에 걸쳐 신구약 성경을 교감하셨다는 기사를 읽고, 기사를 쓴 기자에게 메일을 보내 선생님의 전화번호를 알아 뵙겠다는 전화를 드렸더니 흔쾌히 허락하셨다.

 

11일 12시 30분 뵙는 기회를 갖게 되어 담화의 시간을 갖게 되었다. 최근에 쓰신 개정 증보판 <잘못 배운 한국사>를 선물로 받게 되어 집에 돌아와 읽어보니 평상시 의문을 가졌던 질문의 해답이 많이 있었다.

 

선생님께서는 2년 전인 2021년 2월에 ‘삼국지(집문당)’와 ‘플루타르코스 영웅전’전집(을유문화사)을 완역하셨는데, 당시 기자와의 문답에서 “수십 년간 가슴에 품은 꿈을 이뤘다”며 이렇게 밝히셨다.

 

“동서양의 대표 영웅전인 ‘삼국지’와 ‘플루타르코스 영웅전’을 자국어로 완역한 세계 최초의 작가가 되고 싶었습니다. 그 꿈을 이루고 나니 어언 80세 가까이가 됐군요.”

고대 그리스의 작가이자 역사가 플루타르코스(서기 46∼120)는 알렉산드로스, 카이사르, 한니발 등 역사 인물 52명의 기록을 영웅전에 담았다. 정치학자인 신 전 교수님이 고전 번역에 몰두하게 된 이유가 궁금했다.

“6·25전쟁 직후 너무 가난해 고등학교에 가지 못하고 서울 을지로 구멍가게에서 일했습니다. 고드름으로 허기진 배를 채워야 했던 그 시절, 두 작품 속 영웅들이 제 꿈과 희망을 지켜줬죠.”

그는 오래전 플루타르코스 영웅전을 처음 읽은 때를 정확히 기억하고 있었다. 그는 “열아홉 살이던 1961년 처음 읽고 그때부터 완역의 꿈을 가졌다”고 말했다.

정치학자가 된 이후에는 틈틈이 13종의 영웅전 판본을 수집해 비교했다. 2007년 번역에 본격적으로 착수해 교수직 정년퇴직까지 5년간 학교에선 플루타르코스 영웅전을, 집에선 삼국지를 번역했다.

미국 하버드대 출판사 영역본과 대만 상무인서국 출판사 출간본을 각각 원문으로 삼았다. 관련 전문가들의 조언을 받고 출판사를 찾는 데도 수년이 걸렸다.

플루타르코스 영웅전은 그간 국내에 다양한 번역본이 나왔지만 이번 신간에는 기존 번역본에 포함되지 않은 한니발전과 스키피오전 등 7편을 추가했다. 고전 연구자들이 정본으로 간주하는 프랑스 자크 아미요 주교(1513∼1593) 판본에 나오는 분절 번호도 반영했다. 그는 “성경을 몇 장 몇 절이 아닌 페이지로 인용하지 않는 것처럼 영웅전 같은 고전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번역본 중에는 분절 번호가 달린 게 없어 연구자들이 특정 문장을 인용하기가 쉽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헤로도토스(기원전 484∼425)와 투키디데스(기원전 460∼400)를 포함한 여러 그리스 역사가들 중에서도 플루타르코스의 역사관에 가장 깊이 공감했다고 한다. 플루타르코스는 다른 역사가들과 달리 영웅을 신격화하지 않고 인간의 곁으로 끌어내려야 한다고 생각한 인물이다.

그는 영웅이란 하늘에서 내려온 사람도, 땅에서 솟은 사람도 아니라고 했다. 다만 역사가 부르는 순간에 옳은 행동을 했을 뿐이라는 것이다. 덕분에 평범한 사람들도 영웅들의 이야기를 접하고서 그들을 닮겠다는 용기를 낼 수 있다.

“플루타르코스가 원래 붙인 책 제목은 ‘영웅전’이 아닌 ‘고결한 삶을 산 사람들(Noble Grecians and Romans)의 생애’입니다. 이들이 보인 충절, 우국심, 신의를 통해 지금을 사는 독자들도 고결한 삶을 배울 수 있을 겁니다.”라며 책은 우리에게 좋은 정신적 영양제가 될 것으로 믿고 지속적으로 지적활동을 계속하시는모습이 필자에게는 등대처럼 보여졌다.

김광섭 교육칼럼니스트 ggs1953@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 광고 문의: 042-824-9139(FAX : 042-824-9140 / E-mail: sigmund@tobeunicorn.kr)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여난실 | 편집인 : 여난실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