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논단> 선택형 수능, 장점은 보이지 않는가

2013.03.28 22:24:47

지난 13일 전국연합 모의고사 실시와 함께 2014학년도 대입의 막이 올랐다. 올해 대입의 최대 화두는 이른바 ‘선택형 수능’이다.

그런데 새로운 수능 시행을 위해 3년의 예고 기간을 거쳤지만 강 건너 불구경하듯 지켜만 보다 막상 시행 년도가 되자 여기저기서 유보나 폐지 의견이 나오고 있다. 문제를 제기하는 이들의 주장은 당초 취지와는 달리 학생들의 학업부담이 줄지 않고 사육비 절감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데다 대학은 물론이고 고교 서열화가 심화될 수 있고 현장의 준비가 미비하다는 것이다.

중상위권 학생 선택 폭 넓어져

문제는 이런 주장이 새로운 수능이 치러지는 올해에 와서야 공론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미 고3 학생들은 수년 전부터 자신의 실력에 따라 과목별로 ‘쉬운 수능’과 ‘어려운 수능’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 준비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새로운 수능에 맞춰 고2 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비 수능까지 치른 바 있다. 일선 고교는 선택형 수능에 맞춰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교과서까지 구입해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수능 연계율이 높은 EBS 강의도 많은 예산과 연구진을 투입해 수준별 교재를 개발하고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물론 부정적 의견에 일리가 없는 것은 아니나 그렇다고 일부 언론까지 동조하면서 ‘선택형 수능’의 문제점만 파헤친다면 장점까지 묻혀버릴 공산이 크다. 수능은 1993년 학력고사를 폐지하고 도입된 이래 필요 이상의 학습 부담을 줄이기 위해 수학은 인문계와 자연계로 구분해 가형·나형으로 출제해 왔고 탐구는 진로와 연관된 과목을 중심으로 선택권을 강화했다. 단, 국어와 영어는 수준을 구분하는 경계가 모호하기 때문에 동일한 기준을 적용해 시험을 치렀다.

지난해까지의 수능시험에서 인문계 학생들은 수학Ⅱ 및 기하와 벡터를 공부하지 않아도 되는 만큼 학업부담이 많이 완화됐다. 그러나 자연계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국어에서 인문계 학생들과 함께 겨뤄 좋은 성적을 얻기 어려웠다. 지금 자연계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까다로운 국어 과목의 수준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수능을 반기고 있다. 영어 과목은 중상위권 대학이 대부분 B형을 지정했기 때문에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성적이 오르지 않는 학생들이 눈높이를 낮춰 자신의 수준에 맞는 공부를 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이미 중상위권 대학들은 인문계 자연계로 구분해 각각 국어B, 영어B, 수학A와 국어A, 영어B, 수학B로 반영 과목을 지정했다. 중하위권 대학들은 과목 선택권을 개방하되 B형을 치른 경우에는 일부 가산점을 부여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중상위권 대학을 목표로 공부하되 수능성적이 여의치 않으면 실력에 맞는 대학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은 더 넓어졌다.

입학사정관제의 연착륙과 함께 진로교육이 활성화되면서 목표 대학이나 학과에 대한 결정이 저학년 때 이뤄지는 만큼 수능 준비에 따른 학습 부담을 줄여가며 적성에 맞게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수도 있다. 수시모집 비중도 높아져 모집 정원의 70%에 육박하는 만큼 수능의 역할이 일정 수준의 학력 수준을 파악하는 정도로 그치는 경우도 많다. 현재 일부 상위권 대학의 수시모집 최저학력기준이 지나치게 높다는 비판도 있지만 향후 과목을 불문하고 A형까지 최저학력기준으로 허용한다면 학업 부담 완화에 따른 공교육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공교육 정상화 가능성에 주목해야

오랜 기간 동안 숙고 끝에 결정된 정책을 장점은 제쳐 놓은 채, 여론몰이로 단점만 지적한다면 굳이 제도나 정책을 만들어야 할 이유가 없다. 모든 정책은 처음부터 완벽하지 않다. 그것이 교육과 관련된 것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일단 결정된 정책을 두고 시행하기도 전에 물리라고 하면 굳이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자해 정책이나 제도를 만들 필요도 없다. 새로운 수능시험이 공교육을 정상화할 수 있는 여지는 얼마든지 있다. 일단 시행하고 문제가 있다면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진규 충남 서령고 교사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