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자유학기제, 교육과정과 평가는 어떻게?

2013.07.25 18:42:22

전국의 42개 자유학기제 연구학교가 2학기부터 운영을 앞두고 있다. 자유학기제의 의미는 시간 운영보다는 교육과정과 평가 등에서 새로운 교육적 시도를 수행하는 특별한 학기를 운영한다는 데 있다.

교육부는 자유학기제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으로 진로 교육 강조, 학생의 체험·참여형 프로그램 강화, 학생 중심 교수·학습 방법 다양화, 학교별로 자율적이면서 유연한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강조하고 있다. 평가 측면에서는 중간·기말고사 등 시험부담 없는 학기를 표방하고 있다.

자유학기 교육과정은 ‘공통과정’과 ‘자율과정’으로 구분된다. ‘공통과정’은 기본 교과인 주지교과들로 주로 오전에 수업을 하고, 현행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과 유사한 활동들 그리고 예술·체육 교과가 포함된 ‘자율과정’은 오후 또는 전일제로 운영된다.

1974년 아일랜드의 전환학년제 도입 때도 처음에는 여론이 회의적이고, 비관적이기까지 했다고 한다. 그러나 국가의 지원과 열정적인 학교의 실행 덕에 전환학년제를 선택하는 학교가 40년간 꾸준히 증가해왔고, 전환학년제는 학교가 자율적으로 융통성 있게 운영할 수 있는 국가 교육과정으로, 학생·학부모·교사 모두에게 만족도 높은 프로그램으로 인식되고 있다.

지금 시작단계에 있는 자유학기제는 긍정적인 측면에서는 그 취지인 ‘꿈과 끼를 키우는 행복교육’을 실현하고 이를 통해 학교 교육과정 전반의 질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몇 가지 보완이 필요하거나 개선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

첫째는 선택 주체인 국가, 교육청, 학교의 역할 조율이 필요하다. 아일랜드 전환학년제는 학교에 선택권은 줬지만, 국가에서 교육과정 지침 고시, 교과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 제공, 교육과정 실행 지원서비스 제공 등 전폭적인 지지를 해 운영됐다. 이런 강력한 역할을 국가, 교육청으로 양분하고 학교가 쉽게 새 정책을 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둘째는 적용 학기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연구학교들은 1학년 2학기, 2학년1학기를 적용할 예정이나, 최종적으로 모든 학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자유학기제 적용 학기에 대한 열린 관점을 허용해야 한다. 또 전국 모든 학교에서 같은 학년과 학기에 자유학기제를 할 것인지, 선택적으로 시·도교육청이나 학교가 시기를 결정할 것인지 등의 의사결정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셋째는 교과의 변화를 도모하는 정책이 돼야 한다. 전환학년제 교육과정의 특징은 교과의 변화에 있었다. 통합적인 다양한 교과 구성과 활동 중심 수업, 직업 체험 활동이 교과에 포함된 것이다. 반면 자유학기제는 기본 교과의 변화도 도모하지만 창의적 체험활동과 예술체육 교과 등 자율과정의 역할에 더 기대가 큰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자유학기제에서도 교과의 재구성, 수업의 변화가 시도될 때 교과 수업이 꿈과 끼를 살리는 행복교육의 주역으로 자리매김하고 학교를 변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는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자유학기 교육과정 샘플과 템플릿 개발이 요청된다. 아일랜드의 사례와 같은 자유학기제 교과 교육과정의 샘플과 템플릿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지필평가 대신 자유학기제 기간에 교과의 수행평가가 원활하게 이뤄질 방안과 평가 도구, 방법이 연구·개발돼야 할 것이다.

여섯째, 자유학기 전후의 학기들, 특히 이후의 학기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의 연계가 잘 이뤄져 자유학기제가 한 개 학기의 자유가 아니라 중학교 교육전반을 행복 교육으로 이끄는 지렛대가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외에도 교육과정과 평가를 넘어서 자유학기제와 관련해 해결해야할 과제는 직업 체험 확대에 따른 학교 밖 물적·인적 자원의 준비, 학교 안팎 자원의 학교·지역 간 격차 문제 해소, 자유학기 기간 및 이후의 생활지도, 고교 자유학기제 적용 등이 있다.
김진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