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先취업 後진학 일반화

2014.11.30 19:39:36



직업교육 받은 실업학교 졸업생 중
학비 마련 후 진학 선택 적지 않아


“정확히 말하자면 제 목표는 의상디자인학과가 있는 대학에 진학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가고 싶은 사립대학 등록금을 내려면 돈을 벌어야 해요. 졸업하면 대학보다는 여행사에 먼저 취직해 좋아하는 여행도 하고 돈도 벌 계획입니다. 얼마간의 돈이 모이면 원하는 대학에 지원해 보려고요.”

테오도르프레이학교 12학년생 디어링 베어덴(18·사진)은 졸업 후의 진로에 대해 묻자 이렇게 입을 열었다. 그는 실업학교인 레알슐레 과정이 끝나는 10학년을 마치고 이원제 직업교육과정인 아우스빌둥을 시작했다.

디어링은 중학교 저학년 때는 대학에 대해 생각해보지 않았다. 학년이 올라가면서 하고 싶은 공부가 생겼다. 의상디자인이었다. 그런데 막상 디자인 공부를 전문적으로 할 수 있는 대학을 알아보니 사립이라 등록금을 내야 했다. 이 사실을 안 후 그는 진학보다는 취업을 선택했다.

독일인들 중에는 평범하게 초·중·고에 이어 대학을 졸업하고 그에 걸맞은 직업을 찾는 사람도 많지만, 일단 직장에 취업을 하고 세상 경험을 먼저 한 후 진학을 생각하는 젊은이들도 적지 않다. 우리에게는 아직 일각의 구호로 다가오고 있는 ‘선 취업 후 진학’이 정착돼 있는 것이다.

특히 처음부터 대학을 목표로 공부하는 김나지움보다는 레알슐레 졸업생 중에 이 길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독일은 초등학교 때 교사의 평가에 따라 중학교 때부터 대학진학을 목표로 하는 김나지움과 전문 직업교육에 더 초점을 맞춘 실업학교인 레알슐레, 기초지식과 직업훈련을 받는 보통학교인 하우프트슐레, 혹은 직업교육과 인문교육 기능을 통합한 게잠트슐레로 진학하는데 레알슐레 졸업생 중 일부는 김나지움에 들어가 입시를 준비하기도 하지만 직업교육 과정인 아우스빌둥으로 가는 것이 보통이다.

디어링의 경우는 엄마와 둘이 살고 있어 그리 넉넉한 가정형편이 아니기 때문에 등록금을 내는 대학에 입학한다는 것은 무리였다. 독일은 등록금이 없는 주립학교가 대부분이지만 전문적인 학과가 개설된 사립대학도 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그녀가 원하는 과정이 사립대학에만 있었던 것이다.

이 때문에 학교를 졸업하고 나면 여행사에서 몇 년 동안 일한 후, 디자인학교에 응시해볼 계획이다. 가정형편이 넉넉지 않아도 이렇게 꿈을 키울 수 있는 것이다.

디어링은 지금도 학생인 동시에 직장인이기도 하다. 용돈을 받지 않고 학교에 드는 비용과 옷값 등을 스스로 벌어서 해결하기 위해 10학년 때부터 주말에는 레스토랑에서 일했다. 독일에서 세금이 감면될 수 있는 최저 임금인 400유로(약 60만 원 정도)를 받고 있다.

가정이 어려운 학생들은 디어링처럼 대부분 우리의 고1에 해당하는 10학년이 지나면 스스로 아르바이트라도 해서 자기 앞가림을 하기 위해 길을 찾아 나선다. 성인으로 인정받는 18세가 되면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이미 16세부터 자신의 용돈 정도는 알아서 해결하는 학생들이 적지 않다. 이처럼 일찍 세상을 알게 하고, 스스로 사는 법을 가르치는 것 또한 독일교육의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박성숙 ‘꼴찌도 행복한 교실, 독일교육 이야기’ 저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