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에서는 직업학교와 기업의 실습을 병행하는 고교과정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14일 한국교총을 방문한 한스 유르크 켈러 취리히 교원대 교수는 직업교육을 중시하는 스위스의 교육 제도에 대해 소개했다. 취리히 교원대학교 대표단은 한국의 교원양성제도, 과학기술 교육 등을 살펴보기 위해 14~18일 한국을 방문, 그 첫 번째 일정으로 교총을 찾았다.
켈러 교수는 “직업학교와 기업실습을 병행하는 스위스의 듀얼 시스템을 토대로 한국에서도 일·학습 병행제를 운영하고 있다고 들었다”고 언급했다.
스위스에서는 초·중학교 의무교육 9년을 마치면 학생 3분의 2정도가 이 듀얼 시스템이 적용된 직업 훈련을 받는다. 목수, 제빵, 미용부터 비서 업무 등 사무직까지 200여 직종의 훈련이 가능하다. 2~4년의 과정을 마치고 취직을 하거나 상급학교인 기술전문대학에 진학해 학업을 이어갈 수도 있다.
나머지 3분의 1의 학생만이 대학진학을 목표로 고교(김나지움)로 진학한다. 김나지움도 가르치는 과목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학교로 구성돼 있다. 의사나 성직자 등을 목표로 하면 초등 6년 과정을 마친 뒤 바로 6년반 과정의 고교로 진학한다. 이곳에서는 라틴어를 포함해 최소 3개국어, 수학이나 과학 등을 학습한다. 그 외에 4년 반 과정으로 언어나 수학·과학, 경제학을 중점으로 하는 고교 등이 있다.
대학보다는 직업 교육의 가치를 중요시 여기는 사회적 풍토로 인해 이곳에서는 국민의 20%정도만 대졸이다. 50%는 직업학교, 그 나머지는 고졸 학력을 갖고 있다.
켈러 교수는 “의무교육 외에 고등교육은 중요시되지 않는다”며 “직업 훈련만으로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고 직업 실습을 통해 실질적인 지식을 배운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다보니 고등학교 졸업장인 마투라만 있으면 스위스의 약대를 제외한 모든 대학에 입학할 권리가 주어진다. 우리나라의 수능과 같은 전국적인 대입 시험이 없다. 스위스의 종합대학교는 총 12개로서 연방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2곳과 칸톤(주)에서 운영하는 일반대학 10곳이 있다. 대학에서도 인문·사회보다 과학이나 기술 전공을 더 중시한다.
대학 자체적으로도 정원을 정하지 않다보니, 학생들은 경쟁을 거치지 않고 원하는 대학, 전공을 선택하게 된다. 그래서 취리히 교원대의 경우, 한해에는 300명의 입학생이 있다가도 다음 해에는 600명이 되기도 해서 학생 수급을 예측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대학 수업료도 실비의 약 5% 수준인 연간 1300프랑(157만원 정도) 정도만 학생에게 부담시키고 있다.
직업 훈련을 마친 학생들이 가는 기술전문대학은 스위스의 7개 권역별로 1개씩 운영되고 최근에 사립대 1곳이 정부 인가를 받아 총 8곳이다. 3년 과정의 대학으로 이곳에서도 실험 이나 현장 실습을 위주로 하고 있다.
그 외에 예술 교육으로 특화된 7개 고등교육기관, 교사 양성을 위한 21개 사범대학 기관 등이 있다.
켈러 교수는 스위스에서 직업교육을 홍보하는 포스터를 보여줬다. 모발과 타조의 얼굴이 나와 있는 사진에는 ‘실습생을 이발사로 만들어라, 그러면 그가 생물학자가 될 것이다-전문직의 미래는 밝다’라는 문구가 쓰여 있다.
그는 “이발사로 실습을 하다가 직업학교에서 높은 수준의 자격증을 따거나 대학으로 가서 생물학자가 될 수도 있다는 스위스 교육의 장점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스위스에서는 이렇게 진로를 변경하는 학생들이 매우 많고 그에 따른 다양한 통로가 열려 있어 실패의 길로 빠지는 경우가 매우 극소수”라고 밝혔다. 스위스가 세계 행복지수에서 꾸준히 1위를 차지하는 비결은 이같은 교육 체계가 큰 몫을 하고 있다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