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을 가르치는 입장이니 교사로서 어제 이루어진 '황우석 교수 기자회견'은 당연히 관심사이며 개인적으로도 관심사였기에 월드컵 축구 경기를 기다리듯, 그러나 침통한 마음으로 회견 내용을 다 보았습니다. 그래도 성이 차지 않아 가상공간의 기사들을 찾아 행간을 읽으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런데 우연치 않게 발견한 소식에 고개를 갸우뚱했습니다. '독일 슈피겔지는 조작이 아닌 오류'로 보도했다는 내용 앞에서 단어의 의미가 눈에 걸렸습니다.
조작인가, 오류인가?
똑같은 사안에 대해서 조작으로 보는 것과 오류로 보는 시각이 엄청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직감이 뇌리를 스쳤습니다. 국어 사전적 의미로 조작(造作)이란, '무슨 일을 지어내거나 꾸며 냄'이고 오류(誤謬)는 '그릇되다 속이다, 잘못'이라고 해석하고 있었습니다. 과학적 소양이 부족하니 깊이 말할 자격은 없지만, 이번 일을 조작으로 보는 것과 오류(잘못)로 보는 것에는 엄청난 시각차가 존재하지 않을까요?
제 짧은 소견으로는 조작에는 범죄적인 느낌이 강하고, 오류에는 실수나 고의성이 덜 느껴지는 뉘앙스가 풍기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다수 언론들은 하나같이 조작으로 보도하는 사안을 먼 나라에서는 오류로 보는 시각의 차는 속칭 '황까와 황빠'의 거리만큼 크다고 생각합니다.
마치 조선시대 당쟁을 보는 것 같은 가상공간의 말싸움을 보면 결론은 하나입니다. 잘못했으니 100% 못 믿겠다(조작)와 잘못은 했지만 1%라도 믿어주자 아닙니까? 부관참시를 할 만큼 지독했던 조선의 유교문화와 온정주의가 펼쳐지는 지금, 아무도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타협은 없으며 최고 아니면 다 죽이기로 살벌한 전쟁터입니다.
댓글로 피터지게 싸우는 가상공간
진실을 알고도 말하지 않는 사람들, 몰라서 말 못하고 애터지는 사람들, 죽이자고 시퍼런 칼을 들고 날마다 정신적 살인에 이를 가는 사람들, 뭔가 억울해 보이니 기회를 주자는 사람들로 넘칩니다. 좋게 보면 토론을 벌이는 것 같지만 찬성과 반대만 있을 뿐, 아무도 자기 입장을 선회하는 사람은 없어 보입니다. 초등학교 도덕 시간의 가치갈등 수업 시간에 자기 의견이 상대방의 의견보다 덜 논리적이거나 가치성이 떨어지면 아이들은 자기 의견을 수정하는 공부를 합니다. 한 발 더 나아가 더 좋은 대안을 제시하고 타협점을 찾기도 합니다.
이 때 가장 기본적인 자세는 상대방에게 사적인 감정으로 인신공격을 하지 않으며 정중한 표현을 쓰는 것입니다. 토론은 하되 말싸움으로 번져서 원수(?)를 만들어서 국론분열(?)상태로 가는 것을 막는 것은 선생님이 할 일입니다. 아이들은 이러한 학습과정을 거치면서 가치판단을 배우고 실천하며 다른 사람의 인격도 나의 인격만큼 소중하다는 가치를 내면화 시켜 가는 것입니다.
네티켓은 어디에?
그런데 주로 어른들이 이용하는 가상공간에서는 이와 같은 네티켓 문화가 거의 수준이하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네티켓 운동의 전도사인 셰어 여사는 가상공간에서 지켜야 할 행동양식을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 가상공간에서의 상대방도 나와 똑같은 실제 인간임을 명심해야 한다.(그래야 음란하고 무례한 행동을 하지 않는다.)
* 실제생활에서와 똑같은 기준과 행동을 고수해야 한다.
* 다른 사람의 시간을 존중해라.
* 온라인에서의 자신을 근사하게 만들어라.
* 전문적인 지식을 공유해야 한다.(세상을 좀더 좋게 만들기 위해)
* 타인의 실수를 용서해라.
* 자신의 권력을 남용하지 말라
* 논쟁은 절제된 감정 아래 행해져야 한다.
이에 저는 감히 제안합니다. 인터넷 실명제에 적극 찬성하는 사람이지만 그것이 어렵다면 최소한 논쟁에서 자신의 입장을 설득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감정을 자제하고 실수를 줄이며 상처를 주지 않기 위해서 실명을 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인터넷 문화는 언론의 기능을 대신할 만큼 큰나무로 자랐습니다. 장점도 많지만 폐해도 많은 게 사실입니다. 역사의 물줄기를 돌릴 만큼 막강해진 인터넷의 장점을 살려서 건전한 토론문화를 키웠으면 합니다.
그리하여 가상공간에서 만나는 논객들이 이모티콘으로, 우리 글로 인사를 나누는 '아름다운 꼬리글 문화'를 만들어 갔으면 참 좋겠습니다.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옛 성현의 말씀, 혼자 있을 때 몸가짐을 바르게 하라는 도덕적인 가치관이 현대에 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분! 얼굴은 보이지 않지만 자신의 모습을 가꾸어 갑시다. 상대방을 칭찬할 때는 익명으로 하더라도 비평할 때는 실명을 씁시다. 실명을 쓰면 글을 쓰면서 책임감을 느끼기 때문에 욕설을 퍼붓고 싶은 값싼 충동으로부터 자신을 구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좋은 의견이나 대안도 감정이 실리면 진실이 전달되지 않고 감정싸움이 되고 맙니다. 때로는 내가 아는 진실이 티끌이고 상대방의 정보가 대들보일 수 있습니다. 정보의 바다에서 색안경을 끼고 사물을 대하면 보이는 지식을 논리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게 됩니다. 찬성을 위한 찬성, 반대를 위한 반대 논쟁은 소모적일 뿐입니다.
몇 년 전, 인터넷이 보편화 되지 않아서 네티켓 교육이 활성화되지 않았을 때, 우리 반 아이가 다른 친구에게 전자우편으로 욕설을 해서 그 부모님까지 싸울 뻔한 일이 있었습니다. 상담하고 두 아이를 친하게 만들어 주는데 시간이 걸렸고 학급 아이들도 상처를 받은 기억이 납니다.
이제 우리 어른들이 아름다운 네티켓 문화를 제대로 정착시켜서 아이들이 보고 배울 수 있도록 가꾸어야 하지 않을까요? 꼬리글 실명제를 우리 선생님들과 교육계 구성원들부터 앞장 서서 앞장 실천하여 가상공간에서도 사람들의 훈훈한 대화가 넘쳤으면 좋겠습니다. 교육계가 앞장 서서 아이들에게, 제자들에게 본을 보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