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사람들은 영화 '왕의 남자'에 열광하는가?

2006.02.17 16:00:00



요즘 어디를 가나 영화 '왕의 남자'가 화제다. 일부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아직 이 영화를 보지 않은 사람에게 '원시인'이라며 면박을 주기도 한단다. 이제는 '왕의 남자'를 '보았느냐 안 보았느냐'를 넘어 '몇 번 보았느냐?'로 그 사람의 문화수준을 가늠한다는 우스갯소리까지 들린다.

'왕의 남자'가 관객 천만 명을 돌파하였다. 영화관마다 '왕의 남자' 표를 구하기 위한 인파로 줄이 길게 늘어 서 있다. 이런 추세라면 아마 우리나라 영화 사상 최고, 최대의 흥행 영화라는 기록을 남길 듯싶다. 왜냐하면 이 영화를 한두 번도 아니고 다섯 번, 열 번, 아니 스무 번도 넘게 보는 일명 '왕의 남자, 폐인'들이 줄을 잇고 있기 때문이다.

"월드컵을 계기로 그동안 축구에만 미쳐 살다 처음으로 영화란 것에 미쳐본다."(닉네임 ‘각시탈공길 님), "혼을 빼놓았소. 흥분, 숨 막힘, 뭔지 모를 끓어오름, 그리고 진하게 시린 가슴… 내 생에 있어 또 다시 어디에 미쳐 있을 일이 있을까요."(두루마리 님) 등 많은 네티즌들이 월드컵과 비교하며 자기도 모르게 이 영화에 빠져들고 있다고 했다. 또한 오늘로 20번째 관람하고 왔다는 '자유의 감옥'님은 오늘도 이 영화를 보며 눈물을 흘렸다며, "왕의 남자 향기가 너무 짙습니다. 가시질 않아요"라고 말했다.

도대체 '왕의 남자'의 무엇이 사람들을 극장으로 불러내는 것일까? 그리고 무엇 때문에 사람들은 이 영화에 중독 되어 보고 또 보고 하는 것일까? 이를 알아보기 위해 극장으로 달려가 사람들도 만나보고, 한 인터넷 카페 '왕의 남자'에 올라온 감상과 평을 두루 읽었다.

자칭 자신들을 '왕남 폐인'이라고 당당하게 밝힌 사람들은 이렇게 말하고 있었다.

'볼거리가 풍성하다.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전혀 새로운 영화다', '가슴을 울린다. 여운이 있다. 카타르시스가 있어 좋다', '왠지 모르게 눈물이 난다. 이번엔 안 울어야지 이를 악물어도 또 울고 만다. 휴지나 손수건이 꼭 필요한 영화다', '주인공격인 네 사람 모두 슬픔과 아픔을 간직하고 있다', '광대는 왕으로 왕은 광대로 둔갑하게 만들어 극적 긴장성을 형성한다', '보면 볼수록 의문이 많이 남는 영화다. 공길과 장생은 왜 그랬을까? 또 연산은 왜 그럴 수밖에 없었을까? 끝없는 의문이 자꾸만 영화관을 찾게 만든다.'

사람마다 진단은 조금씩 달랐다. 그러나 '훌륭하다', '대단하다'는 평보다는 무언가 사람을 끄는 마력이 있다는데 동의하고 있었다. 그것이 대체 무엇일까? 무엇이 사람들의 심금을 이다지도 울리고 있는 것일까? 수많은 폐인들의 이야기를 듣고 또 듣다보니, 가닥이 잡히기 시작했다.

다른 영화와 달리 '왕의 남자'만의 독특한 마력을 굳이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줄타기'이다. 물론 광대들의 '1차적인 줄타기'가 이 영화의 재미를 한층 더했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 '2차적인 줄타기'가 있었다. 그것은 다름 아닌 역사와 허구 사이에서의 줄타기, 또 하나는 인물과 인물 사이에서의 줄타기다.

우선 이 영화가 어디까지 역사이고 어디까지 허구인가를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왕의 남자'는 분명 실존인물의 일대기를 다루거나 과거를 재조명하려는 '역사 영화'는 아니다. 그렇다고 역사와 무관한가 하면 그렇지도 않다. 전통 사극일 뿐이다.

사극 열풍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한류의 주역으로 손꼽히는 드라마 '대장금'이나, 현재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서동요'와 마찬가지로 '왕의 남자'는 무엇보다 먼저 풍부한 상상력으로 관객들을 사로잡고 있다는 것이다.

영화 속 인물 '장생'은 가공인물이다. 그러나 '공길'은 실존인물이다.

"임금은 임금다워야 하고 신하는 신하다워야 하고, 아비는 아비다워야 하고 아들은 아들다워야 한다. 임금이 임금답지 않고 신하가 신하답지 않으면 아무리 곡식이 있더라도 내가 먹을 수 있으랴."

공길(孔吉)의 이 말에 왕은 불경하다 하여 곤장을 쳐서 유배하였다는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이 보인다. '연산군일기'에 딱 한 번 등장하는 이 기록에 이런 저런 풍부한 상상력과 구성진 이야기가 덧붙여져 영화 <왕의 남자>가 탄생한 것이다.

이 밖에도 장녹수, 인수대비, 내관 김처선, 이조판서 성희안, 광대, 경극 등을 두고도 열띤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이런 역사와 허구 사이에서의 줄타기가 이 영화를 보는 재미를 더하고 있다는 평이다.

그러나 정작 중요한 줄타기는 인물과 인물사이에서의 줄타기다. 물론 연산과 중신 등 다른 인물들 사이에서의 줄다리기와 줄타기도 볼만하지만, '왕의 남자'를 보고 또 보게 만드는, 자신도 모르게 빠져들게 하는 가장 핵심적 장치는 바로 '장생과 공길의 줄타기'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영화를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길이라는 인물에게 관심이 집중된다. 단순히 예쁜 남자라서 그럴까? 아니다. 보는 이로 하여금 아름다움에 대한 자기 투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공길의 미모는 동방신기나 현빈, 원빈과 같은 꽃미남과는 사뭇 다르다고 볼 수 있다.

그에게는 '아니마'(남성 속에 있는 이상적인 여인상)가 있다. 공길이 가진 '아니마'는 여성보다는 모성, 그리고 모성이 만들어낸 사랑이라는 판타지까지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이 사람들로 하여금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잘 포장된 판타지를 제공하는 단초가 된다는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해 한 방송사가 토론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는데, 마광수 교수는 "사람들은 거울을 통해서 만족을 꾀하는 '나르시시즘'이 내재" 되어 있고, "여자든, 남자든 모성애를 동경한다. 자궁에서 태어난 사람은 자궁을 그리워한다"고 하여 이런 주장에 힘을 실어주었다.

공길의 '아니마'는 영화 속에서 상대를 이해하고 자신을 희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패거리들을 배부르게 하기 위해 원치 않는 매춘을 하고, 장생을 구하기 위해 낫을 들고, 어미를 잃은 연산을 가슴을 열어 보듬어 주는데, 이것이 바로 어머니의 사랑이라는 것이다.

이 공길 속에 내재해있는 '아니마'라는 블랙홀에 양반들도 빠져들고 연산군도 빠져들고 장생도 빠져들고 심지어 관객들도 빠져들고 있는 것이다. 마치 사랑의 신 큐피드의 화살을 맞은 것처럼…. 다만 장생의 사랑법은 남색하는 양반이나 연산군과는 달랐다. 그것이 보는 이의 마음을 아련하게 적시는 것이다.

"양반의 눈이, 자신들의 재주가 아니라 공길의 몸에 가있다는 것을 눈치 챈 장생은 일부러 줄에서 떨어져 공연을 중지합니다. 그리고 맞지 않아도 될 매를 벌어가면서까지, 양반의 손에서 공길을 구해냅니다.

궁으로 들어간 장생은 공길의 마음을 흔들고 있는 연산 때문에 당황합니다. 그러면서 놀랐을 겁니다. 공길에 대한 자신의 사랑이 결코 형제애만은 아니란 걸 알게 되었으니…. 등을 돌린 채 이불을 걷어내고 자고 있는 공길에게 이불을 덮어주며 장생은 잠시 갈등했을 겁니다.

어느 양반처럼 혹은 연산처럼 공길을 품고 싶었는지도 모릅니다. 어쩌면 공길도 그걸 원하고 있는지도 몰랐고요. 하지만 그런 욕망을 누를 수 있는, 육체적 사랑하고는 비교할 수 없는 커다란 사랑이 장생에게는 있었을 것입니다."

'왕의 남자'를 열 번이나 보았다는 40대 후반 남자 '폐인'의 평이다. 정말 공길에게 향한 장생의 이틋한 마음은 무엇이었을까? 동성애였을까? 우정이었을까? 형제애였을까? 동지의식이었을까?

아마도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임을 알기에, 뼈를 깎는 아픔으로 욕망을 꺾어 아로새기고, 공길을 위해서는 목숨까지 내던지고 기꺼이 희생하며, 그것을 우정, 또는 형제애, 아니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최고의 가치로 승화시켰기에, 보고 또 보아도 슬프고 아프고 아름다우며 두고두고 아련하게 여운이 남는 것은 아닐까?

보는 사람에게만 보이는 장생과 공길의 줄타기를 통해 관객은 단순히 연인 간의 로맨스보다 훨씬 진하고 한 단계 더 높은 차원의 사랑을 만끽하는 게 아닐까 싶다.

중년의 남자 '폐인'은 열 번을 보고도 또다시 영화가 그리워진다면서 여운처럼 한 마디 덧붙였다.

"허허허, 넉넉한 장생이 그립습니다. 슬픈 눈의 공길이 자꾸만 그립습니다."
김형태 교사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