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학교 교사의 큰 슬픔

2006.07.27 09:48:00

큰 학교란 전남의 실정에서 보면 학급수가 15학급이 넘거나 학생수 300명이 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6학급이하 100명 이하면 작은 학교에 해당된다.

그런데 큰 학교에 이웃해 있는 작은 학교의 학생수가 점차 감소되어 가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이유는 작은 학교의 학생들이 서류상으로만 주소지를 옮겨 큰 학교로 자꾸 전학을 가고 있기 때문이다. 이같은 현상에는 학부모님들의 선입관이 큰 몫을 하고 있다. 대부분 큰 학교의 시설이 더 좋다고 생각하고 또 큰 학교의 선생님들이 더 능력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큰 학교 주변에는 학원이나 대형 문구점 서점 등 학생 편의시설이 밀집 되어 있어 더욱 그렇다. 그리고 학부모님들은 많은 아이들 속에서 배워야 더 많이 배우고 또 아이들끼리 놀며 부딪치며 배우는 게 더 많다고 생각한다. 또 졸업 후에도 동창이나 친구도 큰 학교 졸업생이 더 많다는 거다. 일견 맞는 말이기도 하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생각하면 맞지 않는 말이기도 하다.

시설 면에서는 큰 학교가 더 좋을 수도 있다. 그것은 아무래도 다수에게 혜택을 주기위해 큰 학교에 대한 투자가 더 많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교사의 질이 큰 학교가 더 낫다는 것에는 동의할 수 없다. 교사는 순환근무제에 의해 한 학교에 4년 이상 머물 수 없기 때문에 큰 학교 교사가 작은 학교로 작은 학교 교사가 큰 학교로 끊임없이 이동되기 때문이다.

또, 40명에 육박하는 과밀 학급에서 1명의 교사가 아이들을 일제히 통제하며 지도하기란 그리 쉽지가 않다. 아이가 다소 내성적이며 소극적이라면 더욱 그러하다. 과밀학급에서 학생들에게 골고루 교사의 손길이 미치기는 어렵다. 교사의 열정과 노력 나름이겠지만 특별보충이 필요한 한두 명을 제외하고 한아이 한 아이에게 개별지도 하기는 정말 어렵다.

그런 학급에서 공부를 못하거나 가난한 아이는 왕따가 되기도 한다. 여기에서 왕따란 적극적 왕따가 아니라 소극적 왕따로서 표 나지 않게 소외되는 경우로 교사와 아이들의 무관심 속에 있다는 얘기다. 오히려 그런 아이들은 소인수 학급에서 교사의 관심과 보살핌, 그리고 친구들의 따뜻한 우정 속에 공부하는 게 더 나을 수도 있다.

그렇게 작은 학교의 학생들이 자꾸만 큰 학교로 전학가게 되면 작은 학교는 더욱 작아지고 나중에는 폐교의 위기에까지 몰리게 된다. 실거주하는 학생이 모두 제 학구에 위치한 학교에 다닌다면 폐교의 위기에서 벗어날 수도 있으련만 현실은 그렇게지 못하다.

지금 교육부는 적정규모 학교육성이라는 말로 전국의 많은 학교를 폐교시킬 계획을 세우고 있다. 마치 작은 학교를 폐교하고 큰 학교와 통합시키는 것이 적정규모 학교 육성인 것 같다. 그리고 어느덧 교육학자들의 입으로도 효율적인 학교를 이야기한다. 변화에 민감하지 못한 교사나 경제적으로도 비효율적인 학교는 없어져야 마땅한 시대가 온 것이다.

무엇이 효율적인 것인가. 작은 학교에 근무하며 변화에도 민감하지 못한 나는 자못 불안하고 걱정스럽다.
김용숙 초등학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