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 교육 과정은 새로운 시대에 부응하기 위하여 만든 혁신적 교육 개혁안이었다. 이를 발표했을 때 교사, 학생, 학부모, 전 국민들이 높은 기대를 걸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그 교육적 효과를 얻기 보다는 오히려 일선 교육 현장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특기적성교육, 봉사활동, 수준별 수업이 그렇다.
왜냐하면 첫째 특기 적성, 수준별 수업을 할 수 있는 교육 여건이 아직도 형성되어 있지 않다. 특기 적성, 수준별 수업이 제대로 이행 되려면 그에 적합한 충분한 시설과 전문적 인력, 별도의 시간이 투자 되어야 하는데 그렇지가 못하다. 도시 중심의 다인수 학급 · 학교가 대다수인 비슷한 학교 현실에서 개인별 교수에 가까운 특기적성 교육이나 수준별 수업을 한다는 것은 무리가 따른다. 봉사 활동 또한 진정한 봉사활동의 정신이 생겨나는지 궁금하다.
둘째 개인의 특기와 적성, 수준에 맞는 수업을 하면 모든 학생이 원하는 일정한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냉정하게 생각하면 학생들은 타고난 유전형질이 다르고 학교 교육 외에 주어지는 또 다른 교육에 따라 천차만별의 수준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를 쉽게 구분하고 적정한 지도를 한다는 것은 지금의 교육 여건에서는 어렵다. 또 수준별 수업으로 수준을 높였지만 수준이 다르게 취급을 받을 수 없는 현실이다. 수준별 수업 후에 이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는 제도가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조기 진급이나 졸업제도가 있지만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기에 학생들이나 학부모는 또 다른 수준을 찾아 해외로 까지 나간다.
셋째 여건이 갖추어지지 않는 현장에서 억지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해서 수준별 수업을 했지만 그 평가를 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일정한 기간에 수준이 높아진 학생들에 대한 보상은커녕 오히려 년 말에는 수준이 낮은 학생들과 동급으로 취급되어 똑 같이 진급을 한다. 힘들게 수준을 높일 이유가 없어져 버린 것이다. 그래서 학생들은 마지못해 적당하게 학교 공부를 하는 것 같다.
넷째 교육부가 수준별 수업을 강조하면서 한편으로는 평균화 정책을 강조하고 있다. 엄청난 논리적 모순에 빠져 있다. 그러면서도 이 두 가지를 계속 추진하려 하다 보니 힘만 들고 되는 일은 별로 없다. 수준별 수업의 목적이 수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비해 평준화 정책은 이를 정면으로 부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 관료들이 왜 자신의 자식은 특수 목적고에 보내면서 이를 막으려 하는가. 이는 우리의 교육문화가 이중적 사고를 하지 않으면 살아가기 힘들기 때문이다. 누구나 학교 교육 따로, 사교육 따로 하지 않으면 안되는 풍토에서 살아가고 있다.
어떻게 보면 이러한 가치관을 만들어가는 것이 교육부 관료들이고 엘리트들이 아닐까. 돈 없고 힘없는 자들이 이를 모르고 학교 교육에 따르다 보면 어느새 자신의 자식은 뒤쳐져있는 현실을 알게 되어 공교육을 불신하고 사교육에 매달릴 수밖에 없다. 아무리 뱃장이 두둑한 학부모라 해도 이를 따르지 않을 수 없는 현실이 되어 버렸다.
다양한 사회 다양한 교육을 부르짖으면서도 다양한 학교의 설립과 운영에 제동을 가하고 있는 것이 교육 당국이다. 또 지나친 경쟁을 막아 가난을 대물림하지 않게 하려는 의도는 좋지만 또 다른 경쟁을 불러일으켜 힘들게 하고 있다. 교육 당국이나 학교 방침을 믿고 힘들게 공부를 했는데도 확실한 미래가 보장되지 않는다. 학교를 졸업하고 자신이 나아가야할 출구가 별로 보이지 않는다. 개혁은 허공의 메아리였고 현실은 냉정하게 자신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그래서 국민들은 학교 교육을 믿지 않는다. 그리고 학교의 권위는 차츰 떨어지고 그 전문성마저도 의심을 받는다. 오죽하면 학교와 학원을 동급으로 보며 자신에게 이득이 되는 새로운 길을 찾아 동분서주 뛸 수밖에 없다.
교육 개혁이 특기 적성 · 능력별 · 수준별 교육으로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다양한 인간을 만들어 낸다고 하면서도 현실은 입시 교육에 빠져 헤매고 있다. 남보다 1점이라도 더 올려보겠다는 교육 가치관을 막지도 못하고 어물주물 하고 있다. 그러니 어느 누구인들 자기 자식이 손해 볼 것이 뻔한데 이를 보고만 있을 수 있겠는가. 그래서 엄청난 사교육비가 들어가면서도 자식을 학원에 보내고 외국 유학도 보낸다.
공교육이 제자리를 찾지 못하다 보니 학생과 학부모의 목소리는 자꾸 높아지고 그럴수록 학교 현장에 있는 교사의 힘은 더욱 위축되어 간다. 그래서 학교는 그저 교육 당국의 방침에 따라 적당하게 하는 척 하지 않을 수밖에 없다. 열심히 바른 심성을 심고 묵묵히 교과지도를 하고 있는 교사들이 푸대접을 받고 있는데 교육이 바로 서겠는가. 그리고 교육의 잘못을 학교에만 전가시키려 하고 있다.
자신의 실익을 추구하려는 혼란된 교육 가치관과 교육 환경 속에서 새롭게 커가는 것은 사교육 시장이요 요령 있는 사람들이 득을 본다. 교사도 예외가 될 수 없어 적당하게 인기를 얻어 가르치려 한다. 열심히 가르쳐 보아야 좋은 소리도 듣지 못하고 그 결실 또한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분명한 교육 목표와 확실한 제도가 없기 때문에 교사의 의욕과 열정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정직해도 아니 되고, 많이 알아도 아니 되며 인간적인 교육도 싫어하니 어찌하란 말인가.
교육이 이벤트씩 · 복권당첨씩 문화로 흘러가는 느낌이다. 누구는 또 이렇게 말하기도 한다. ‘혼란된 풍토 속에서 또 다른 새로운 삶의 싹이 돋아나겠지하고 말이다. 그러나 그렇게 되기까지에는 너무나 많은 에너지와 비용이 들어가고 희생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 국민들이 가지고 있는 교육 가치관 속에서 개인의 특기와 적성, 수준별 수업은 꿈과 이상일 뿐 일선 교육 현장에서 이를 바르게 시행하기란 참으로 어렵다. 교육을 정말 바로 보고 개혁하고 혁신하였으면 한다. 개혁의 방향은 너무 잘 잡았으나 우리의 여건이 따라가지를 못하다 보니 오히려 교육이 엉뚱한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열심히 자신의 적성에 맞는 한 가지 공부만 제대로 하면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다고 외치지를 않았는가? 그런데 현실은 교육이 모두를 행복하게 하기는커녕 모두를 힘들게 하고 더 불행하게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대학을 나와 수많은 자격증을 획득하여도 취업이 되지 않는다. 언제까지 학교나 학생 학부모가 교육적 에너지와 비용을 투입하여야 하며 언제쯤이나 국민들이 향기나는 교육 과실의 맛을 볼 수 있을까?
초 · 중등 교육이 그간 수많은 개혁을 시도 하였음에도 아직도 제대로 이루어 지 지 않고 있으며 불신을 받는 바람에 학교의 권위는 사라지고 교권은 추락하고 있다. 그 이유는 개혁이 교사와 학생 · 학부모를 너무 쉽게 실험의 대상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 장관이 바뀌면 그때그때 마다 달라지는 교육제도! 어찌 국민이 편안하게 살아갈 수 있겠는가?
분명하게 엄청난 부작용이 나타나리라는 예측이 가능했는데도 무리하게 개혁을 추진하다보니 개혁을 위한 개혁, 혁신을 위한 혁신을 하라 하니 교육의 본질마저도 흔들리고 있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인성교육이다. 그런데 이마저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 되어버렸다. 전 국민들을 인면수심의 인간성으로 되어 가도 이를 바르게 잡으려 하지 않고 있는 것이 우리 교육이 아닐까. 사람이 먼저 되고 배움이 있어야 하는데 말이다.
교육은 미래를 위한 확실한 투자다. 우리나라처럼 자원이 부족한 나라에서 인적 자원의 개발은 우리의 살길이요 개척의 분야다. 그런데 막대한 인력과 돈을 교육에 투자하고도 그에 걸맞은 결과를 얻을 수 없으니 답답하다. 투자에 대한 승수효과는커녕 본전도 못 찾아내고 있다. 지루한 교육 개혁과 혁신이 국민들의 머리만 더 아프게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인성교육 하나만이라도 확실하게 하자. 가는 길이 너무 힘들고 피곤하면 좀 쉬었다 가는 것도 좋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