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아이가 보내온 편지 한 통

2006.10.18 20:28:00

우리 사회에 인터넷 문화가 일반화 되면서 어느 때부터인가 우표가 붙은 편지가 사라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한때 수많은 연인들이 사랑의 감정을 듬뿍 담아 밤새워 고민하며 쓰고 지우고를 반복하며 부쳤던 편지. 전화가 일반화되었을 때도 말로 하지 못했던 마음 속 이야기들을 수줍게 한 땀 한 땀 써내려갔던 기억이 새롭다.

군대에 가서 훈련병 시절 입었던 사복을 집으로 보내며 그리움과 눈물로 써서 보냈던 편지. 사랑하는 엄마 아빠도 아닌 '아버님 전상서'로 시작되는 편지를 보내면서 부모님에 대한 사랑을 다시 한 번 깨달았던 시절도 이젠 희미한 추억으로 흔들거림을 본다.

그 사랑받았던 편지가 멀어지면서 어느 때부턴가 다시 그리워지기 시작했다. 잘 살게 되면서 가난한 시절 애환을 함께 했던 보리밥이 그리워 다시 찾게 되듯이 우표가 붙은 봉투에 또박또박 주소를 눌러 쓴 편지를 받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물씬물씬 안개처럼 일어나는 것은 왜일까. 그 속엔 전자우편으로, 전화로, 문자로는 묻어나지 나지 않은 사람 냄새가 나기 때문이다.

사랑하는 아이가 보내온 편지 한 통

선선한 가을바람이 산들산들 창을 타고 넘어오는 오후. 노랗게 익어 까치밥이 되어 가고 있는 교정의 감을 바라보고 있는데 직원 아가씨가 '편지네요'하며 편지 한 통을 갖다 준다. 난 그 '편지네요'란 말에 절로 미소가 돌며 얼른 받아들었다. 보낸 사람을 보니 사랑하는 제자로부터 온 편지였다.

'이쁜 녀석, 네가 내 마음을 알았구나.' 속으로 생각하며 편지를 읽고 있는데 반 아이 몇이 다가와 무슨 편지냐고 묻는다.

"무슨 편지를 '헤~'하고 읽으세요?"
"응. 애인이 보내온 편지."

"치, 선생님 나이가 몇인데 애인이에요."
"왜, 내 나이가 어때서? 그리고 나이 먹으면 애인 있으면 안 된다는 법 있니?"

"참, 자꾸 그러시면 사모님한테 일러바칠 거예요. 그거 누구 편지예요?"
"애인 편지라니까."

아이들과 가벼운 농담을 하며 맨 뒤에 썼던 '선생님을 사랑하는 제자 인숙이가'라는 글귀를 보여주며, "어때, 여기 사랑한다고 쓰여 있지? 그러니까 애인 맞잖아"라고 했더니 어이가 없었던지 녀석들이 흰머리나 뽑고 간다면 두 개를 뽑더니 나가버린다.

나가는 아이들을 바라보며 다시 편지를 읽었다. 처음엔 반듯하게 써내려가던 글씨가 나중엔 삐뚤빼뚤 커지다 작아지다 한다. 새벽 1시가 넘은 시간에 쓰는 편지라며 이해를 구하는 말까지 적혀 있다. 편지 속엔 다른 기숙사로 이사했다는 이야기부터 시작하여, 같은 방 친구가 통닭 먹으러 가자고 했는데 살찔까봐 안 나가고 대신 편지를 쓰고 있다는 얘기, 이번 추석엔 쉬어 집에 내려갈 수 있어 기분이 좋다는 이야기와 지난 명절엔 일을 해 슬프고 외로웠다던 이야기, 그러면서 명절에 만나게 될 친척들이 대학에 안 가냐고 물으면 뭐라고 대답을 해야 할지 같은 고민거리도 쓰여 있다. 그리고 같은 방을 쓰고 있는 친구가 에어컨을 켜고 자는 바람에 감기 걸렸다며 감기 조심하라는 안부까지 정 묻어나는 마음으로 쓰여 있다.

그리운 사람에게 편지 한 통 써보세요

누군가 내가 가장 좋아하는 꽃이 무어냐 물으면 '코스모스'라고 대답한다. 100년 전 고향인 유럽을 떠나 우리나라까지 와 우리에게 가장 친근한 꽃이 된 코스모스. 가냘픈 몸매로 가을의 전령처럼 길가에 핀 코스모스를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이유는 어릴 적 추억이 듬뿍 담겨 있기 때문이다.

10리가 넘는 거리를 걸어 다녔던 초등학교 시절, 가을이면 신작로 양 길가엔 코스모스가 나란히 피어 있었다. 하굣길에 조무래기 우리 친구들은 코스모스 꽃길에서 온갖 놀이를 하며 시간을 보냈다.

우리들이 그때 주로 했던 놀이는 벌 사냥이었다. 코스모스 꽃을 따 침을 꽃잎에 가득 뱉은 다음 그 코스모스 꽃을 한창 꽃 속에 묻혀 꿀을 빨고 있던 벌에 잽싸게 갖다댔다. 그러면 찐득찐득한 침에 벌의 날개가 달라붙어 벌은 꼼짝도 못하고 우리들의 손아귀에 들어왔다. 손에 들어온 벌은 이내 꽁무니의 침을 들이대며 달아나려 안간힘을 써보나 부처님 손바닥의 손오공이었다.

또 다른 벌 사냥 방법은 고무신을 이용하는 것이다. 고무신 뒤꿈치를 잡고 잽싸게 벌을 채는 동시에 땅바닥에 고무신을 내동댕이치면 벌은 잠시 기절을 한다. 그 틈을 이용해 우리는 벌을 잡아 꽁무니의 벌침을 제거하고 꽁무니에 맑게 대롱거리며 달려있는 깨알만한 꿀을 혀로 핥아먹었다. 벌의 꿀을 약탈한 우리들은 여자아이들에게 벌을 들이대며 쫓아간다, 그러면 여자 아이들은 기겁을 하고 도망갔다. 아, 그 맛과 재미라니. 그런데, 그때 놀았던 남자와 여자 아이 중엔 오랫동안 편지를 주고받다 후에 결혼까지 한 녀석이 있다.

간혹 그 친구를 보면 그때 이야길 하며 웃곤 한다. 그런데 그 친구는 학창 시절에 숱하게 여자 친구에게 편지를 보내곤 했었다. 이 세상의 좋은 말은 다 골라내듯 이것저것 달콤한 문구를 찾아내 편지를 썼다. 그땐 그게 하나의 유행이었고 자기 마음을 표현하는 방법이었다.

가을이다. 가을이 되면 잊혀져가던 것들이 떠오른다. 그것들은 어느 새 호반의 안개처럼 몽실몽실 그리움이 되어 피어오른다. 가을이 저물어 가기 전에 그리운 사람들에게 마음을 담아 편지 한 번 써 보자. 가을 냄새가 나는 편지지와 봉투에 코스모스 꽃잎 하나 넣어 사랑하는 가족에게, 오랫동안 못 만났던 친구에게, 아님 엊그제까지 함께 있다 잠시 떨어져 있는 친구에게 편지를 써보자. 편지를 받아들고 행복하게 미소 짓는 얼굴을 떠올리면서.
김 현 교사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