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란 무엇일까, 아니 역사란 어떤 것일까 하는 생각을 해볼 때가 종종 있다. 요즘 고구려를 소재로 만들어진 드라마를 보고 있노라면 부쩍 그런 생각을 자주 한다. 과거 속의 지나간 역사를 가만히 살펴보고 있으면 현재의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보게 된다. 한 나라가 처한 역사적 상황 속에서 등장하는 인물들을 보면 생각과 하는 행동들이 너무나 닮아 있다. 그래서 역사란 반복된다고 했던가?
특히 망국의 한을 이야기한 역사물을 보면 더욱 그런 생각이 든다. 그러나 역사는 물과 같다고 했다. 막혔다가도 때가 되면 다시 흐르기 마련이다. 이미 흔적마저 희미한 역사일지라도 시원을 따져가 보면 실핏줄처럼 연결되는 게 있다. 강숙인의 소설 <초원의 별>처럼.
<초원의 별>은 <아, 호동 왕자>, <청아 청아 예쁜 청아>, <화랑 바도루> 등 우리 신화와 역사, 고전을 소재로 한 작품을 꾸준히 펴낸 작가 강숙인의 신작 역사소설이다. 작가는 이 소설을 마의태자의 꿈을 그린 <마지막 왕자> 그 뒤의 이야기를 상상하며 썼다고 한다. 그러기에 작가 스스로도 역사적 자료나 기록이 없는 상태를 인정하고 그 전제하에 소설을 썼다고 말하고 있다.
그렇다면 <초원의 별>은 어떤 내용의 소설일까? 작가의 상상력에 의해 전체적인 내용이 만들어졌지만 몇 가지 사실에 근거를 두고 있다.
신라가 망하고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아들 마의태자가 금강산으로 들어간 것이 아니라 강원도의 인제에 들어가 고려에 저항운동을 했다는 전제하에 소설을 시작하고 있다. 그런 근거로 강원도 인제군 김부리에 대왕마을, 맹개골 같은 지명과 한계산성의 유물, 대왕마을에서 일년에 두 차례씩 제사를 지냈다는 사실에서 마의태자가 마지막까지 저항 운동을 했을 것이라는 판단이 소설의 시발점이다.
또 고려 초에 마의태자처럼 고려에 저항했던 신라의 왕족이 여진 땅에 가서 금나라의 시조가 되었다는 자료이다. 금나라의 역사서에 금나라의 시조는 신라의 왕족인 금준, 김극수라고 한다. 그가 예순이 넘어 여진 부락에 와서 쉰이 넘은 노처녀와 결혼을 하고, 부락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여 추장이 되었고 그의 후손들이 금나라를 세웠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소설은 김준은 마의태자의 아들로, 김극수는 마의태자와 함께 신라의 부흥을 꾀하다 인제를 떠나 새부를 보살피는 양아버지로 그려진다.
새부는 양아버지를 친아버지로 안다. 아버지는 새부가 장성할 때에야 친부에 대한 비밀을 알려준다. 고려 북쪽 변방에서 자신들의 신분을 숨긴 채 지내던 이들은 역모의 모함에 빠져 고려를 떠나 여진 부락으로 향한다. 여진족이 흩어져 살던 곳은 옛 발해의 지역. 그곳에서 새부와 김극수는 새로운 삶을 살게 된다.
새부는 여진족의 아린이라는 처녀를 만나 사랑에 빠지고 아린은 그에게 ‘초원의 별’이라는 이름을 붙여준다. 그는 추장의 아들을 구해주고 추장자리에 추천을 받으나 그 자리를 아버지에게 양보한다.
추장 자리에 오르게 된 김극수는 발해 사람으로 쉰이 다 될 때까지 노처녀로 지내온 소소라는 여인과 혼인을 한다. 그리고 그의 자손 혹은 김준의 자손들이 후에 여진족의 나라인 금나라를 세운다. 그럼 작가는 세부의 행로를 통해서 무엇을 이야기하고자 한 것일까. 작가는 이렇게 말한다.
“나는 역사소설이면서 성장소설인 청소년 소설을 쓰고 있었다. 또한 우리 조상들이 금나라 역사를 우리 역사로 인식했다는 글을 읽고, 우리가 잘 모르고 있는 금나라의 시조에 대한 이야기도 해보고 싶었다. 허구의 이야기를 통해 금나라 시조가 신라 사람이었다는 분명한 역사적 사실 하나만은 꼭 알려주고 싶었다.”
금나라의 시조가 신라 사람이었다는 게 우리와 무슨 관계가 있느냐 하는 반문을 할 수도 있다. 민족과 민족, 나라와 나라라는 게 오랜 세월 동안 얽히고설키면서 현재까지 온 게 아닌가. 하지만 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그 뿌리를 생각하곤 한다. 그 이유는 무얼까. 어떤 심리적 위안이나 만족을 위한 것이 아닌가 싶다.
<초원의 별>. 이 소설은 역사 소설이면서 그리 광대하지 않다. 어쩌면 아주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새부와 김극수라는 인물이 망국의 한을 달래면서 고려를 떠나 여진 부락에 들어가 후에 금나라의 시조가 되었다는 단순한 구조로 되어있다. 여기에 아기자기한 남녀간의 사랑과 권력을 쥔 자와 그렇지 않은 자의 갈등이 그리 크지 않게 그려져 있다.
그리고 이야기 자체도 무겁지 않다. 산보를 하는 기분으로 읽을 수 있다. 그러면서도 독자는 역사소설의 특징인 과거로의 여행을 떠날 수 있다. 초원의 밤하늘에 무수하게 펼쳐진 푸른 별을 바라보며 무너진 옛 왕국을 그리워하면서도 자신의 운명에 순응하는 한 젊은이, 새부를 만날 수 있다.
소설 속의 새부를 만나고 있으면 마음이 차분해진다. 그리고 그의 맑고 곧은 마음과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선 자신도 버릴 줄 아는 진정한 용기도 만나게 된다. 그리고 아름다운 노래도 들을 수 있다. 작가가 소설 속에 노래나 시를 지어 놓았는데 독자는 그 노래를 들으며 또 다른 상상을 할 수 있다.
독자들은 이 소설을 읽어가며 망국의 한과 그리움보다는 한 인물의 무엇이 이민족의 부족에 가서 한 나라를 세우게 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읽다보면 그 즐거움과 의미가 훨씬 배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