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집단자살이 주는 교훈

2009.04.26 20:43:00

최근 우리 고장 강원도에서 발생하고 있는 연이은 집단자살이 지역 사회의 현안이 되고 있다. 이런 사건이 유독 강원도에서 발생하는 것에 대해 이해를 못 하겠다며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일부 지역주민들도 있다. 중요한 것은 지역에 관계없이 이와 같은 집단자살이 우리 사회에 더 이상 확산되기 전에 뚜렷한 예방책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보도에 의하면, 대부분의 자살이 인터넷 사이트에서 만난 사람들로 자살의 수법 또한 비슷하다고 한다. 자살의 연령층도 10대에서 40대까지 다양하여 자살은 나이에 관계없이 행해지고 있다는 사실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자살에 대한 이유 또한 분명하지 않아 마치 자살이 순간의 감정에 의해 자행되는 전염병과 같다는 생각마저 들 때가 있다.    
 
한때 유명연예인의 연이은 자살이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흉내 내는 모방 자살이 잇따랐다. 그 이후 한동안 잠잠했던 자살 소동이 불안정한 사회현실과 맞물려 강원도에서 또 발생하여 자칫 사회 신드롬으로 확산하지 않을까 걱정이 앞선다.
 
무엇보다 이와 같은 자살 신드롬이 사회에 만연하여 자라나는 청소년에게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걱정이 앞선다. 그동안 학교폭력이나 성교육에 대해서만 주기적이고 반복적인 교육만 이루어졌을 뿐 자살에 대해서는 어떠한 교육도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우리나라 현 교육실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주변인들의 세심한 관심이 절실히 요구되는 바다.
 
우리 아이들이 자살 그 자체를 쉽게 여겨 행동으로 옮길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자신의 생(生)을 자살로 마감하려는 아이들에게 삶의 소중함을 일깨워주고 우울증이나 어려운 현실을 극복하는데 자살만이 최선책이 아니라는 사실을 인지시켜 줄 필요가 있다.

한번은 아이들에게 자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물어본 적이 있었다. 먼저 지금까지 생활하면서 한 번이라도 자살을 생각해 본 경험이 있느냐의 질문에 대부분의 아이들이 그렇다는 답변을 하여 놀란 적이 있었다.
 
그리고 자살 충동의 원인으로 현실에 대한 불만족이 제일 많았고 다음으로 성적, 이성문제 등이었다. 심지어 이유 없이 자살 충동을 느낀 아이들도 있었다. 특히 현실에 대한 불만을 자살로 해결하려는 아이들의 생각에 기성세대로서 책임감을 통감하지 않을 수 없었다.
 
아직 자살을 시도해 본 아이는 없었으나, 현실 도피의 수단으로 자살만큼 좋은 것은 없다고 답한 아이들이 있어 걱정이 되었다. 다시 말해, 아이들은 현실 자체의 고통을 자살로 잊어보겠다는 생각이 농후했다.
 
시험 성적에 민감한 한 아이는 시험 결과에 따라 자살 충동이 생긴다며 그때마다 신경안정제로 그 충동을 극복해 간다고 하였다. 그 아이의 경우, 시험에 대한 지나친 강박 관념이 우울증으로 이어져 그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으로 자살을 생각했다고 하였다.
 
연예인의 자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의 질문에 아이들은 자살의 원인보다 방법에 대해 더 궁금해 하는 것 같았다. 그리고 평소 좋아했던 연예인의 자살은 생활하는데 있어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가끔 아이들의 입에서 자연스럽게 '죽고싶다'라는 말을 들었을 때 아이들이 죽음 그 자체를 아무런 두려움 없이 받아들인다는 생각이 든다. 간혹 그 말을 습관처럼 내뱉는 아이들이 있긴 하지만 말이다.
 
어릴 적부터 경쟁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지나치게 성적에 치중하다 보면 자칫 아이들의 인성교육이 소홀해 질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본다. 성적 지상주의에 빠져있는 아이들이 한순간에 무너지면 제일 먼저 생각하는 것이 자살이라고 한다.
 
아이들은 교사나 부모로부터 공부를 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수없이 들었지만 슬럼프에 빠졌을 때 이를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서 들은 기억이 거의 없다고 하였다. 그만큼 우리 아이들은 자신을 뒤돌아 볼 기회가 없이 앞만 보고 달려온 것이다. 따라서 이런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것이 바로 여유를 갖고 사는 지혜가 아닌가 싶다. 그리고 매사 긍정적인 사고를 갖도록 해주어야 할 것이며 자신을 사랑할 줄 아는 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 어쩌면 이것이 매년 늘어나는 자살률을 줄이는 한 방법이 아닌가 싶다. 나아가 자살률 세계 1위의 오명에서 벗어날 수 있는 지름길이 아닌가 싶다.
김환희 강릉문성고등학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