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링을 위한 등산 문화 필요

2013.03.21 21:24:00

봄이다. 겨울 동안 야외 활동을 하지 못했다. 이제 봄이 되니 들로 산으로 나들이 하는 사람들이 급격히 늘어난다. 특히 산을 많이 찾는다. 우리나라는 주거지역 가까이에 산이 많이 있어 언제든지 참여할 수 있다. 가족과 함께, 혹은 연인이나 지인들과 함께 산에 간다.

산에서 좋은 공기와 좋은 물을 마신다면 건강을 챙길 수 있다. 산에 오르면서 심신을 단련하고 즐거움을 찾는다. 산에 오르면 적당한 도전과 성취감을 맛볼 수 있다. 인간의 정신적·체력적 한계를 신장시켜 줘 기쁨과 만족감을 동시에 준다.

우리나라는 산을 오르내리는 것이 오랜 생활 문화다. 산에서 땔감을 구하고, 먹을거리도 캤다. 산에서 영험을 구하고, 죽어서도 산으로 갔다. 취미가 아니라도 새벽에 약수를 뜨러 동네 뒷산에 오른 경험은 누구나 있다. 어지간한 사람이면 한번쯤은 산에 올라 본 기억이 있다.

경제 위기 후 우리 등산 문화는 급속히 확산되었다. 일자리를 잃고 갈 곳이 없어 산으로 갔다. 그때 정장 차림으로 산에서 배회하고 하루를 마감하고 돌아오는 사람이 많았다. 그러다가 2003년부터 이른바 웰빙(well-being) 열풍으로 다시 산행이 절정에 다다랐다. 이제는 육체적인 건강은 물론 정신적인 건강을 찾기 위해 산행을 한다. 조화롭고 행복한 생활을 위해 뒷산부터 전국의 산까지 찾아다닌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 산행이 웰빙에서 멀어져 가고 있다. 가장 먼저 산행이 유행하면서 비싼 등산복을 입어야 한다는 강박 관념에 사로잡혀 있다. 가까운 산에 가면서도 아주 좋은 기능의 옷을 입으려고 한다. 시내에서 대중교통으로 1시간도 채 걸리지 않는 곳에 등산하면서 기능성 재킷에 등산화, 배낭 등을 갖추고, 등산 모자에 스틱까지 무장(?)을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 사례도 있다. 우리나라 아웃도어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국내 시장 규모(한국섬유산업연합회)는 2006년 1조2,000억 원에서 작년 5조8,000억 원으로 늘었다. 6년 동안 4.8배로 급증했다.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이런 성장세를 보인 곳은 없다. 업체 당사자들도 아웃도어 시장 폭증세는 매년 꺾일 것이라고 전망했지만, 예상이 빗나갔다. 게다가 최근에는 소비자 연령이 40~50대에서 20~30대까지로 넓어지면서 매출액이 꺾기지 않고 있다. 덕분에 내수 경기가 확연히 가라앉았는데도 아웃도어는 두 자릿수 성장세를 계속 유지했다.

이러다보니 산행이 부담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가정 경제가 어려운데 고가의 등산복을 입어야 한다는 스트레스를 받는다. 웰빙을 위해 산에 가는데, 이 정도면 웰빙의 기본정신에 위배된다. 고가의 등산복 때문에 마음이 불편하다면, 애초에 웰빙은 접어야 한다.

산에 오르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산도 몸살을 앓고 있다. 등산로가 자꾸 넓어지면서 나무의 자리를 침범하고 있다. 땅도 파이면서 나무뿌리들이 몸을 드러나고 있다. 그 자리를 날카로운 스틱으로 지나면서, 나무는 점점 고사하게 된다. 이는 산을 황폐하게 하고 결국은 여름에 큰 비가 오면 산사태를 유발한다.

술을 마시는 장면도 보기에 안 좋다. 적당히 즐기는 것은 좋지만, 여럿이 모여서 잔을 구호를 외치면서 먹는 것은 지나치다. 술은 산에서 먹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버스 안에서 냄새를 풍기고 요란하게 떠들어댄다. 그들은 짐도 버스 의자에 올려놓고 다른 사람들은 앉지도 못하게 한다. 심한 경우는 술기운을 빌려 버스 안에서 듣기 민망한 이야기를 큰 소리로 떠든다.

요즘 산악자전거를 타고 산에 오르는 사람들도 많다. 이들도 여가를 즐기는 사람들이라 탓잡고 싶지 않다. 그러나 이들의 행렬은 매우 위험하다. 산에 오를 때는 탄력을 이용하려다보니 간혹 등산객과 충돌을 하게 된다. 그리고 내려갈 때는 엄청난 속도를 내니 사고가 나면 커질 우려가 있다. 좁은 등산로 사람들에게 양보하고, 다른 길을 이용해 자전거를 즐겼으면 한다.

산에서 각종 음식물을 먹고 뒤처리를 제대로 안 한다. 음식을 그릇에 준비해 오면 깔끔하다. 하지만 일회용 그릇이나 기타 포장지에 준비해 와 쓰레기를 남긴다. 산에 오를 때 음악을 크게 들으면서 오는 사람들도 있다. 그들은 산에 오르면서 흥에 겨워 콧노래가지 한다. 개를 끌고 오는 사람들도 주의해야 한다. 자기들은 애완견이라고 하지만, 타인에겐 맹견이다.

이제 산에 오르는 일은 우리 일상이 되었다. 일주일 힘들게 정신없이 일하고, 휴일에 산에서 몸과 마음을 달랜다. 산에 올라 마음을 다독이고 싶다. 산에서 조용히 명상을 하고, 지나온 일을 되돌아보고 싶다. 남에게 불쾌감을 주는 행동을 삼가야 한다. 도심에 지쳤는데, 산에서 마저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우리는 갈 데가 없다.
윤재열 초지고 수석교사, 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