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룸 관사 자취생활 개선기

2014.04.28 10:05:00

"이 없으면 잇몸으로 생활하기"

공직자의 관사에서의 자취생활, 자유롭고 낭만적일 것 같지만 실제 생활해 보면 그게 아니다. 가족과 함께 사는 것이 행복이다. 아내가 해 주는 따뜻한 밥 먹고 자녀들과 식사를 하면서 나누는 대화 자체가 행복이다. 그렇다고 떠날 생각만 해서도 안 된다.

말이 관사지 원룸이다. 혼자 생활하니 개인의 독립공간이 보장된다. 타인의 시선을 의식할 필요가 없다. 내 공간 내가 꾸미면 된다. 입주 당시에는 자취방이 썰렁하더니 두 달 가까이 되니 정이 든다. 나만의 생활공간 가꾸기를 적용한 결과다.

그 사례를 몇 가지 들어본다. 첫째가 달력 걸기. 못과 망치가 없다. 어떻게 할 것인가? 가능하면 돈 주고 구입하는 것은 최소화하려 한다. 이 없으면 잇몸이다. 집게를 이용하여 보일러 출입구 손잡이에 고정시켰더니 눈높이도 맞고 괜찮다.




퇴근 후 저녁시간은 음악이나 뉴스 등을 들어야 한다. 아내가 사용하던 라디오를 활용하고 중고 TV 하나 구입했다. 그런데 볼 채널이 몇 개 안 된다. 유선을 연결하고 컴퓨터 광랜을 계약하니 다채널이 나온다. 중고 컴퓨터는 15만원이다. 리포터 활동을 하려 하니 컴퓨터는 필수다.

컴퓨터와 TV를 방바닥에 놓으니 보기 흉하다. 우선 높이가 맞지 않고 사용하기에 불편하다. 높이를 좀 올릴 수는 없을까? 신발장을 보니 가로판이 여러 개 있다. 그것을 활용하고 빈 과일 박스를 이용해 높이를 올린다. 컴퓨터 본체는 다리미 박스로 받쳐 놓았다.

방벽에 기대어 시청을 하니 등이 차갑다. 쿳션 방석은 없고. 좋은 수가 없을까? 다리질 받침대를 벽에 세워놓으니 훌륭한 등받이가 된다. 이렇게 자취생활을 하는 것이다. 필요한 물건을 돈 주고 사면 편하기는 하지만 그건 자취생활이 아니다. 자취생활은 주어진 여건에서 생활을 개선하는 것이다.




자취생활의 필수품인 빨래건조대. 아내가 자취생활 때 쓰던 것을 그대로 물려 받았다. 이 건조대, 몇 년 전 아내가 자취 냉장고를 살 때 덤으로 얻은 것이다. 버리지 않고 인계인수하니 활용도가 높다. 타월은 두 세 개 정도 교대로 쓰면 늘 마른 수건을 쓸 수 있다.

원룸에 냉장고와 세탁기가 있지만 세탁기는 아직 사용하지 못했다. 양말이나 팬티, 런닝, 와이셔츠는 일주일에 한 번씩 집으로 나른다. 그래서 집에서 하는 세탁과 함께 한다. 세탁기 사용에 대한 두려움도 있다. 집에서도 이용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여름철 빨래거리가 많이 나오면 세탁기 사용에 도전해야 한다.

신발장엔 구두약, 구두솔, 헝겊이 있다. 일주일에 2회 정도 구두를 닦는다. 구두는 손질하기에 따라 수명이 달라진다. 깨끗이 손질된 구두를 신으면 마음이 상쾌하다. 타인들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준다. 사람이 품위 있게 보인다. 그래서 구두를 닦는 것이다.

어제 퇴근 후 오랜만에 물걸레질을 하였다. 아내와 함께 있을 때에는 방바닥에 있는 머리카락이 모두 아내 것인 줄 알았다. 그런데 그게 아니다. 혼자 생활하니 모두 내 것이다. 왜 그리 머리카락이 많은지? 걸레에 잘 묻어나지도 않는다. 손으로 하나하나 주워 모은다.

방청소 누가 대신해 주지 않는다. 내 건강을 위해 내가 해야 한다. 자취방 여건 개선도 스스로 해야 한다. 퇴근 후 잠만 잔다면 베드타운이다. 관사를 하나의 생활공간으로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인간의 문화는 불편함을 개선해 나갈 때 발전이 있다. 자취생활도 마찬가지다. 불편하면 개선해야 한다. 그래서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다.
이영관 교육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