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무료급식 봉사, 이 정도는 돼야

2014.05.12 09:34:00

몇 년 전 경기도중등봉사활동교육연구회 회장을 3년간 맡은 적이 있었다. 그 당시 개인적인 자격으로 내 사비를 털어 00공원에서 무료급식을 하려고 구상한 적이 있었다. 그런데 그게 보통 일이 아니다. 요리기구, 취사연료, 급식재료, 식판 등 식사용품, 자원봉사요원, 운반차량 등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비용지출을 감당해야 한다.

다행히 아내의 동의가 있었다. 이동식보다 고정 장소에서 하는 것이 안정적이다. 뜨거운 여름과 추운 겨울을 대비하면 기존 건물에서 하는 것이 낫다. 이러한 것을 세세히 알아내고 추진하려다 보니 도저히 혼자서는 할 수 없다. 가족 힘만으로도 안 된다. 자원봉사 단체에서 회원들이 힘을 함쳐 하는 것이 수월하다는 것을 알았다. 개인적으로 실천에 옮기지는 못하였다.

여겍선 세월호 침몰사건으로 온 나라가 침울하다. 특히 공직자나 어른들은 국민들에게 청소년들에게 죄를 지은 느낌이다. 기본과 원칙을 지켜 후세들에게 모범이 되어야 하고 그런 안전한 나라를 가꾸어야 하는데 부끄러운 치부가 드러나고 말았다. 그 동안 관행적으로 내려오던 적페를 이젠 털어 내야 한다.


그러나 사고의 현장 진도에서는 아름다운 자원봉사가 펼쳐지고 있었다. 필자는 '진도 팽목항의 아름다운 자원봉사'라는 기사를 쓴 적이 있다. 이번엔 진도 실내체육관 밖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무료급식 자원봉사에 대해 인상적인 것을 써보고자 한다.

이들 자원봉사 단체들, 누가 시켜서 또는 누구의 지시받고 여기에 온 것 아니다. 자발적으로 온 것이다. 역할을 분담하여 무료 급식 봉사를 펼치는데 그 장면이 감동적이다. 실내체육관 밖에 설치된 봉사천막만도 20여개가 된다. 간단한 음료수나 생활용품을 나누어 주기도 하고 급식을 제공한다.

사단법인 유러브운동본부. 천막에는 '피해자 가족 여러분 힘내세요!' 라는 현수막이 붙어 있고 '어머니의 사랑을 온 누리에'라는 문장이 있다. 주로 여성분들이 봉사를 하는데 잔반처리는 남성분들이 맡고 있다. 이 단체의 특이한 점 몇 가지가 있다.




첫째, 24시간 식사가 가능하다는 것. 가족을 잃은 사람들, 경황이 없다. 식사 시간을 제 때 챙길 수 없다. 가족을 잃고 밥이 제대로 넘어가지 않는다. 급식 시간이 정해져 있다면 이 시간을 놓치면 굶어야 한다. 이것을 배려한 것으로 보인다. 대신 봉사 인력이 항상 대기해야 한다.

둘째, 식판이 아니라 접시에 뷔페식이다. 반찬은 4-5가지 되지만 자기가 필요한 만큼의 양을 가져올 수 있다. 대부분 봉사자가 배식을 하는데 여기서는 본인이 밥과 반찬을 담는다. 이렇게 하니 잔반이 많이 나오지 않는다. 버리는 양을 최소화하면 환경보전이 된다.

셋째, 위생적이다. 입구에 들어가면 세정제로 손을 소독한다. 왜 그러내고 물으니 "식사하는 사람마다 밥 주걱을 만지므로 손이 깨끗해야 한다"고 답한다. 또 봉사자들은 반찬통 주위나 식탁에 음식 흔적이 남아 있으면 얼른 치운다. 식사 후 밖으로 나오면 남성분들이 식기를 받아 든다.

넷째, 후식으로 과일도 있고 숭늉 대신 구기자 대추차를 마실 수도 있다. 이게 다 상대방을 배려한 것이다. 식사를 대강해서 때우게 하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된 식사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단체는 재난 구호 급식으로 대구지하철 참사 때도 했다고 전해 준다.

다섯째, 야식으로 라면을 제공한다. 이 곳에서 컵라면은 더운 물만 있으면 가능하다. 그런데 이 단체는 밤 9시 이후 끓인 라면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조리하지 않고 먹는 인스턴트 식품이 아니라 제대로 된 간식을 제공하다는데 감동을 준다. 무료급식 봉사, 이 정도는 되어야 한다. 여기서 한 끼 식사를 하고 나면 감사와 감동이 남는다.
이영관 교육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