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에서 안전 실천이 중요

2014.05.27 15:50:00

여객선 세월호 참사 사건 이후 우리 사회에서 안전에 대한 생각이 많이 바뀌어 가고 있다. 그 전까지만 해도 안전은 형식적이었다. 제대로 하지 않고 '하는 시늉'하는 것. 그러다가 대형 사고가 발생하는 것이다. 안전 대비는 이론만으로는 되지 않는다. 실천이 뒤따라야 한다.

우리 아파트에서 내려다보이는 일월호수. 5월의 신록이 겉으로 보기에 평온해보인다. 아내와 함께 한 바퀴 산책을 하다보니 평소 보이지 않았던 시설물 하나가 보인다. 바로 인명구조장비보관함. 세어보니 네 곳에 설치되었다. 한 바퀴 도는 거리가 1.9km인데 동서남북에 설치된 것이다.




이전에도 구명환은 있었다. 이 구명환을 물에 빠진 사람에게 던져 주는 것이다. 상대방이 이것을 잡거나 몸에 끼우면 구조자는 땅에서 끈을 잡아당겨 구하는 것이다. 이 구명환, 누구라도 언제나 사용할 수 있게 정비해 놓아야 한다. 그래야  구난장비 역할을 제대로 한다.

생활에 호기심이 많은 필자, 새로 설치된 인명구조장비보관함을 대강 볼 리 없다. 뚜껑을 열고 내부 물건을 살펴보았다. 끈 달린 구명환, 구명조끼, 투척용 수상 구명로프 3종이 들어 있다. 이 정도 장비면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할 수 있다. 일월호수를 산책하는 사람들은 이것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보관함 겉에는 심폐소생술 방법이 그림과 함께 설명이 나와 있다. 익사자를 구하고 살려내는 방법의 하나인 것이다. 그 순서를 보니 의식확인 및 도움 요청, 기도 열기, 호흡 확인, 인공호흡 2회 실시, 가슴압박 30회 및 인공호흡 2회 계속 실시다.




얼마 전 우리나라 대그룹 회장도 위험에 처하자 심폐소생술로 살아난 적이 있다. 심폐소생술은 배우면 누구나 익힐 수 있다. 필자의 교장 시절, 119 구조대의 도움을 받아 학생 교육을 한 적이 있다. 시범에 따라 학생들이 배우고 스스로 해 낸다.

이 곳 일월호수에 인명구조함이 있긴 있었다.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설치했는데 오늘 열어보니 구명조끼, 구명한, 구명줄이 들어 있다. 위치는 배수로 가까이 있는 정자 부근에 있다. 위급하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게 다행히 잠금장치는 없었다.

그러니까 이 곳 일월호수에는 기존의 구명환, 인명구조함 1곳, 새로 설치된 인명구조장비보관함 4곳이 사람의 목숨을 구하도록 준비된 것이다. 사람의 목숨보다 중요한 것이 있을까? 한 때 복지가 강조되기도 했지만 지금은 안전이 우선이다.

아침 산책을 하다보니 아름다운 장면 하나를 보았다. 어느 여성 한 분이 조깅을 하는데 한 손엔 쓰레기 봉투를, 한 손에 집게를 들었다. 운동을 하면서 쓰레기를 줍는 것이다. 환경보전활동인 것인데 생활속에서 봉사활동을 실천하는 모습이 선각자처럼 보인다.

율전중학교 교장 때 운동장 순회하면서 울타리 쪽 농구 골대를 유심히 보았다. 학생들이 즐겨 이용하는데 안전이 문제였다. 운동장 쪽 농구대는 튼튼한데 따로 떨여져 있는 농구대가 문제였다. 기둥을 흔들면 움직인다. 행정실에 연락하여 '매달리면 추락 위험!' 표시를 두 곳에 해 놓았다. 나중엔 철거의 수순을 밟았다.

생활속에서의 안전 실천.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원칙과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 안전에 대한 작은 소홀함이 대형 참사를 부른다. 이번 세월호 참사로 국격이 많이 실추되었다. 후진국형 안전사고 발생은 세계10위권의 대한민국을 부끄럽게 하였다. 우리 주위를 살펴보자. 그냥 대강대강, 대충 점검하고 지나치는 것은 없는지.
이영관 교육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