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산 산막이 옛길 탐방기

2014.10.06 09:24:00

무작정 길떠나기의 즐거움

토요일 아침 눈을 뜨니 6시 30분. “오늘 어디 갈까?” “산막이 옛길 어때?” “그래, 출발이다!” “당신 서둘러야지?” “엘리베이터 왔네!” 움직임이 번갯불에 콩구워먹기다. 나들이 복장을 갖추고 7시 집을 나셨다.

연휴 동안 집에만 머물 수 없다. 월 1회이지만 등산을 해야 몸이 풀린다. 늘 가던 광교산, 칠보산, 수리산은 식상하다. 아내가 건넨 말은 여행을 떠나고 싶다는 의미로 받아들였다. “그래, 떠나 보는 거야!”

부부가 오래 동안 살면 성격이 비슷해지는가 보다. 여행을 떠나기 전 치밀한 사전 계획에 의거 마음의 준비가 완료되었을 때 떠나던 필자다. 이에 반해 감성적인 아내다. 출발하면서, 여행하는 도중에 코스가 바뀐다. 어느 쪽이 좋다고 말 할 수 없다. 양쪽 다 장단점이 있다.

여행에 있어 자가용은 편하지만 세상 사람들과 가까이 하기 어렵다. 그래서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한다. 이번 여행, 수첩기록을 보니 시내버스 4회를 비롯해 시외와 고속버스 4회를 이용했다. 낯선 사람들을 만나며 지방색을 느낄 수 있는 좋은 기회다.




충청북도 괴산군에 있는 산막이 옛길. 주위에서 말만 들었지 이번 방문이 처음이다. 명칭에서 다소 촌스런 느낌이 들지만 수력발전용 괴산호를 가까이 하면 걷는 4km의 길은 아름다운 영상로 남았다. 청정 자연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스토리텔링으로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좋은 사례이다.

산막이는 ‘산의 마지막’ ‘산으로 가로막혔다’는 뜻. 산이 마치 장막처럼 막힌 곳이니 오지 중의 오지다. 임진왜란 당시 왜적을 피해 산속으로 들어갔던 피란민들이 산에 막혀 더 이상 가지 못하고 머물렀다는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이 곳이 유명 관광지가 된 것이다.




환경훼손을 최소화하고 살아있는 자연미를 그대로 보여주기 위해 친환경 공법으로 나무받침 길(데크)을 만들었다. 해마다 방문객 수는 해마다 100만 명이 넘는다고 한다. 괴산호를 따라 고인돌 쉼터, 연리지, 소나무 동산, 정사목, 앉은뱅이 약수터, 호수 전망대, 떡메치기와 족용 체험 등 26개의 스토리텔링으로 꾸며져 있는데 인상적이다.

출발해서 산막이 마을까지는 수변데크로 이동하였고 이후 산능선을 올라 천장봉, 등잔봉 코스를 이용하였는데 한반도 전망대에서 내려다보는 괴산호와 호수 너머로 보이는 속리산 줄기 남군자산의 초록이 등산의 피로를 씻어준다. 푸른 하늘의 뭉게구름이 산에 비친 그림자는 가히 한 폭의 그림이다.




특히 노송으로 우거진 천장봉, 등잔봉 코스는 우리나라 소나무가 이렇게 아름다운 산림으로 탄생할 수 있구나를 보여 주었다. 그러나 이 곳에도 산불의 흔적이 남아 있다. 군(郡)에서는 그 흔적을 없애지 않고 안내판을 설치해 교육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산막이 옛길을 탐방하면서 수원 광교 저수지 탐방로와 비교하여 보았다.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것이 공통점 첫째다. 아무리 아름답게 꾸며도 인공적인 것이 우선하면 금방 싫증나게 마련이다. 스토리텔링보다 자연 경관이 우선이라는 이야기다.

이번 무작정 여행으로 아침은 김밥으로, 점심은 산채비빕밥, 저녁은 라면으로 때웠지만 흥미진진한 여행이 되었다. 새로운 곳에 대한 기대감과 신비감, 청정 자연이 감동을 주었다. 여행의 느낌은 지방색일까? “잘 가셔유∼, 또 오셔유∼” 충청도 사투리다.
이영관 교육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