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교육과장님, 인사 말씀 해 주세요"

2014.11.06 10:28:00

지역교육지원청 과장으로 근무하다 보니 교육청 각종 회의나 모임에서 인사말씀을 할 기회가 자주 생긴다. 맨 처음엔 긴장도 되고 준비도 하니 재미가 있었다. 듣는 사람도 귀 기울여 들으니 말하는 사람도 기분이 좋다. 말하기와 듣기는 이렇게 상호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런데 인사말씀도 한 두 번이지, 대상은 같은데 자주 이야기할 기회가 주어지니 밑천이 동난다. 이제 말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나 새로움도 사라졌다. 주위집중도도 낮아진 게 사실이다. 이것을 극복해야 한다. 한 두 달 사이에 서로가 친숙하다고 여겨 자칫 매너리즘에 빠지는 것이다.

이런 때는 화제를 바꾸어야 한다. 교감들을 대상으로 할 때는 교직선배로서 인생선배로서 삶의 지침이 되는 5적(的)을 이야기하기도 한다. 이른바, 긍정적인 생각,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행동, 자율적인 통제 능력, 창의적인 업무추진력 등을 이야기하니 청중의 시선이 다시 집중이 된다.


얼마 전에는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학생, 교사들과의 힐링 캠프가 있었다. 담당실장이 출발한 버스에서 소개를 하면서 간단한 인사말을 하란다. 예고 없는 무대다. 이런 땐 머리 회전 속도가 빨라야 한다. 마이크 잡으면서 마치 준비된 사람처럼 능숙하게 이야기 해야 한다.

무슨 말을 했을까? 오늘 하루 동안 학교와 목적지를 오고 가면서, 현지에서 치유활동을 하면서 학생과 선생님 간에 대화의 물꼬가 트였으면 한다. 마음 속에 있는 것을 흉허물 없이 털어놓으면 가슴이 후련하다. 다만 사전에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세상번뇌와 학교 일, 공부 모두 다 잊고 마음 치유에 푹 빠졌으면 한다. 필자의 예를 든다. 두 학교에서 교장하고, 교육청 과장을 하면 행복하고 아무 걱정 없는 것 같아 보이지만 마음의 상처가 많이 있다. 이 상처 누가 치료해 주지 않는다. 내 스스로 치유하려고 애써야 한다. 마음 공부와 마음 다스리기를 해야 한다.

학생상담자원봉사자들 월례회의에서는 상담교사 자격연수 때 배운 것을 떠올린다. 상담하려는 학생들은 지금의 자기 자신을 좀 더 발전시키려는 학생들이라고. 대개 상담실 들락거리면 문제학생으로 본다. 과거엔 그랬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어른도 마찬가지다. 상담 받으려면 일정한 비용을 들여야 하는 세상이다.

어느 때는 인사말씀을 생략하기도 한다. “오늘은 지난 번에 인사 드렸기 때문에 말씀은 생략합니다. 과장의 서론 생략하고 담당 장학사님은 오늘 회의의 본론으로 들어가 주기 바랍니다.” 회의는 짧은 것이 좋은 것인가? 아니면 훈화 말씀은 지루한 것인가? 참석한 몇 분은 박수를 친다.

필자는 명색이 국어 교사 출신이다. 교장 첫발령을 받아 취임식에서의 부임인사 걱정을 하고 있었더니 교직선배 한 분이 충고를 한다. “국어 선생님 출신이 무슨 말하기 걱정을 다 해?” 국어교사라고 말하기에 모두 능숙한 것은 아니다. 말하기는 순발력도 필요하지만 사전에 철저한 준비를 해야 하는 것이다.

대상과 상황에 맞는 말하기가 필요하다. 모임 성격을 올바르게 파악해 핵심을 짚어야 하고 방향안내와 제시가 정확해야 한다. 그러려면 내용에 정통해야 한다. 말하기의 처음과 중간, 끝을 미리 구상해야 한다. 자신이 없는 사람은 메모를 활용해도 좋다. 그러나 머릿속에서 자기 것으로 소화시켜 청중을 보고 하는 자연스런 말하기가 좋다.
이영관 교육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