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리스마에 대한 오해

2015.06.01 09:52:00

사적인 자리에서 카리스마에 대해서 논쟁이 있었다. 평상시 거침없이 말하는 동료 선생님이 이번 학년부장은 카리스마가 없다고 평했다. 그러더니 학생부장이 카리스마가 넘친다고 말을 이었다. 운동장 조회 때 아이들을 휘어잡는 모습에서 볼 수 있다고 했다. 학생 지도 때도 아이들을 꼼짝 못하게 하는 모습이 카리스마가 넘친다고 칭찬한다.

가만히 들어보니 동료 선생님은 카리스마를 아이들을 힘으로 휘어잡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는 자신도 학생부장을 10년을 넘게 했다고 자랑한다. 자신이 구령대에서 호령하면 전교생이 물을 끼얹은 것처럼 조용했다고 회고했다. 이 말에 주변 사람도 동요하는지 별 말이 없다. 그는 계속해서 거친 말의 화살을 날려 좌중을 압도했다. 그러더니 급기야 나에게도 카리스마가 없다고 평가를 한다. 그리고 미안했는지 인자한 모습이 좋다고 말한다.

내가 보기에 그 친구는 화를 잘 내고 겉으로만 봐도 무서운 사람을 가리켜 카리스마가 있다고 정의한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카리스마를 외모와 관련시켜 말한다. 일단 외모에서 힘이 느껴지고, 성질이 무서운 사람을 카리스마가 있다고 본다. 나처럼 키가 작고, 부드러운 인상을 지녔다면 카리스마 근처에도 못 간다고 여긴다.

이런 생각은 잘못된 구석이 많다. 우선 카리스마의 뜻을 정확히 알고 있지 못한다. 카리스마의 어원은 신의 은총을 뜻하는 그리스 어에서 유래한다. 이는 신이 특정인에게 주는 초자연적인 능력으로, 지도자가 일반대중에게 신처럼 지지를 받는 초자연적 특성을 말한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예언이나 기적을 나타낼 수 있는 초능력이나 절대적인 권위 혹은 대중을 심복시켜 따르게 하는 능력이나 자질이라고 해석하고 ‘권위’로 순화해서 사용할 것을 일렀다.

다시 정리하면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카리스마의 의미는 국어사전 표현이 가깝다. 즉 리더의 위치에 있는 사람이 대중을 심복시켜 따르게 하는 능력이나 자질 정도로 보는 것이 좋다. 문제는 대중을 심복시켜 따르게 하는 능력이나 자질이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동료 선생님이 말한 것처럼 힘으로 학생들을 제압했다면 그것이 능력이고 자질이 될 수도 있다. 그런데 선생님이 소리를 지르고 그 위세에 학생들이 눌려 말없이 따르는 상황을 두고 카리스마가 있다는 평가를 하는 것은 동의하기 어렵다. 학생은 한없이 어린 약자다. 그들에겐 보살핌이 필요하다. 그들을 어떻게 배려할 것인지 끊임없이 고민하고 낮은 자세로 접근해야 한다. 학생뿐만이 아니라 리더가 집단을 지휘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리더가 아랫사람을 다룰 때 힘으로 하면 인간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존중과 배려의 가치를 경험하지 못한다. 힘으로 집단을 통솔하게 되면, 구성원들의 몸은 움직일 수 있지만 마음에는 상처를 입힌다.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이 교만한 행동을 보여 집단에서 뿐만 아니라 이 사회에서 멀어진 사례가 많은데 이 모두가 힘의 남용으로 빚어진 일이다.

과거 사회는 권력이나 부에 따라 질서가 구축되는 수직적 사회였다. 그 사회의 의사 결정은 당연히 권력의 피라미드 위에 있는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그것을 아래로 전달하는 하향식 구조였다. 반면 오늘날 사회는 인터넷 발달 등으로 수평적 사회로 변하고 있다. 한 사람의 사고로 집단을 통제하기에는 어렵다. 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집단 지성의 사고가 힘을 얻고, 집단을 이끄는 동력으로 작용한다.

이런 사회 변화에 맞게 우리가 아이들에게 키워줘야 할 것은 존중과 배려이다. 단군의 건국이념인 홍익인간도 타인에 대한 존중과 배려의 사상이 바탕이다. 다른 사람을 존경하고 배려하는 마음은 스스로를 낮추는 것이 시작이다. 교실에서 신규 교사 두 명을 관찰을 기회가 있었다. 두 분 모두 여선생님이었지만, 학생 지도 방법은 달랐다. 한 선생님은 오랜 경륜을 지닌 선생님처럼 아이들을 지도한다. 아이들 앞에서 실수라도 해서 신규 교사 티를 낼까봐 치밀하게 계획을 세우고 야무지게 실천을 한다. 반면 다른 선생님은 자신은 신규 교사이기 때문에 서툴다고 말했다. 따라서 너희가 도와줘야 한다. 그리고 자신은 나서지 않고 아이들에게 스스로 하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

두 선생님의 공통점은 학생들을 사랑과 열정으로 지도한다. 그런데 차이가 있다. 선생님이 직접 지도하는 아이들 모습은 질서가 있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머리가 큰 고등학생들은 늘 어슬렁거리며 따른다. 선생님도 모두 지휘하기 때문에 스스로 지쳐버린다. 반면 아이들을 앞에 세우고 선생님은 뒤에서 지켜보는 집단은 조금 어수선해 보인다. 하지만 아이들은 오히려 자기들끼리 즐겁게 학습 활동을 한다. 아이들도 선생님도 쉽고 편하게 그리고 행복하게 간다. 간혹 힘이 센 녀석들은 여선생님을 보호라도 하는 듯 과하게 앞장서서 학습 과정을 돕는다.

여기서 읽은 것이 존경과 배려이다. 선생님은 아이들의 말을 세심하게 들어주고, 관심을 가져준다. 아이들에게 칭찬과 격려로써 고무시켜 스스로 학습 과정에 참여하게 한다. 혼자 하는 여선생님은 성공과 실패를 재느냐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한다. 하지만 아이들과 함께하는 목표 달성에 힘을 얻은 선생님은 위험을 무릅쓰고, 새로운 일을 거침없이 시도한다. 아이들을 믿고, 자신의 신념대로 걸어간다. 아이들과 함께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한 비전도 있다.

시대가 변하면서 카리스마의 의미도 변하고 있다. 성공을 해야 살아남는다는 무한 경쟁 상황에서는 강한 지배자를 꿈꿨다. 이제는 조직에 군림하는 리더는 환영 받지 못한다. 조직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그들의 성공을 지원하는 데 헌신하는 사람이 필요하다. 따뜻한 가슴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여는 통솔력이 이 시대의 카리스마다. 부드러움 속에 힘이 있는 존재가 새로운 세상을 이끈다. 여기서 핵심은 바로 겸손이다. 리더가 낮은 자세로 다가서면 조직원들의 마음도 낮은 곳으로 젖어든다. 힘과 권력이 아닌 배려와 친절, 그리고 나눔으로 세상을 움직이는 리더를 키워야 한다.
윤재열 초지고 수석교사, 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