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국민이 책 읽는 마법에 걸렸으면

2016.02.04 09:20:00

미국의 영향력 있는 시사문예지 ‘뉴요커(The New Yorker)’ 온라인 판에 한국의 노벨문학상 열망을 비판적으로 전한 기사가 실렸다고 한다. 내용은 한국인이 책을 안 읽으면서 노벨문학상을 원한다는 것이다. 필자는 뉴욕타임스 등에 글을 쓰는 문학평론가이자 뉴욕 공영 라디오 방송국 프로듀서로 활동하는 마이틸리 라오다. 그는 서울 광화문 광장의 세종대왕 동상부터 언급했다. 한국인의 문자 사랑의 상징으로 소개했다. 그리고 요즘 한국의 실상은 세종대왕 때와 다르다고 했다. 한국에서 매년 4만 권의 책이 출간되지만 한국인들이 얼마나 읽는지는 미지수이며, 1인당 독서량도 경제 규모 30개 나라 중 꼴찌라는 2005년 통계를 소개했다. 그러면서 해마다 노벨문학상 수상자 발표 직전 고은 시인을 두고 벌어지는 소동을 자세히 전했다. 노벨상 발표 때에 우리나라에서 고은 시인이 수상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에 취재하는 언론을 두고 일침을 논 것이다.

  매우 부끄러운 기사다. 한국인이 경제 규모에 비해 책을 읽는 인구가 적다는 것이 드러났다. 그러면서 노벨문학상을 받으려고 안간힘을 쓰는 것처럼 비춰진다. 시인 고은이 노벨문학상을 받는 것에 대한 국민적 열망은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 문단에는 고은에 버금가는 문인들이 있다는 현실이 가려진 것은 안타깝다. 

  돌이켜보면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책을 읽는 문화 선진국이었다. 조선 초 집현전 기능부터 살펴볼 수 있다. 세종 때 집현전은 연구 기관으로 확대되었다. 이곳은 인재 양성 기관으로 경연과 서연 등을 담당했다. 학자들은 정치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학술 사업을 주도했다. 특히 세종은 집현전 학사들의 연구 편의를 위해 전적 등을 제공하기도 했다.

  집현전을 중심으로 한 인재 양성에는 사가독서(賜暇讀書) 제도가 있었다. 이는 집현전 학사 중에서 젊고 재주가 있는 자를 골라 관청의 공무에 종사하는 대신 집에서 학문 연구에 전념하게 하는 것이다. 훗날 집에서 독서에 전념하는 것이 불편하다고 하니, 빈 사찰을 수리하여 국왕이 독서당이라는 편액을 내려 사가독서하는 장소로 썼다. 지금의 옥수동 일원의 ‘한림말길’이나, 약수동에서 옥수동으로 넘어가는 고개를 ‘독서당길’이라 부르는 것은 이곳에 과거 독서당이 있었기 때문이다. 조선 중기의 학자 이이(李珥)가 왕도 정치의 이상을 문답 형식으로 서술하여 선조에게 올린 글로 ‘동호문답’이 있다. 이 책이 이이가 34세 되던 해 홍문관 교리로 동호독서당(東湖讀書堂)에서 사가독서하면서 지은 글이다. 이곳이 동호당이었는데, 옥수동에 기념비가 있다.

  우리 역사에 빛나는 세종대왕도 독서의 상징적 인물이다. 세종은 장자가 아니었다. 그러다보니 세자가 받는 서연 교육 도 제대로 받지 못했다. 게다가 태종의 갑작스러운 양위로 약관의 나이에 왕이 되었다. 왕이지만 나이가 어렸고, 세자가 아닌 관계로 체계적인 공부를 못해 학문도 얕았다. 천하를 다스리기에는 한없이 부족한 약점을 지니고 있었다. 그런데도 세종이 위대한 업적을 남긴 것은 독서의 힘이었다. 세종은 아버지 태종과 주변에서 걱정했던 것처럼 어릴 때부터 독서광이었다. 책에 대한 집념, 책에 대한 열정이 세종을 있게 했고, 그 덕분에 세종이 아버지뻘 되는 신하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국정을 이끌었다.

  조선 왕조 500년 역사를 이끌었던 힘도 독서다. 조선 시대 양반 가문에서 태어난 사내아이들은 어릴 때부터 책을 읽었다. 보통의 양반 가문에서는 사내아이가 5살이 되면 과거시험 준비에 들어가는데, 이때부터 책 읽기에 몰입을 한다. 평균적으로 과거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20~25년 가까이 공부를 했다. 조선 시대의 평균 기대수명을 생각한다면, 평생 공부했다는 말이다. 

  우리는 역사적으로 볼 때 책 읽기를 사랑했고, 이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는 도구로 삼았다. 그래서 인류 역사상 가장 빛나는 한글을 창제했다. 글을 통해서 어리석음을 극복하고, 소통하고자 했다. 문화 융성은 여러 가지 방법론이 있지만, 책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풍부해지고 발전하는 것을 확신했다. 그래서 서양보다 무려 200여 년이나 앞선 1200년대에 금속 활자를 만들었다.

  혼탁한 사회에 이념 갈등이 깊어지고, 경제적 어려움이 세대를 초월하고 있다. 독서란 엄숙한 경험의 세계로 들어가는 관문이며 세상을 이해하는 수단이다. 독서의 힘으로 소통하고 갈등 극복의 지혜를 찾아야 한다. 정조가 규장각을 통해 개혁 정치를 꿈꾸었던 것처럼, 사상이나 기술이 집적된 책의 보급이 문화 발전과 국가 건설에 초석이 된다. 집집마다 온 국민이 책을 읽는 문화 부활을 위해 리더의 독서 열기가 일었으면 한다.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책으로 토론하고 소통하는 문화 대한민국 건설에 발걸음을 옮겼으면 한다.
윤재열 초지고 수석교사, 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