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성교육은 프로그램이 아니다

2011.06.01 09:00:00

인성교육은 프로그램이 아니다 인성교육은 소통을 통해 느낌과 감동으로 선생님에 대한 신뢰가 있으면 된다. 즉 실력과 인격, 관심을 통해 신뢰를 쌓아야 한다, 그것이 인성교육의 기본이며 핵심이다

무술 연마를 위해 두 명의 친구가 깊은 산중으로 도인을 찾아갔다. 찾아온 연유를 고하니 그날부터 나무하고 물 긷고 빨래를 하란다. 몇 달이 지나 스승에게 무술은 언제 가르쳐 주느냐고 물었다. 때가 되면 해주겠단다. 세월은 어느덧 3년이 흘렀다. A는 지칠 대로 지쳐 하산을 하겠단다. 스승에게 인사하고 집으로 돌아갔다. 그래도 B는 진심을 다해 그날을 기다리며 참고 살아갔다. 어느 날 스승이 불렀다.
“칼을 잡아라.”
스승은 제자의 ‘사람 됨됨이(人性, personality)’를 보았다. 인간과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과 태도, 마음가짐이나 행동과 같이 더 깊숙한 인간의 내면, 즉 인간의 품성이 기본이 되어야 무술을 익힐 자격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스승이 보기에 B는 기다릴 줄 아는 영혼이 강한 사람이었다. 영혼이 강해 정신과 육체가 부드러워질 수 있고 이를 통해 훌륭한 인격을 가진 인간다운 인간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스승의 판단이었다.
괴테의 <파우스트>를 구성하는 기본 주제의 하나가 ‘기다리며 노력하는 인간은 구제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도스토예프스키는 ‘꿈을 밀고 나가는 힘은 이성이 아니라 희망이며, 두뇌가 아니라 심장이다(The power which keeps carrying on your dream is not a reason but hope, and also not a brain but a heart)’라고 설파했다.

“인간으로서 기본을 잘 지켰다”
2007년 8월, 일본 전국의 4081개 고등학교가 참가한 고시엔[甲子園, 전국고교야구선수권대회]에서 기적의 우승을 차지해 국내 언론에서도 주목을 받았던 사가키타[佐賀北]고등학교의 이야기가 생각난다.
18명의 선수 모두가 지방 중학교에서 연식야구(고무로 만든 공으로 경기하는 소년야구)를 했고, 주전 9명 중 6명은 키가 170cm도 안 되는 작은 체구였다. 전용 구장이 없어 축구부와 연습장을 같이 사용하면서 야간에는 학교 주변 가게의 전등 불빛을 조명 삼아 연습을 했다. 그리고 감독은 모교 출신의 국어선생님으로 이 학교에서 야구 선수생활을 한 것이 전부였다.
이렇게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사가키타 고등학교가 두 번째로 출전해 전국 대회의 우승컵을 차지한 비결은 무엇일까. 그들은 하루 2~3시간의 연습시간 중 절반 이상을 달리기와 같은 기초 훈련에 할애했다. 그리고 시험 전 1주일 동안은 공부 때문에 연습도 안 했다.
감독이 말하는 우승 비결은 “시간을 잘 지키며 예의 바르게 행동하고 공부도 열심히 했다”였다. 학생으로서 그리고 인간으로서 기본을 잘 지켰으며 그것이 우승의 비결이라면 비결이라는 것이다.
인간으로서의 기본은 영어단어를 외우는 것처럼 공부를 한다고 해서 갖추어지는 것이 아니다. 일상의 삶과 오랜 교육을 통해 자연스럽게 몸에 배는 것이다. 따지고 보면 별것 아닌 것 같지만 사가키타고등학교의 경우처럼 기본의 힘은 위대하다.

내면을 데우는 교육 방법
내가 교사 시절 수업내용 못지않게 열정을 쏟았던 것이 조 · 종례 시간과 수업 시간, 그리고 생활지도를 하면서 아이들의 내면을 데울 수 있는 내용과 방법이었다. 특히 학생지도부에 있으면서 지각생을 대상으로 ‘시(詩) 쓰기’를 했고, 수업시간에 종종 교과 노트에 ‘빨간 글씨’를 쓰게 했다. 능력의 개인차는 아무리 커도 5배를 넘지 않지만 의식의 차이는 100배의 격차를 낳는다는 말도 있지 않던가.
‘시 쓰기’는 주로 로버트 프로스트의 <가지 않은 길>을 우리말과 영어로 각각 10번씩 쓰게 했다. 스스로에 대해 되돌아보는 기회가 되었을 뿐 아니라 덕분에 영어로 시 한편을 외우게 되었다고 세월이 흐른 지금까지도 졸업생들로부터 이야기를 듣는다.

빨간 글씨
그리고 ‘빨간 글씨’는 일주일에 한 번 정도 수업시간에 내가 체험했던 감동들을 들려주면서 쓰게 했던 교육법이다.
 
자! 빨간 볼펜 준비, 날짜 적고 오늘 제목은 ‘반송저수지 낚시꾼 사건’이다.
어저께가 우리 딸 돌이라서 아침 일찍 기장으로 횟거리를 사러 시외버스를 탔다. 동래역 앞에서 출발한 버스가 반송동을 지나 저수지 옆을 지날 즈음 낚시 복장을 한 중년의 남자가 버스 기사를 보고 차 좀 세워달라고 했다. 기사는 바빠서 안된다고 했지만 결국은 차를 세웠다. 버스에서 내리자마자 그는 저수지 둑길로 달려갔다. 소변 때문이려니 했는데, 둑에서 낚싯대를 드리우고 있는 사람들에게 몇 마디 던지고는 이내 버스 쪽으로 달려왔다.
다시 버스는 달리기 시작했고 일행 중의 한 사람이 “왜 그랬느냐”고 물었다. 그 대답이 참으로 산뜻했다. 일주일 전에 저수지 수리한다고 물을 퍼내고 고기를 다 잡았기 때문이란다. 하루 종일 허탕을 칠 뻔했던 그들에게 좋은 마음을 주고 온 사람 때문에 며칠을 먹먹하게 지냈다.

평범한 일상의 의미를 깨닫고, 그 일상을 제대로 누리며 사는 법을 배우는 것부터가 올바른 공부의 시작임을 알게 하고 싶었다. 먹고, 자고 공부하는 일상이 그 어떤 목적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로서 완결되는 것임을 깨닫도록 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또한 ‘어려운 역경의 아픔을 딛고 성공했다’가 아니라 ‘바로 그 역경이 있었기에 다른 사람들이 할 수 없는 경험을 함으로써 성공할 수 있었다’는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또 다른 방법을 전하고자 노력했다.
올 4월, 전교생 모임에서는 “본다는 것은 참으로 중요한데, 자세히 보아야 한다. 그러면 그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 나와 어떤 관계인지를 알게 된다. 그러는 가운데 내가 좋아하는 것을 찾게 되고, 그러면 꿈이 생겨 그냥 놀 수가 없다. 또 자기가 좋아하는 것이니 잘하게 되고 따라서 사회에 나갔을 때 내 몫이 생긴다” 라는 얘기와 함께 정호승 시인의 <봄길>을 함께 낭송했다.

길이 끝나는 곳에서도/ 길이 있다// 길이 끝나는 곳에서도/ 길이 되는 사람이 있다// 스스로 봄 길이 되어/ 끝없이 걸어가는 사람이 있다// 강물은 흐르다가 멈추고/ 새들은 날아가 돌아오지 않고/ 하늘과 땅 사이의 모든 꽃잎은 흩어져도// 보라/ 사랑이 끝난 곳에도/ 사랑으로 남아 있는 사람이 있다.// 스스로 사랑이 되어/ 한없이 봄 길을 걸어가는 사람이 있다.

보여주기
일반적으로 ‘청소년’이라는 단어 뒤에는 ‘문제’라는 말이 많이 따라 다닌다. 그리고 그 원인을 가정교육의 부재와 입시 위주의 학교교육에서 찾으며, 이로 인해 가치관이 붕괴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과연 그럴까? 기성세대의 입장에서 청소년들을 마주 보면서 몰아세우는 방법론의 산물은 아닐까?
헤르만 헤세의 노벨상 수상작 <유리알 유희>의 주인공 요제프 크네히트는 아이들을 사랑하고 신뢰하며 그들과 함께 꿈을 찾아가는 것을 진정한 교육자의 길로 보았다. 그리고 교육은 아이들을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의 꿈과 인격, 기본권을 존중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는 것을 헤르만 헤세는 이야기하고 있다.
‘사랑은 서로가 서로를 바라보는 데 있지 않고 둘이 함께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데 있다’ 라는 생텍쥐베리의 말을 떠올린다.
아이들은 우리 기성세대가 그들을 바라보면서 가르쳐야 할 대상이 아니라 같은 방향을 바라보면서 인생을 함께 살아가는 동반자이다. 부모는 자기들의 욕심으로 아이들이 가려는 길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선생님의 체험을 그들의 체험으로 삼고 싶어하도록 멋진 삶을 보여주어야 한다. 이것이 기성세대의 입장에서 교육이라면 교육이다. 교육은 마음의 일이라서 강요한다고 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성교육은 ‘보여주기’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선생님! 우리 철호가 공부도 안 하고 애를 먹이는 데 어쩌면 좋겠습니까?”
“어머니! 절에 다닌다고 했지요?”
“예”
“그러면 매일 아침에 철호를 위해서 108배를 한번 해보시지요.”
“그리 해보겠습니다.”
그리고 한 달여 후
“요새 기도 잘 됩니까?”
“아이고, 다리도 아프고 해서 한 열흘 하다가 그만 두었습니다.”

20여 년 전, 고3 담임 시절에 있었던 이야기이다.
아이는 부모나 선생님이 앞에서 가르치는 대로 성장하지 않고 부모와 선생님 뒤에 따라오면서 저절로 배운다. 좋은 인품으로 감동을 주지 못하고 정보도 많이 부족한 기성세대가 말과 글로 하는 교육이 아이들에게 효과가 있을까? 지금 이 세상은 좋은 말과 글이 부족해서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와 가정에 실천적 모범이 없고 감동을 줄만 한 일이 별로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실력, 인격, 관심을 통한 신뢰
전국 시 · 도교육청 홈페이지에는 ‘다양한 창의 · 인성교육을 통한 글로벌 엘리트’, ‘아름다운 품성과 창의성을 갖춘 글로벌 인재’, ‘도덕적이고 창의적인 세계인’ 등 인성교육 관련 문구로 가득 차 있다.
많은 사람들은 이렇게 말한다. “인성교육은 학교교육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상급 학교 진학과 같은 교육의 결과에만 관심을 기울이기 때문에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인성교육은 가정에서부터 시작해서 학교 및 사회와 연계해 이루어져야 한다. 새 시대의 교육정책이 성공하려면 근본적으로 인성교육이 강화되어야 하고 건강한 인성교육은 교육의 기본이자 최종 목표이며 인간이 교육을 받아야 하는 존재론적 가치이다. 국가 경쟁력은 교육에서 나오며 좋은 교육은 좋은 인성을 만들고 이는 곧 국력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교육의 목적은 기계를 만드는 데 있지 않고 사람을 만드는 데 있다’ 는 장자크 루소의 충고를 새롭게 들어야 한다”라고.
그래서 단위 학교에서는 인성교육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놓고 시행하고 있다. 우리 학교에서도 ‘부녀마음나누기’, ‘문화예술교육’, ‘초청특강’, ‘학교장과의 대화’, ‘등굣길 맞이하기’ 등을 통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면서, 더욱이 ‘수업을 통한 교사와 학생의 신뢰 구축’이라는 기본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인성교육이 무너졌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산다. 때로는 실천할 의사가 없는 상태에서 고민만 하며 우리 스스로를 괴롭히기도 한다. 더 이상 반복적으로 우리 자신을 괴롭히지 말자. 진정한 변화와 대책이 필요하다면 구체적인 방법을 계획하고 실천하자.

소통을 통한 신뢰가 필요
얼마 전 아이들이 학교장의 이름을 기억하지 못한다고 한탄하는 모습을 보았다. 안타깝다. 하지만 그것이 어찌 아이들만의 잘못인가. 자주 만나지 않으니 모를 수밖에 없다. 점심시간에 교실에서 아이들과 앉아 요즘 인기 있는 tv 프로그램에 대해 의견도 나누고, 가난하지만 따사로운 햇살과 싱그러운 바람을 매만지는 아름다운 손으로 땅에 씨를 묻는 화사한 농부들의 얼굴이 아직도 이 세상을 지킨다는 얘기도 들려주면 어떨까. 그리고 아버지가 살아생전 유일하게 사인을 받지 못한 유명 재즈 아티스트의 사인(Sign) 한 장을 받아 손에 쥐고는 머나먼 고국으로 돌아가는 영화 <터미널>의 주인공 빅토르 나보스키처럼 때로는 비효율적인 행위가 우리 인생을 더욱 멋지게 할 수도 있다는 것을 들려주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수업 시작 전 책걸상 줄도 맞추고 휴지도 줍게 하자. 수업시간 50분은 정확하게 지키고 꽃나무의 이름을 외우게 하면서 아이들에게 작은 위안과 휴식을 주자.
인성교육은 프로그램이 아니다. 소통을 통해 느낌과 감동으로 선생님에 대한 신뢰가 있으면 된다. 사랑하는 제자의 머릿속에 영원히 잊히지 않는 교육의 힘, 즉 실력, 인격, 관심을 통해 신뢰를 쌓아야 한다. 그것이 인성교육의 기본이며 핵심이다.
조갑룡 부산 경남여고 교장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