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백중놀이를 찾아

2012.02.01 09:00:00



 백중놀이는 이름 그대로 음력 7월 15일 백중날 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밀양 지역의 농민들이 전승해온 밀양 백중놀이는 김매기를 마친 일꾼들이 푸짐한 먹을거리를 즐기면서 활발한 놀이 활동을 펼치는 것으로 밀양에서는 이 날을 머슴날이라 했다.
밀양 백중놀이의 근원적 배경이 된 것은 농군들의 세시놀이이다.
놀이는 크게 ‘농신제’, ‘작두말타기’, ‘춤판’, ‘뒷놀음’으로 나뉜다.
‘농신제’는 마당에 농신대를 세워 고사를 지내고 농신대를 돌며 풍년을 비는 의식으로, 저릅대(삼대)로 만든 농신대를 향해 삼배(三拜)를 하여 오방신장을 일으켜 잡귀를 막고 신이 내리도록 하는 것이다.
‘작두말타기’는 농신제가 끝나고 머슴들 가운데 그 해 농사를 제일 잘 지은 사람을 머슴 장원으로 뽑아 지게목발로 만든 작두말에 태워 놀이판을 돌면서 나발을 불고 풍장을 치면서 흥을 돋우어 시위하는 놀이로 머슴이나 소작농들의 서러움을 흥겹게 풀어준다.
‘춤판’은 양반춤으로 시작된다. 갑자기 머슴들의 놀이판에 끼어든 양반들이 장단에 맞추어 거드름을 피우며 느릿하게 추고 있으면, 이러한 양반의 모습이 못마땅한 머슴들과 정지꾼(부엌에서 일하는 여인)들이 양반을 놀이판에서 쫓아내기 위해 난쟁이춤 등 여러 가지 우스꽝스러운 병신춤을 춘다. 이런 춤은 양반춤과는 대조적으로 자유분방해 구경꾼들의 흥을 돋우며 분위기를 한껏 띄운다.
놀이판에서 쫓겨난 양반은 이를 보고 흥겨움을 참지 못하여 갓과 도포를 벗어던지고 맨상투 범부차림으로 나타나 범부춤을 춘다. 범부춤은 두 사람이 번갈아 가면서 장고잽이 앞에서 활발하게 추는 춤이다. 마지막에 선보이는 오북춤은 다섯 사람의 북잽이들이 북을 치며 둥그렇게 원무를 추거나 원 안과 밖으로 이동하거나 한 명은 중앙에 서고 나머지는 동서남북에서 북가락을 치며 춤을 추는데, 힘이 있고 멋들어진 춤이라 할 수 있다. 오북춤은 오행과 오기가 순조롭고 오체가 성하며, 오곡이 잘되어 오복을 누릴 수 있도록 기원하는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병신춤과 오북춤은 밀양에서만 전승되어 오고 있다. 배김내사위는 이 놀이의 주된 춤사위로 춤동작이 활달하고, 오른손과 오른발이, 왼손과 왼발이 같이 움직이는 것이 특이하다.
‘뒷놀음’은 모든 놀이꾼들이 한꺼번에 등장해 구경꾼과 한데 어우러져서 한바탕 춤을 추며 신명을 맘껏 풀어내며 화동(和同)하는 장으로서 이 놀이의 대단원을 이룬다.
밀양 백중놀이의 특징은 상민과 천민들의 한이 전체놀이에서 익살스럽게 표현되어 있으며, 양반들에 대한 서민들의 풍자와 익살을 부려 시름을 달래는 과정이 갖가지 춤으로 표현되는 것이 특색이다.
밀양 백중놀이는 다른 지방에 비해 그 내용이 풍부하고 독특한 춤사위가 발달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순박한 서민들의 예술이었다는 점에서도 높이 평가된다. 또한 다른 지방에 비해 그 내용이 풍부하고 독특한 춤사위가 발달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순박한 서민들의 예술이었다는 점에서도 높이 평가된다.
옛 농민들의 축제인 두레굿놀이의 대표격인 밀양 백중놀이는 1980년 중요무형문화재 제68호로 지정됐다. 밀양 어북산 성터에 개관한 밀양 백중놀이전수소에서 밀양 백중놀이보존회가 전승과 보존을 맡고 있으며, 전국의 각종 초청 공연과 영 · 호남 전통문화 교류 공연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백만종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