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자의 꿈과 끼도 중요하다

2014.03.01 09:00:00

이제 한국에서도 학생들이 꿈과 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을 하고자 합니다. 참으로 시기 적절한 시도입니다. 하지만 정작 꿈과 끼를 위한 교육을 주도하는 교육자 당사자들의 꿈과 끼에 대해서는 아무말이 없습니다. 과연 꿈이 꺽이고 끼가 쭈그러든 교육자가 학생들의 꿈과 끼를 이끌어 낼 수 있을까요?

작년 말, 튀니지에서 개최된 아프리카 국가의 교육부 장관 모임에서 필자가 기조강연을 하였습니다. 기적 같은 한국의 사회·경제적 성공은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전국민적 공감대가 있었고 온 국민이 자녀의 미래에 기꺼이 투자한 결과라고 하였습니다. 저는 교육이란 국민에게 단지 읽고, 쓰고, 셈하는 것을 가르치는 게 아니라 국민이 더 좋은 미래를 꿈꾸고 그 비전을 실현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최고의 방법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저는 한국이 앞으로 계속해서 발전할 전망이라고 말했습니다. 최고의 인재가 교육자의 길을 선택하고, 교직을 천직으로 여기는 교사가 여전히 교육의 중심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참석자들로부터 많은 박수를 받았고, 올해 하반기에 나이로비에서 개최되는 또 다른 모임에 기조강연 요청을 받았습니다. 한국의 성공 사례가 아프리카 국가의 교육 리더들에게 희망을 준 것 같아 기뻤고, 한국을 알릴 수 있는 새로운 기회가 반가웠습니다. 그러나 귀국길에 문득 의문이 생겼습니다. 만약에 같은 강연을 북미와 유럽 국가의 교육부 장관들이 모인 자리에서 했다면 과연 같은 반응을 얻었을까? 한국이 이루어낸 성과에 대해 여전히 큰 박수를 받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장밋빛 전망에 대해서는 미진한 반응을 얻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국보다 먼저 잘 살게 된 그들은 경험적으로 알기 때문입니다. 개인소득 2만 불 시대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인재양성 방법과 4만 불 시대를 열기 위한 방법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요. 교육자가 그저 더 열심히, 더 헌신적으로 해서는 안 되고 뭔가 다르게 해야 한다는 것을요. 그래야만 경제적 성공에 따른 사회적 폐해를 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 한국도 새로운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이미 잘 알고 있습니다. 우리는 한 때 남이 만든 세상을 살아가는 후발자였지만 어느덧 그 새로운 세상을 직접 만들어야하는 선구자 입장에 놓였습니다. 미래를 우리 스스로 창조하기 위해서는 비전을 지녀야 하고 각자의 장점과 강점을 최대로 발전시켜야 합니다. 자신의 미래를 창조해본 행복한 학생들이 훗날 행복한 미래사회를 창조해 나갈 것입니다. 그래서 이제는 학생들이 꿈과 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을 하고자 합니다. 참으로 시기적절한 시도입니다. 하지만 정작 꿈과 끼를 위한 교육을 주도해야 하는 교육자 당사자들의 꿈과 끼에 대해서는 아무 말이 없습니다. 과연 꿈이 꺾이고 끼가 쭈그러든 교육자가 학생들의 꿈과 끼를 이끌어낼 수 있을까요? 과연 한국은 교육자들이 자신들의 꿈과 끼를 맘껏 발휘할 수 있도록 허락하고 지지하고 지원하고 있는가요? 매우 중요한 질문입니다. 저는 교육자의 꿈을 존중해주고 교육자가 끼를 맘껏 펼칠 수 있는 환경과 여건이 동반되어야 북미와 유럽 국가들마저 부러워 할 한국 교육이 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러나 이보다 더 중요한 질문이 있습니다. 과연 한국 교육자의 꿈은 무엇인가요? 왜 교육자가 되었으며, 무엇을 위해서 그토록 힘들게 교육자의 길을 택했는가요? 여러분은 인생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지 참으로 궁금합니다. 물론 이 질문에 정답은 없습니다. 하지만 오답은 있습니다. 모든 꿈이 허락되어야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능력과 실력과 노력을 오로지 자신만을 위하는 소인배의 꿈이나 남을 조금도 배려하지 않은 악동의 꿈은 어느 누구도 지지하고 지원할 수 없겠습니다. 그래서 교육자들이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많은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꿈을 꿀 때에 새로운 교육 시스템이 완성됩니다. 오늘 저는 꿈을 꿉니다. 북미와 유럽 교육 전문가들에게마저 감동과 희망을 주는 한국 교육을 꿈꿉니다. 큰 꿈을 가슴에 품고 세상을 이롭게 하는 인재가 쏟아져 나오는 한국 교육을 꿈꿉니다. 저는 고작 튀니지와 나이로비에서 지난 반세기의 한국 교육 성공사례를 소개하지만 훗날 워싱턴과 런던에서 2010년대의 한국 교육을 자랑스럽게 소개하는 후배 교육자들을 상상해봅니다.
 

조벽 교사들 사이에서 아이돌 스타 못지않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조벽 교수는 우리 교육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통찰력 있게 제시하고 실천 전략을 전파하며 몸소 실천하고 있는 최고의 교육 전문가이다. 현재 동국대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며, 교육과학기술부 정책자문위원, 부산 서부교육지원청 Wee 센터 센터 장, 학교폭력대책위 공동위원장, 소년의집 교육장 등을 역임했고 <청소년 감정코칭>, <수업컨설팅>, <내 아이를 위한 감정코칭> 등 다수의 저서를 출판했다.
조벽 동국대 석좌교수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