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는 2학기부터 모든 중학교에서 자유학기제가 도입된다. 이미 여기저기서 먼저 실시한 학교와 새로 시작할 학교에서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지역 네트워크로 체험활동의 영역이 만들어지고 선생님들의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교육은 미래를 준비하는 작업이고,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빠르게 상상하는 것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인간이 문명의 혜택을 받고 살지만 소화해 내기는 무척이나 힘들다. 그러면서 인간이 하는 일을 기계가 대신함으로써 마치 산업혁명 때의 일자리 구하기 시대와 같기도 하다. 이런 시대적 배경에서 교사는 미래 세대를 짊어질 학생들을 어떻게 능동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가르쳐야할까? 시간을 돌려놓을 수 없듯이 변화의 흐름에 따른 교육의 흐름을 거꾸로 갈 수는 없다.
변화하는 사회를 보라. 마치 중2에서 배우는 양의 2차함수의 그래프와 같지 않는가? 반면 학생들과의 문화 차이는 양의 반비례 곡선과 같아 보인다. 세상은 열려져 있고 모든 정보는 세상에 지천으로 널려져 있다. 이러한 시대가 계속되면 현재의 직업이 대다수 사라진다고 한다. 토마스 프레이는 “미래의 교육은 아마도 가상현실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고 말한다.
직업 하나로는 살아갈 수 없는 세대를 위한 교육
현재 중3 학생은 30년 후에 40대 중반이 된다. 선생님들은 학생들의 미래시대를 위한 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까? 이들이 살아가는 동안에 직업을 몇 번을 바꾸어야 할지도 모른다. 이렇게 예측하기 어려운 시대에 어떤 문제가 자신의 앞에 닥쳤을 때 스스로 문제해결을 해야 되지 않겠는가? 또 혼자의 생각보다는 함께 생각했을 때 좀 더 나은 방향 제시가 되지 않을까? 요즘 뜨고 있는 인문학적 소양이 바로 삶을 위한 것이 아니겠는가? 학생의 행복한 학습을 구현하는 학생중심의 교육이 학교교육이 아니겠는가?
사회적 변화로부터 불어온 교육과정의 핵심은 삶이고, 그 삶은 다시 교과교육과정 교육에서의 지혜로움과 협력으로 역량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함께 살아가기에, 서로가 배려하고 공감하기에 더불어 행복한 것이다.
또한 삶은 융합이다. 한 가지를 배웠다고 과연 몇 가지에 적용할 수 있을까? 새로운 미래를 위한 무한 사고와 문제해결을 함으로써 얻어지는 기쁨, 내가 하고 싶은 일들을 하고 느끼는 보람 등은 보통 때보다 배가 된다. 주변인들과 함께했을 때 더욱 행복하기 마련이다.
자유학기제 성공의 조건은 수업 개선
이런 것이 국가가 제시한 교육의 방향에 부합하는 일이며, 앞으로 사회의 변화는 매우 빠르게 진행될 것이다. 자유학기제의 성공적인 안착과 공교육의 정상화 다양한 기획과 체험을 통해 학생들이 꿈과 끼를 발산하고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이에 적합한 프로그램과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학생의 행복한 학습을 구현하는 학생중심의 교육은 올바른 인성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소질과 적성에 맞는 꿈과 끼를 스스로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창의성과 미래지향적 역량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고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교육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프로그램과 환경을 교사가 학생들에게 꾸준히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학교 현장의 교사들은 교육과정내용의 재구성을 통하여 교사 스스로가 교육 과정을 분석하고 수업개선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보다 질 높은 교사의 전문성과 긍정적 마인드로 미래를 살아갈 학생들의 교육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대한민국의 교사들에게 박수를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