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 파괴된 세상, 희망은…

2016.02.01 09:00:00

영화 <매드맥스>를 활용한 수업


1999년 마지막 날을 기억하고 계신가요? Y2K라는 말도 낯설지 않으시겠죠? 어느 예언가의 종말론도 빗나가고 모두 희망에 가득했던 그때. 세기가 바뀌면서 사람들은 저마다 희망을 가슴에 품었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꿈은 9.11테러로 처참히 무너졌습니다.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10년이 넘었지만, 파리에서는 또 충격적인 테러가 발생했습니다. 여전히 분쟁은 이어지고 있으며 세계의 많은 사람은 기아와 질병에 시달리며 죽어가고 있습니다. 우리 인류에게 밝은 미래는 있을까요?

암담한 세상
인류의 황폐한 미래를 그린 영화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2015)는 핵전쟁 이후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황량한 사막에서 유물을 개조한 차를 타고 서로 끊임없이 쫓고 쫓기며 서로 죽고 죽이는 살육과 인간사냥이 이루어지는 여정입니다. 암울한 미래, 잔인하게 보일 수 있는 내용 등으로 이 영화가 그렇게 반갑지만은 않았습니다.

그러나 현실을 놓고 본다면 극단적으로 그린 미래의 상황보다 지금이 결코 더 낫다고 이야기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이 영화는 절망만을 이야기하고 있지 않습니다. 암담함 속에서도 희망을 찾아 떠나고 있으며 끝내 쟁취하게 됩니다. 아주 흥미로운 것은 폭발과 폭력이 난무하는 영화지만 그 안에서 철학을 읽을 수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우리 인류는 폭력적인 상황에서 큰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답은 아니지만, 치유와 회복이라는 차원에서 아이들과 함께 이야기 나눠볼 수 있을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단순해 보이는 텍스트에서 의미를 추출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대상을 깊이 있게 읽는 연습을 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교육적 접근
영화 <매드맥스>를 교육적으로 접근하여 해석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황폐한 세상
온통 흙먼지로 뒤덮여 있는 세상에 방사능 오염으로 돌연변이가 태어나고, 사람들은 불구가 된 채 살아가는 세상. 보기만 해도 암담하다는 말 이외에는 표현할 길이 없습니다. 우리의 미래를 장밋빛으로만 그리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기에 이러한 모습을 그려보는 것은 충분히 의미가 있습니다. 현재 우리의 문제를 바탕으로 미래가 어떻게 변할지에 대해 예측해 보는 활동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미래의 어두운 모습을 예측해 봄으로써 현재 우리가 경계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할 기회를 갖게 됩니다.

여성성을 통한 회복
악당의 손에 사로잡혀 있던 여자들은 2세를 생산하는 기계처럼 그려집니다. 영화 속 사령관 퓨리오사는 트럭에 여자들을 데리고 탈출을 감행합니다. 이분법에 가까울 정도로 여성은 신성하고 회복이 가능한 존재로, 남성은 무식하고 파괴를 일삼는 존재로 그려집니다.
작품의 마지막 부분에서도 결국 새로운 희망을 제시하는 존재는 여성입니다. 에코페미니즘(Ecofeminism)의 관점에서 볼 때 그동안의 폭력은 남성 중심의 마초 문화에서 비롯되었다고 비판합니다. 이러한 철학적 관점과 영화의 내용이 일맥상통하고 있습니다.

맹목적인 믿음과 현실
영화 속에는 두 가지 믿음과 관련한 장면이 등장합니다. 하나는 악당(임모탄)에 대한 믿음인데, 병든 사람들에게 그는 구원자처럼 행세합니다. 쉽게 구할 수 없는 물을 이용해 사람들을 조종합니다. ‘구원’이라는 이름을 내세워 죽음으로 내몰기까지 합니다. 그러나 실체를 알고 보면 개인의 이익에만 눈이 멀고 그 자신조차도 병들어 겨우 연명하는 존재입니다.

다음으로 주인공이 찾아가는 ‘어머니의 땅’에 대한 믿음인데요. 그곳은 물이 흐르고 푸른 수목이 덮여 있는 곳으로 그려집니다. 그러나 힘들게 찾아간 곳에는 까마귀와 병든 자만이 빈 곳을 채우고 있습니다. 희망은 오히려 먼 곳이 아닌 그들이 도망쳐온 곳이었다는 내용은 파랑새의 이야기를 떠올리게 합니다.

수업 활용
암담한 인류의 미래를 그린 영화 <매드맥스>는 인류의 불안한 미래를 그린 다른 작품들과 함께 살펴보면 더욱 깊이 있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살펴보았던 <더 로드>와 연결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이 밖에도 기계문명과 인류의 미래를 연결하여 <제5원소>, <공각기동대>와 같은 작품들과 연결을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박정현 인천 만수북중학교 교사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