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우주를 향한 인류의 도전은 더욱 탄력 받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우주 강대국들의 경쟁 속에서 2020년 달 탐사 계획을 시작으로 우주시대를 차근차근 준비하고 있다.
‘우주를 향한 꿈’은 인류의 시작과 함께 계속 되어왔다. 우주는 신의 영역으로 그려졌고,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태양력을 사용했으며, 목동들은 별자리를 만들었다. 1957년 인류사상 첫 인공위성이 발사되면서 ‘우주로의 진출’이 시작된 이래, 우주는 더 이상 동경의 대상이 아니다. 오히려 지구의 환경문제가 악화되면서 우주는 ‘확장된 삶의 터전’이라는 생각으로 바뀌고 있다. 실제로 네덜란드의 기업이 ‘화성으로 이주할 사람’을 모집하자 많은 사람이 지원했다고 한다. 여전히 우주는 미지의 영역이지만, ‘화성으로 수학여행’ 가는 것은 꿈이 아닐지 모른다.
우주의 모습을 그린 영화는 많다. 과거에는 막연한 상상력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면, 최근의 영화들은 과학적 원리를 기반으로 제작되고 있다. 한 편의 영화가 개봉된 뒤 과학적 오류를 제시하는 기사들이 나오는 것만 봐도 상당 부분 타당성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영화 <인터스텔라>가 일반인들은 이해하기 어려운 이론을 영화 속에 자연스럽게 녹여내서 흥행에 성공했다면, 영화 <마션>은 지구와 가장 유사한 환경을 가진 화성을 소재로 한 단계 더 현실적인 우주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마션> 속에 담겨 있는 다양한 이야기와 함께 우주로 떠나보자.
교육적 접근
영화 <마션>을 교육적으로 접근해보자.
극한의 상황에서 살아남기
영화 속 주인공처럼 화성에 홀로 남겨진다면 어떨까? 식량도 얼마 남아있지 않고, 물도 없으며, 기지 밖은 산소 농도가 달라 호흡이 어렵다. 무엇보다 자신의 생존 사실을 지구에 알릴 수 없는, 그야말로 최악의 상황이다. 하지만 극한의 상황 속에서 ‘삶을 포기하지 않고’ 기지를 발휘해 살아남는 주인공의 모습은 우리에게 ‘삶의 의미’와 ‘인간의 의지’를 생각하게 한다.
일상의 소중한 발견
어떤 사회문화 평론가는 영화 <마션>을 ‘화성판 삼시세끼’라고 표현했다. 영화 속에서 주인공은 ‘추수감사절 기념 음식’을 위해 준비해 놓은 감자를 발견한다. 그리고는 아무것도 없는 척박한 화성의 흙을 가져다 감자를 키우기 시작한다. 물을 얻기 위해 과학적 지식을 총동원하는 모습은 일상에서 너무도 당연하게 누리는 것들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가에 대해 생각할 수 있게 해준다.
화성과 지구의 다른 점(과학적 분석)
화성은 태양계 행성 중 지구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생명체의 생존이 가능한 곳으로 생각되는 곳이기도 하다. 하지만 지구와는 상당한 차이를 갖고 있다. 영화 속에 그려지고 있는 모습을 분석하며 그 내용이 과학적으로 객관적인 것인지 어떤 오류가 있는지 확인해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어려운 과학 내용에 쉽게 접근해볼 수 있다.
수업 활용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