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에 새기는 희망

2017.01.04 16:39:33

새해 아침이 열리고 새로운 날 새로운 하늘이 펼쳐진다. 저마다 귀하기만 한 첫 해맞이가 벅찬 가슴을 연다. 모두가 바라는 소망! 지구 위의 한 점으로도 표현 못할 존재지만 욕심 많게 새해 소원을 빌어 본다.

어제까지 삶을 힘들게 한 온갖 어둠을 해넘이로 살라 버리고 새로움 새 각오로 출발하는 첫날 아침, 정결히 손을 씻고 간절한 소원을 두 손에 모은다. 밝은 앞날만 바라보게 하고 가버린 이야기는 가르침으로 새기며, 주파수 맞지 않은 세상의 불협화음은 떨쳐버리고 희망을 보듬는 곱고 고운 한 해를 소원해본다. 

내 작은 사랑으로 소외된 이웃에게 소중함을 나누는 깨우침을 닦아 빛나게 하고, 허물진 모든 일은 내 탓임을 깨닫는 겸손한 새해를 열면 좋겠다. 언제나 파도에 허우적대며 사회적 약자의 그늘에 있는 사람에게 아픔과 포기란 말을 멀리하게 하고 그들의 시리고 아린 마음을 보듬어 희망과 용기 가득한 그런 날이 매일 열리게 하자.

정유년 첫날 푸른 아침 바다를 깨우는 해를 보듬으며 하루를 시작한다. 나이가 들수록 옆을 파고드는 침묵과 사색이 더 소중하게 다가온다. 푸릇푸릇한 마늘 시금치 밭 겨울 남해 그리고 굽이진 길! 그 위로 사진기의 느린 셔터는 빛을 따라 궤적을 남기며 연속성을 보여준다. 어제가 있었기에 오늘이 있고 내일은 달려와 지난 일이 된다. 그래도 우리는 이 소중한 시간을 새해 첫날에만 진실로 대하고 있는 모양새다.

오늘도 해안도로를 따라 하루의 흔적을 남기는 초침의 대열에 소리친다. 새해를 여는 아침 겨울 산은 밤새 한기에 숨을 죽이고 해변은 파도의 물거품으로 잠에서 깨어난다. 그 숨죽임 속에는 새로운 생명이 있으며 물거품 속에는 정오의 윤슬에 두근거릴 희망과 감동이 숨어있다. 시작은 언제나 싱싱함과 두근거림이 있기에 새해는 희망을 꿈꾼다. 이 희망의 빛을 끊임없이 타오르게 하려면 어떻게 자신을 다독여야 할까?

그 작은 처음의 빛은 자신에 대한 사랑을 들여다보는 것이다. 산다는 것은 높낮이가 다른 무수한 고개를 넘는 일이다. 느긋할 때도 있고 급할 때도 유혹의 늪에 빠질 수도 있다. 또한, 청정한 일상 중에서도 갈등의 바다에 놓일 수 있다. 지금 당장 이로움이 손해로 다가올 수 있고 큰 낭패가 유익으로 다가올 수 있다. 하지만 자신에게 겸손해야 한다. 바다를 보라. 바람결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이지만 그 종착지는 정갈함과 고요함을 품은 겸손이다. 이처럼 자신의 삶에서도 기준점을 잃지 말고 일관된 모습으로 살아가는 것이 작은 빛을 타오르게 할 수 있다.

두 번째 속삭이고 싶은 말은 이웃을 사랑으로 들여다보는 눈을 가져야 한다. 이 이웃은 자신을 둘러싼 가족, 친지는 물론 옷깃을 스치는 모든 사람이다. 지금 우리 삶은 하늘 한 번 쳐다보기도 쉽지 않은 숨 가쁨으로 할딱이고 있다. 여유가 없으니 주변을 돌아보기란 너무 어렵다. 그런 만큼 자신에게만 충실하지 상대방에게 관심을 가질 여력이 없다고 변명한다. 

우리가 가진 삶의 여정은 머리에서 배꼽까지의 여행이다. 이 기간이 칠십 년 걸린다고 한다. 하지만 참다운 자신을 찾는 여행은 배꼽에서 발끝까지의 여행이다. 그 기간 이웃을 살피며 베푸는 여행이 되어야 한다. 꼭 물질적인 배려가 아니더라도 말 한마디 표정 하나로 배려하며 상대방이 또 다른 자신이라는 측은지심, 수오지심을 가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외치고 싶은 말은 하모니 사랑이다. 모든 갈등을 엎고 치유할 묘약은 서로 간의 관계 지향성을 높이는 사랑밖에 없다. 지난해는 앞을 가늠키 어려운 상황이 나라 안팎으로 이어졌다. 물론 지금도 현재진행형이지만 이제 갈등과 분열을 넘어서 모두가 새롭게 보듬어야 할 시기에 와있다. 머리와 입으로 하는 앵무새 같은 향기가 없는 사랑보다 이해, 관용, 포용, 동화, 자기 낮춤이 선행된 사랑으로 갈등과 분열의 시기를 묶어야 한다. 또한, 이 땅에서 살아내고 버텨야 할 사회적 약자들에게 희망의 불꽃을 타오르게 하고 새로운 에너지로 충만케 하는 일도 바로 이 어울림 사랑이다.

삶과 세상일은 반복된다. 그 반복의 의미 속에 미미하지만 자신을 추스르고 다듬을 수 있는 소중한 것들은 스치며 지나간다. 그 지나침 속에 만나는 모든 것들이 깨달음과 자신을 되새김할 희망의 열쇠이다. 단지 관심이 적어 느끼지 못할 뿐이다.

겨울바람 속에 갈무리된 깻단과 고춧대를 본다. 눈에 넣어도 차지 않을 작은 씨앗이 발아해 기다림의 성장 끝에 결실을 주고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가는 것을 보면 그 자체에 향기가 난다. 하물며 만물의 영장인 사람도 그 존재 이유에 의문을 던진다면 더 향기 나는 삶을 꾸릴 수 있지 않을까?

오늘 떠오른 해는 내일도 떠오른다. 이런 반복의 의미 속에 지금 존재에 대한 희망의 가치를 더 소중히 여기고 올바른 길로 가는지 자신을 살펴야 한다. 2009년 2월 선종한 김수환 추기경은 그의 어록에서 "내일을 향해 바라보는 것만이 희망의 전부는 아니다. 내일을 위해 오늘 씨앗을 뿌리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에서 희망"이라고 했다. 거창한 약속보다는 오늘 하루의 소중함을 언제나 새해 첫날 같은 마음으로 되새기며 자신과 이웃 그리고 모두를 위한 사랑에 인색하지 않은 자세가 충만한 한 해를 만드는 첫 걸음임을 새겨야 한다.
장현재 경남 상주초 교사 qwe85asd@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