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말 한 마디는 영원할 것이다

2017.03.01 21:45:33

인간이 만든 것 중 위대한 것은 아름다운 말이다. 그래서 우리는 이런 말을 '명언, 금언'이라 부른다. 우리 선조들은 아름다운 말을 글로 남겼다. 이 글이 3.1운동 때 낭독된 '기미독립선언문'이다. 지금의 혼란스런 한국의 현실에서 아름다운 말 한 마디가 정말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 국민은 대통령의 탄핵 심판이라는 결정 앞에서 분열을 두려워 한다. 그 이유는 분열이 희망을 앗아가고 더 큰 아픔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런 역사적 사실을 너무 많이 알고 있다. 지금 우리가 존재하는 것은 이러한 어려움의 터널을 모두 이겨냈기 때문이다.


선조들이 독립을 외치면서 일어난 3.1운동의 98주년을 맞이하는 우리의 모습은 다소 우울하다. 소월이 노래한 '산산이 부서진 이름'은 회복이 되었지만 대한민국의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이 잡히기 않는 것은 탄핵 심판에 대한 찬반 세력이 모두 불복태세를 보인다는 것 때문이다. 정치를 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비상한 두뇌다. 그러나 머리가 비상하게 좋은 사람이라고 해서 모두가 위대한 정치가는 아니다. 왜냐하면 동쪽으로 가는 것이 분명히 옳고 또 승산이 있다고 생각됨에도 불구하고 그 길을 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대부분은 용기가 부족하다는 사실 때문에 정치인은 그만 거기에서 주저물러 앉고 마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런데 인간이 머리를 짜내서 답이 나오는 경우는 그래도 괜찮은 편이다. 문제는 어느 길을 갈 것인가를 즉시 결정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어느 길을 택할지는 대답이 나오지 않는다거나 그 어느 길을 가더라도 위험하기 짝이 없을 경우, 이때는 정말로 마지막 카드로 '용기'가 필요한 것이다. 이 '용기'는 탄핵 이후 국민 분열만은 막아야 한다는 사실을 지금 우리는 두 눈으로 직시하고 있지 않는가!


한국과 비슷한 길을 걸었던 건 나라는 브라질이다. 부패 의혹으로 첫 여성 대통령 지우마 호세프에 대한 탄핵안이 제기되자 400개 도시에서 찬반 시위가 격렬했고, 결국 그 해 8월 탄핵안이 통과돼 호세프는 물러났다. 탄핵 후에도 브라질의 찢긴 국론은 아물지 않았다. 탄핵이 끝이 아니었다. 격렬한 시위는 계속됐으며 심지어 신임 대통령마저 탄핵을 당하는 정치 불안이 이어졌다. 안정을 먹고 사는 경제가 잘 될리 없었다. 2015년 -3.8%의 마이너스 성장에 이어 지난해 성장률도 -3.5%에 수준이었다. 실업률은 사상 최악인 12.6%로 치솟아 무직자가 1300만 명에 달했고 청년실업도 최고 수치라고 하니 이는 결코 남의 나라 이야기로만 듣고 흘릴 것이 아니다.


지금 우리나라 상황도 브라질보다 별반 나은 게 없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주변 곳곳에서 ‘촛불 좀비’ ‘아스팔트 할배’ 같은 증오의 막말이 넘치고 있다. 탄핵 찬성 쪽은 “기각되면 혁명이 일어날 것”이라 말하고, 반대 측은 “인용되면 아스팔트에 피가 뿌려질 것”이라는 협박성 언어가 난무하고 있다. 이것이 지금 공부를 했다는 지도자들의 언어다. 그러나 우리 국민은 위기를 헤쳐나온 경험이 있기에 막다른 절벽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대로 방치하면 마치 내전이라도 일어날 것 같은 느낌은 나만의 생각일까? 


우리 선조들은 일본 제국의 강권주의와 침략주의를 비판하면서도 ‘일시적 감정으로 타국을 배척’하려는 태도를 경계한 것은 대단한 용기였다. 지금은 우리가 독립국가를 이루고 한 영토 안에 살면서도 지도자 문제로  내가 반대하는 집단을 마치 적국을 대하는 태도는 역사에서 용납받지 못할 것이다. 대화와 소통이 막힌 나라는 희망이 없다. 한국의 장래와 국론 통합을 위해 지도자가 무엇을 하는 것이 좋은가를 국민들은 기다리고 있다.


이런 국난에서 필요한 영원히 남을 대통령의  "국민 여러분, 태극기와 촛불을 내려 놓으시고 차분히 헌재의 결정을 기다려 주실 것을 호소합니다"라는 말 한마디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렇게 시작된 한마디는 선조들이 몸 바쳐 싸워온 3.1절 98주년을 맞이하여 분노로 가득한 국민들의 가슴 속에 남을 민주주의를 지킨 한 마디가 될 것이다.

김광섭 교육칼럼니스트 ggs1953@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