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갯벌 체험을 다녀와서

2017.03.08 16:03:54

처음 도착한 곳은 백로서식지로 쌍안경을 들고 유심히 백로의 모습을 관찰해보았다. 백로는 여름철새로서 한 번에 3~4개의 알을 낳아 지극정성으로 새끼를 키우지만 어느 정도 자라면 날개 짓을 하도록 혹독한 훈련을 시킨다고 한다. 백로는 환경오염의 척도로서 백로가 살 수 없으면 사람도 살 수 없는 환경이 되고 만다고 한다.


다음 도착지는 동막 해수욕장이었는데 강화도 갯벌은 유네스코가 선정한 세계 5대 갯벌중의 하나로 손꼽힐 정도로 유명한 갯벌이라고 했다. 양말을 신고 자신 있게 갯벌에 발을 내딛어보았지만 만만치 않았다. 갯벌입구에서부터 망둥어와 새끼 게들이 꼼지락거리며 쉴 새 없이 움직이고 있었다. 사람들은 무슨 대단한 보물이라도 찾을 것처럼 이리저리 왔다 갔다 하며 흙을 팠다. 그러나 사람들이 손길이 많이 닿아서인지 조개가 움직인 흔적들은 곳곳에 보이는데 막상 조개들은 보이지 않았다.


썰물 때 4km 이상 바닷물이 밀려 나가기 때문에 둑에서 물가까지 걸어서 한 시간 걸릴 만큼 갯벌이 펼쳐져 있었다. 물 빠진 갯벌은 겉으로는 조용했지만 수많은 바다 생물들이 숨어 있었다. 발을 옮길 때마다 쏜살같이 도망치는 말뚝 망둑어, 범게 등과의 숨바꼭질도 참 재미있었다. 


특히 범게는 천둥이 쳐야 물었던 것을 놓아준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다리가 꺾어져도 끝까지 물고 있는 대단한 놈이라고 한다. 바위를 들춰보면 회색모양의 따개비나 굴이 다닥다닥 붙어 있지만 막상 먹을 수 있는 굴은 아니었다. 그 주변을 얼쩡거리던 새끼 손톱만한 게들이 깜짝 놀라 달아나고 그냥 얌전히 있는 것 같던 고둥들도 가만히 보면 모두 꼬물꼬물 움직이고 있었다. 실상은 껍데기만 고둥일 뿐 집게가 고둥의 속살을 파먹고 버젓이 주인 행세를 하고 있었다. 군데군데 갯지렁이가 내놓은 실 꾸러미 같은 배설물과 콩알만 한 게들이 숭숭 뚫어 놓은 수많은 구멍도 눈길을 끌었다.


장화리는 근처에 해양탐구수련원이 있으며 낙조를 1년 내내 볼 수 있는 ‘낙조 일번지’로서 동막 해수욕장보다는 깨끗했다. 장화리는 정보화 시범마을로 집집마다 컴퓨터가 한 대씩 보급돼 있고 마을회관에도 컴퓨터가 있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고 했다. 서해안은 물고기의 종류가 다양한데 장화리에도 철마다 많은 종류의 고기들이 잡힌다고 한다.


우리가 환경의 소중함을 깨닫기 위해 갯벌 체험을 하지만 오히려 갯벌을 더 죽일 수 있다고 했다.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갯벌을 밟으면 갯벌이 딱딱해져서 바지락, 게, 갯지렁이 등의 갯벌 생물이 살 수 없단다.


요즈음 갯벌 체험이 인기를 끌고 있다. 어떤 곳에서는 갯골 탐험, 염전 써레질, 거기에 콘서트까지 곁들어서 다채로운 행사를 벌이고 있다. 갯벌은 소중한 삶의 터전으로서 오염물질을 깨끗이 해주고 바다생물이 사는 곳이며 바닷물이 육지로 넘치는 것을 막아주며 갯벌이 한 번 만들어 지려면 수 천 년이 걸린다고 하니 갯벌을 소중히 해야겠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조원표 경기 소안초 교사, 행복한교육 명예기자 cwp1114@korea.kr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