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11일 전남교육연수원 행정전문 리더과정의 3시간 강의에 이어 5월 23일(화) 2,3교시는 선진국 교육탐색으로 핀란드 교육과 독일의 가정교육을 중심으로 수강생들과 함께 선진국 교육을 탐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예전에는 교류가 적어 해외교육에 관한 관심이 적었지만 지금은 지구촌화가 진행되면서 좋은 교육을 도입하여 자국의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우리교육의 현재를 생각해 보고 우리 자녀들에게 어떤 교육을 시켜야 할 것인가를 도움을 받고자 하는 것이다. 몇몇 연수생들의 질문 과정을 통해우리교육 현장에 어떤 문제가 눈에 띄는가를 생각하면서 수업을 진행했다.
다음은 독일의 가정교육을 중심으로 정리한 내용이다.
첫째, 독일인들은 세계적으로도 엄격성과 규칙이나 질서의식이 투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갓 태어난 아이를 육아하는 방식만 보더라도 알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수유하는 시간을 정해 놓고 아이가 아무리 울며 보채도 정확하게 그 시간을 지켜서 수유하는 것과 잠자는 시간을 규칙적으로 함으로써 아이들이 시간과 규칙에 익숙해지도록 생활화 한다. 또한 이러한 방식은 가정 뿐 아니라 킨더가르텐(유치원)에서 마찬가지로 이루어짐으로 아이들은 성장과정에서 자연스레 익혀가게 된다. 이같은 교육의 모습은 가까운 일본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둘째, 독일 아빠들은 육아과정에 참여도가 높다. 출산의 과정에서 함께 함으로써 갓 태어난 아이와의 친밀도가 높아지고 출산휴가를 통해 직접적으로 육아에 참여하게 되는데, 아이가 자라면서 산책을 하거나 잠자기 전 책을 읽어주기, 유치원 등하원 같이 하기 등 가정에서 아빠가 큰 역할을 함으로써 가정이 돈독해지고 이는 사회적 결속과 성장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셋째, 독일 아이들은 자율적인 사고와 자립적인 행동을 할 수 있다. 어린아이들은 놀이문화나 야외활동에서 통해, 예를 들어 놀이터에서 아이들이 놀 때 다치거나 위험한 상황이 아니면 어른들은 아이들간의 소소한 다툼이 생겨도 개입하지 않고 스스로 문제해결을 하게 함으로써 자율적, 자립적으로 문제 극복 방식을 배우게 한다.
넷째, 독일의 교육은 공부하라는 말을 하지 않는다. 유치원에서 한글공부 숫자공부 영어 공부하는 우리나라의 현실과는 많이 다르다. 실제로 학교에 입학해서야 알파벳을 공부할 정도이다. 대신 부모님이나 유치원에서는 놀이터나 공원길을 산책하면서 자연과 하나로 놀 수 있게 아이들의 시간을 충분히 비워둔다. 아이들은 흙을 재료로 뭔가를 만들어 보기도 하고 그 속에 사는 조그만 생명체도 알게 되며 그 모든 것들이 함께 더불어 살아야 할 것들임을 알게 된다. 또한 그들은 아이들에게 뭔가를 재촉하지 않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조차 아이들이 성장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다섯째, 독일 아이들은 조심스럽고 얌전하다. 가정에서도 큰 목소리로 이야기하지 않고 상대방이 들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말할 것을 배우는데 공공장소에서 필요이상의 소리를 내지 않음으로써 타인을 방해하지 않는다. 놀이터에서 놀 때도 질서를 지키며 타인에게 양보, 배려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또, 독일 아이들은 근검절약을 생활 속에서 배운다. 독일인들은 불필요한 소비를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이를 위해 사용했던 물품이나 교구들은 아이가 다 자란 후에 나눔을 통해 필요한 이에게 전달된다. 부모세대가 사용했던 물건을 대를 이어 물려주는 경우도 있는데 그것을 굉장히 자랑스러워 한다. 한편, 독일은 자동차의 나라라 할 수 있지만 20여년 된 낡은 차도 소중하게 잘 관리해서 사용하기도 하고, 중고시장이 잘 발달해서 서로에게 필요한 물건과 필요하지 않은 물건을 정리하는 법을 알게 되며 싼 값에 좋은 물건을 얻어가는 경제관념도 배우게 된다. 아이들은 부모님의 모습을 통해 검소한 소비의 형태를 체득한다.
실제로 독일 아이들의 교육은 이와 같이 몇 가지로 모두 설명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아이들을 교육을 한다’라는 생각보다 오랫동안 일상에서 터득되어 온 삶의 방식을 대를 이어 연결해 주는 것일 뿐이다. 가정에서의 이같은 교육은 타인을 이해하고 배려하면서 더불어 살아가는 것을 몸에 익히게 하고, 사회로 나아갔을 때 치열한 경쟁 구도 안에서도 자신을 잃지 않으면서 타인과 함께 행복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믿기 때문이다.
수강생 가운데는 지난 번 강의를 통해 고등학생인 자녀가 스스로 학교생활을 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기 위하여 실제로 아침 기상을 자녀 스스로가 할 수 있도록 시도하여 지금까지 깨워주던 습관을 그만두니 아이가 스스로 행동하는 것을 보았다는 것이다. 이번 강의를 가정에서 적용해 효과를 본 이야기를 하는 수강자도 있었다.
우리 교육은 지나치게 모든 분야에서 부모가 대행함으로 아이들은 온실 속에서 자라나는 화초와 같은 생활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그 결과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을 하여도 조금만 힘든 일이 발생해도 견디에 내지 못하고 그만 두는 경우가 허다하다.
특히 평생을 공부하면서 살아야 할 세상이 되었는데 아직도 대입을 목표로 한 선행학습 위주의 과잉교육은 아이들의 삶의 리듬을 파괴하고 있다. 공부의 흐름인 예습과, 본 수업, 그리고 복습, 시험기술을 잘 익혀서 자신의 삶을 스스로 운전하여 갈 수 있도록 자녀를 지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는 직무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많은 연수를 받지만 실제로 자신의 삶에 적용하는 것들은 많지 않다 보니 연수의 효과가 적어질 수 밖에 없다. 매 연수 때마다 진정 배우고자 하는 것들을 잘 선정하여 삶에 적용하는 것이 진정한 연수의 효과라고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