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림의 소중함을 전해주는 바래길

2017.06.27 09:30:39

우리는 삶이란 길 위에 태어나 걷기를 반복하며 생을 마감한다. 곧은 길, 굽은 길, 갈림길 등 여러 형태의 길이 있지만 이정표와 목적지는 사뭇 다르다. 그런 만큼 가는 방법도 천천히 음미하며 걷는 이, 숨을 몰아쉬며 달리는 이, 두 갈래의 갈림길에서 갈등하는 이 등 천태만상이다. 우리는 이렇게 밖으로 드러난 길과 마음속에 있는 길을 서로 교차하면서 살고 있다.


아직 여물지 않은 마음이 가득한 유월 하순, 시험을 앞둔 독서학교 중1, 2학년 아이들과 남해바래길 1코스 다랭이 지겟길을 평산항에서 시작한다. 장마도 늦고 유난히 가뭄이 심한 올해. 산비탈의 황토밭엔 늦은 수확을 앞둔 감자와 이랑을 지어 심어 놓은 고구마 순이 기진맥진한 채 물 한 모금을 갈구하고 있다. 여느 해라면 이맘쯤 장맛비가 시작됐을 것인데 비가 오지 않아 다행이다. 하지만 사람의 입장은 언제나 상대적이라 농부는 이런 가뭄과 마른장마가 원망스러울 것이다.

언덕길을 오르자 가슴을 열어주는 바다가 눈에 들어온다. 아이들도 시원한지 환호한다. 친한 친구와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며 나란히 걷은 여학생, 선들선들 큰 걸음을 옮기는 남학생, 앞서서 비켜 간다고 길 가장자리 밭둑으로 걷는 장난기 많은 남학생 등 서로 다른 마음과 생각으로 길을 걷는다. 오늘 걷기의 주제는 느림이다. 길 따라 이야기 따라 걸으며 느림의 좋은 점을 몸소 느끼고 생각하는 게 목적이다. 느림의 미학. 언제부터 현대인은 이 느림을 미학으로 여기며 누리려고 했을까?

한 무리의 아이들이 빠른 걸음으로 비껴간다. 잠시 고개를 돌려 길 가장자리 언덕을 본다. 풀숲에 앙증맞은 줄딸기가 검붉게 익어 가고 있지만 아이들은 길 가기에 바빠 앞만 본다. 덤불을 헤치고 가시에 찔리며 딸기를 딴다. 달콤한 맛과 함께 씨앗이 느껴진다. “그것 먹을 수 있어요? 먹으면 죽는 것 아니에요.” 뒤에 선 아이가 묻는다. 농촌에 살지만 공부, 학교, 학원에만 매달려 경험이 없기에 도시아이와 마찬가지다. 옆으로 온 아이에게 잘 익은 딸기를 건네자 맛있다고 한다. 그러나 여전히 다음 주 시작되는 시험이 걱정이라며 걷기를 빨리 끝내고 공부해야 한다고 한다. 시험 때문에 오늘 경험하는 느림의 즐거움이 빛을 발하지 못한다.

산 고개를 내려와 바다와 인접한 길을 걷는다. 그래 이게 바로 갱번가는 바래길이다. 시간의 흐름을 다양한 형태로 간직한 몽돌들이 파도에 쓸려 잔잔한 소리를 내며 물에 잠겨 있다. 깨끗한 물은 바다 밑까지 비추며 속살을 드러낸다. 자신의 발로 앞만 보고 달리는 것보다 옆도 보고 뒤도 돌아보며 걷는 일은 생각의 근원을 찾아 백지 한 장에 나만의 감성을 물들이는 일이다.

바래길이지만 대부분 시멘트 길이다. 지금 우리는 포장된 길에 너무 익숙해져 있다. 흙길, 산길, 자갈길, 논두렁 밭두렁 길을 걸으며 길마다 번져 오는 다른 감촉을 얼마나 느끼며 살까? 포장길이 끝나고 풀들로 가득한 산길에 접어든다. 저 멀리 포플러 나무 잎사귀가 바람결에 손을 흔들며 반긴다. 하지만 반바지 차림의 아이들은 선뜻 들어서지 못한다. “풀 알레르기가 있어요. 풀잎이 종아리를 긁어요.” 그래도 앞사람을 따라 간다. 어떤 아이는 뱀이 나올 것 같다며 뛰어가기도 한다. 지금은 싫지만 생각의 씨알이 굵어지면 풀잎새의 간질이는 느낌은 새롭게 피어올라 그 의미를 반추할 수 있을 것이다.

잠시 걸음을 멈추고 숨을 돌린다. “언제 끝나요, 빨리 끝났으면 좋겠어요” 아이들의 보채는 성화가 열화 같다. 그렇게 앞서간 아이들이 두 갈래의 갈림길에서 멈춰 서 있다. 꽤 많은 선택의 갈등을 한 모양이다. 왼쪽을 가리키는 손짓을 보고 언제 그랬냐는 듯이 또다시 빠른 걸음을 놓기 시작한다. 그래 사람의 사는 일 자체가 언제나 선택의 길 아닌가?

멀어지는 아이들의 뒷모습을 보며 누가 가르쳐준 것도 아닌데 서두름에 익숙하고 빠른 결과를 원하는 모습에 세상살이가 혐오스러워진다. 그리고 문득 지난해 뉴욕 맨해튼의 점심시간을 떠올려 본다. 일방통행이 주류를 이루는 도심 도로의 벤치에서, 자동차 운적석에서 신호를 기다리며 패스트푸드로 한 끼를 때우는 현대 도시인의 모습이 지금 우리네 자화상이다. 그런 모습은 종종 우리나라에서도 아침 등굣길에 나선 학생들이 편의점에서 샌드위치나 삼각 김밥으로 대신하는 모습과 같은 맥락이다. 이러한 속도의 문화는 비만, 고지혈증, 교통사고 등 다양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통계로 보면 우리나라 사람의 90%가 식사시간이 채 15분이 넘지 않는다고 한다. 이런 서두름은 언제나 생각의 되새김을 앗아간다.


정해진 코스를 마무리하기 위해 한 무리의 아이들이 마을 길섶 도랑을 따라 지난다. 드문드문 물풀과 갈대들이 자라는 봇도랑에는 인기척에 놀란 게들이 숨고 있다. “저기 게 좀 보세요, 빨개요, 개구리도 있어요.” 마냥 신기해한다. 


느긋하게 걷는 길. 그 느림을 몸소 느끼고 가슴속에 간직하는 일이 오늘 바래길의 보물이다. 이런 도시민들은 이런 힐링을 위해 주말이면 버스를 전세하여 일부러 오기도 한다. 하지만 보물섬에 사는 우리는 품어주는 바래길의 느림에 안겨 있다. 이 얼마나 아름답고 고마운 일인가? 오늘 바래길 걷기에 나선 아이들. 서두르는 조바심은 멀리 던져버리고 느긋하게 음미하는 심성이 자릴 잡았으면 좋겠다.



장현재 경남 상주초 교사 qwe85asd@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