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학교 일반화, 잘 이루어지고 있을까?

2017.10.10 09:42:44

최근 우리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혁신 학교는 교육계에 크나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혁신학교 일반화 방안으로 혁신공감학교까지 만들어 혁신학교의 철학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단위학교마다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운영해 교사의 전문성을 함양하고 창의적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교육공동체 대토론회를 추진하고, 혁신공감학교의 지역별 공동 성장을 위한 지구별 장학협의회 등 학교 간 네트워크도 활성화하고 있다.
 
혁신학교가 아닌 학교는 대부분 혁신공감학교의 운영을 통해 혁신학교 정책을 일반화하고 모든 학교가 미래교육에 대비할 수 있도록 창의적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참여와 소통, 존중과 배려, 개방과 협력의 새로운 학교문화를 만들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 중 학교혁신 대토론회는 학교 혁신의 현장 정착을 위해 준비된 토론회로 단위학교마다 거의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혁신학교 운영 및 교육과정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학부모 및 학생, 교사 등 교육공동체가 함께하는 교육활동 성찰의 시간도 갖고 학생들이 스스로 실천하고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교실에서 따뜻한 아침 맞이로 학생과의 관계 맺기를 하고 있으며, 창의적인 교육과정 운영으로 앎에서 삶으로 학생의 역량을 강화하는 행복교육을 추진하는 등 혁신학교는 나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긴밀하게 잘 들여다보면 허점도 많다. 혁신공감학교 운영이 바로 그것이다. 혁신공감학교 운영을 희망하는 학교만 선정한다고 하지만 그 과정이 교육 주체인 교사들의 주체적인 의견이 제대로 반영됐는지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게다가 교육공동체 대토론회는 수정 보완할 게 많다. 학부모들에게 행복한 학교를 만들기 위한 활발한 토론의 기회의 장을 허용한 것은 바람직하지만 대토론회가 단위학교 교육정책을 비판하고 성토하기 위한 장으로 변질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일부 목소리 큰 학부모들의 의견이 반영되고 그러한 학부모들의 의견을 단위학교 실정에 맞게 수용하고 여과할만한 장치가 제대로 마련됐는지도 궁금하다. 창의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교육과정 재구성을 하고 있지만 일부 교사들에게만 엄청난 업무 부담이 주어지기도 한다.
 
혁신교육 정책은 분명 바람직한 장점도 많이 있지만 현장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 않고 밀어붙이기 식의 일반화 방안은 반드시 재고해볼 필요가 있다. 교육의 주체는 교사이기 때문에 어떠한 정책을 입안하고 추진할 때 교사들의 의견을 아주 구체적이고 충분하게 반영하고 점진적인 추진을 해야 한다.

학생인권조례 제정이 바로 그 단적인 예이다. 지금 우리교육현장은 그야말로 아노미상태다. 교권은 추락할대로 추락했고 교사들의 손과 발을 다 잘라놓고 서 보라는 식이다. 어떠한 사안이 발생했을 때 교육청은 교사들의 입장을 대변하기 보다는 교사들을 벼랑 끝으로 몰아붙이는 느낌이다. 정말 요즘같이 교사 노릇하기 힘든 때는 일찍이 없는 것 같다. 교육정책을 입안하는 교육행정가들은 먼저 교사들의 입장을 생각하고 단위학교의 실정을 주도면밀하게 따져본 후 시행했으면 한다.
조원표 경기 소안초 교사, 행복한교육 명예기자 cwp1114@korea.kr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