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지 않을 인생의 축을 찾아

2019.03.04 15:06:18

제2의 인생 설계를 위한 독서 <죽기 전에 알이야 할 5가지 물리법칙>

다시, 살아남기 위해 물리학을

 

단 한 번뿐인 인생. 무엇을 이루고 싶은가. 죽기 전에 어디까지 다다를 수 있는가.

인생의 꿈을 이루고자 한다면 몇 번의 좌절에도, 어떤 고독에도 굴하지 말아야 한다.

인생의 꿈에 이르는 길이 처음 머릿속에 그렸던 것과 다른 모습일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지식의 초월'을 통해 전혀 다른 가치관에 적극적으로 다가서고, 자신이 가진 '회유'의 힘을 키워야 한다. 최후의 순간, 그것은 세상을 강하게 살아내기 위한 '흔들림 없는 축'이 되어 당신의 손에 남겨질 것이다. - 216~217

 

인생의 ‘흔들리지 않는 축’, 아름다운 물리학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암호처럼 보이던 수식이 빛나며 다가오는 순간이 있다. 숫자와 글자가 마치 생명을 가진 듯 숨을 쉬며 다가와 모든 내용을 ‘이해했다’는 확신이 드는 순간이다. 이 책의 저자 야마구치 에이이치는 열아홉 살 가을, 스위스의 물리학자 볼프강 파울리가 쓴 《상대성이론》을 읽었을 때의 이야기로 글을 시작한다.

 

아인슈타인의 중력장 방정식, 우주의 구조를 설명하는 그 한 줄의 방정식을 만나고, 야마구치는 자신과 세상을 갈라놓았던 ‘얇은 막’이 사라지는 것을 느꼈다. ‘어떻게 이토록 아름다운 형태로 방정식이 성립할 수 있을까!’ 그리고 그는 이렇게 아름다운 세계가 존재한다는 걸 안 이상, 더 이상 어떤 어렵고 힘든 일이 있어도 흔들리지 않겠다고 결심한다. -책 소개 글에서 인용

 

내 인생의 흔들리지 않는 축은 무엇이었을까. 어려운 시간을 보냈던 어린 날을 지나 생계유지를 위해 열일곱 살에 뛰어든 일터에서도, 살아남기 위해 사춘기의 방황조차 없었던 주경야독의 시절에도 나를 지켜준 흔들리지 않는 축은 바로 책이라는 스승이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했으니 저자의 경험과 다르지 않아 보인다.

 

나는 초등학교 5학년 겨울 죽음 뒤에 오는 것이 무엇인지 잠이 들 때마다 고민했었다. 그 고민은 신앙으로도 해결하지 못한 채 내 인생의 질문으로 따라다녔다. 이제는 죽음이 두렵지 않은 나이, 내가 죽은 뒤에는 아무것도 의미가 없다고 생각했던 허무감도 이겼다. 내가 간 뒤에도 여전히 세상은 그대로일 것이고 지구는 변함없이 돌 것이며 우주도 지속되는 게 당연한 진리임을 믿는다. 없음에서 와서 없음으로 돌아가는 일이 당연한 진리이며 극히 자연적인 순리임을 믿으니 편안하다.

 

한 번 태어나서 얻은 게 참 많다는 생각에 다다르면 나는 참 행복한 인생을 살고 있다고 스스로에게 축배를 들고 싶어진다. 무엇보다 평생 배움의 끈을 놓지 않고 살 수 있는 축복은 아무나 얻을 수 있는 선물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것도 어린이를 가르칠 수 있는 축복은 아무에게나 다가오는 행운은 더욱 아니기 때문이다.

 

이 글을 쓰는 동안에도 내 마음은 다시 1학년 교실로 날아간다. 지금쯤 5교시가 끝날 시각이겠구나! 아이들을 돌봄 교실로 데리고 갈 시각이네. 38년을 오르내린 교실들은 눈을 감고도 문제없이 찾을 것만 같은데. 이젠 그리움으로 남은 공간이란 걸. 얼마나 많은 시간을 보내야 교실을 떠난 일상을 무리 없이 보내게 될까. 2학년으로 올려 보낸 나의 아이들은 오늘부터는 스스로 알림장도 써야 하는데, 숙제도 늘어났을 텐데, 아침밥은 먹고 다니는지.

 

이 책의 저자 야마구치 에이이치는 열네 살 때 어머니를 간암으로 잃고 모든 세계가 무너지고 끝도 없는 나락으로 떨어지는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고 고백한다. 그런 그를 지켜준 것은 열아홉 살 때  '한없이 아름다운 것을 보았던 '경험이라고 한다. 그것은 바로 물리학이었다고! 나는 그 문장을 읽으며 긴 한숨을 내쉬고 말았다. 작가가 말한 아름다운 물리학을 이해할 수도 배우기에는 너무 먼 길을 지나버렸다는 탄식. 책을 읽으며 이렇게 부럽고 좌절해보기는 처음이다.

 

이 책에는 5가지 물리법칙을 표현한 방정식이 자주 등장한다. 그때마다 외계언어를 보듯 책장을 넘겨야 했다. 고등학교 과정을 인정받는 검정고시 과목으로 생물 과목을 선택해서 공부했으니 물리 분야는 그야말로 먼 나라 이야기가 아닌가. 알고 있는 상식이라는 것도 책을 통해서 띄엄띄엄 저장한 것들뿐이다. 그럼에도 이 책은 놀라운 감동을 안겨준다. 과학사에 빛나는 발견들이 결코 어느 한 두 사람의 노력이 아닌 오래된 지식의 축적과 고독을 사랑하며 눈물겨운 삶을 살아낸 과학자들이 흘린 토양에서 비롯되었음을 아름다운 필치로 그려내고 있다.

 

목차를 소개하면,

1. 고독에서 탄생한 과학혁명-만유인력의 법칙

2. 철학에서 해방된 과학-통계역학

3. 우주의 설계도를 발견하다-에너지양자가설

4. 잃어버린 아이의 상상력-상대성이론

5. 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양자역학

6. 과학은 어떻게 창조되었는가

 

전문적인 과학 서적임에도 매우 서정적이고 인문학적인 통찰을 바탕으로 과학자 개인의 삶을 밀도 있게 그려내고 있다. 각 장마다 한 편의 수필 위에 과학자의 삶의 궤적을 올려놓고 바라보는 시각이 매우 인간적이고 감성적이다. 과학자로서 바라본 인간적인 사랑과 애틋함이 전편에 머물러서 고독과 학문적 열정 사이에서 고뇌하는 과학자를 애잔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작가의 눈길이 참 아프다.

 

위대한 과학자이기에 앞서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 외로움과 가족에 대한 사랑, 배타적인 시선에 힘들었던 과학 주변의 이야기들은 어제 일인 것처럼 가까이 들려온다. 태어나기도 전에 아버지를 잃고 어머니마저 개가하여 외롭고 아팠을 뉴턴의 이야기는 마치 우리 반 아이가 겪은 이야기 같아서 안쓰럽고 가여워서 눈물이 났다. 어쩌면 그의 외롭고 고독한 삶의 굴레가 만유인력의 시작이었는지도 모른다. 상처에서 진주를 캐낸 그의 삶에 경의를!

 

원자론을 전개한 볼츠만이 에너지론자들로부터 비판과 공격을 받으며 학문적인 고립감을 이기지 못하고 극심한 우울증에 시달리다 극단적인 방법으로 죽음을 선택한 대목에 이르면 아득한 슬픔에 분노마저 일었다. 시대를 앞서간 삶은 과학자마저도 삼켜버린 것이다. 그러니 그의 죽음은 완벽한 사회적 타살이다.

 

이 책에는 다양한 도표와 방정식이 시선을 압도하고 주눅 들게 한다. 그럼에도 끝까지 읽어내게 하는 힘은 작가의 필력에 있다. 어렵고 전문적인 내용을 감싼 아름다운 문체 덕분에 포만감을 느끼며 책을 덮을 수 있었으니. 물리학을 전공하는 학도에게는 더없이 친절한 책이리라. 만약 다시 태어날 수만 있다면 물리학자가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들만큼 흡인력이 대단한 책이다. 일본 과학자의 책이지만 번역 또한 잘 되어 있어서 거부감이 들지 않았다.

 

물리학은 가장 생소한 분야라서 언제나 읽어야 할 주제라는 생각으로 책을 고를 때 일순위에 놓고 있다. 생각의 파장을 길게 하는 방법, 새로움이 주는 번득이는 영감을 안겨주기에 물리학이 단연 앞선다. 그만큼 모르기에 더 관심이 가는 이유다. 지금이라도 할 수만 있다면 물리학을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한숨이 절로 나온다. 상상과 이미지, 거시와 미시의 세계 속에 자신을 파묻고 칠판 가득 수식을 나열하며 과학사의 상아탑을 고독하게 쌓으며 마지막 순간까지 질문과 호기심의 더듬이를 놓지 않은 위대한 영혼들이여, 편히 잠드시길!

장옥순 아이들의 가슴에 불을 질러라 외 다수 jos228@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